• 제목/요약/키워드: Non-standard type Fishwa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형식분류 및 평가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Fishway in the Tributary of Nakdong River)

  • 성진욱;박정호;김재옥;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185-191
    • /
    • 2013
  •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형식분류 및 평가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ullet}$ 786개 하천에 설치된 보 및 어도를 조사한 결과, 보는 9,164개, 어도는 1,263개로 조사되었고, 어도설치율은 약 14%로 나타났다. ${\bullet}$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어도를 분류한 결과, 표준형 (풀형식, 수로형식) 어도는 62%, 비표준형 어도는 38%로 나타나 대체로 표준형 어도가 많았지만,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시되지 않은 비표준형 어도도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형 어도중에는 풀형식 37% 수로형식 63%로 수로형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풀형식은 일반형, 노치형 계단식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bullet}$ 1,263개소의 어도를 평가한 결과 중 양호 354개, 중간 835개, 불량 74개로 전체어도 중 약 72%가 중간등급 이하로 평가되어 대체로 보수 및 보완이 필요한 어도가 많은 것(풀형식 제외)으로 나타났다. 중간등급 어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경사도가 가장 큰 문제점을 보였고, 출구가 가장 적은 문제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개선이 이루어져야 어도가 제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bullet}$ 현재 낙동강 지류하천의 경우 어도설치율이 14%이며 이 중 양호한 어도가 28%로 평가되어 실제 어류가 이용가능한 어도는 약 4%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낙동강 지류하천에서 실제 어류가 이용가능한 어도의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 하천의 단절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설치된 어도의 보수 및 보완과 어도의 신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어도를 신설할 때에는 무분별한 어도의 설치보다는 수산연구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어도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 설치 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법령개정 및 예산확보를 통해 어도의 지속적인 점검 및 관리가 이루어질 때 생물의 이동통로가 확보되어 횡구조물에 의한 하천의 단절현상을 점차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중보에 설치된 어도의 어류이동 연계율 평가 (Evaluation of Fish Migration Ratio at the Fishway Constructed in Weir)

  • 차순배;성진욱;김재옥;박제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9-236
    • /
    • 2015
  • In this study, the fish-migration ratios of rivers were analyzed, with the aim of proposing objective materials to help South Koreans to establish fish migration systems efficiently in the future. A total of 34,012 weirs have been built in the five major basins, with 5,081 fish-ways observed. Consequently, the fish migration ratio was considered low (14.9 %).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analyzing the 5,081 fish-ways, standard-type fish-ways took up 68 % of the total while the non-standard types accounted for 32 %. The five major basins were observed to have a total fish-migration ratio of 21.4 %. Regarding tributaries, Tributary 1 accounted for 27.5 % of the fish-migration ratio, while Tributary 2 and 3 accounted for 19.8 % and 16.3 %,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any relevant field in the fishing industry of South Korea need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fish-migration ratio. This would be expected, eventually, to help them maximize the efficiency of a minimum number of fish-ways. In addition, the study supports the need for those in relevant fields to study carefully the ecological needs of each fish species, before establishing priority standards for the building of fis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