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small-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936건 처리시간 0.023초

폐암에서의 흉강경 폐엽절제술 치험 133예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obec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Experience of 133 Cases)

  • 김형렬;조정수;장희진;이상철;최은석;전상훈;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15-623
    • /
    • 2009
  • 배경: 흉강경 수술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폐암에서의 적용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 환자에서 시행한 흉강경 폐엽절제술의 안정성을 평가해보고, 개흉 폐엽절제술과의 성적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임상적 I기 폐암으로 흉강경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133명과 개흉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은 202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임상적 I기 폐암은 수술전 컴퓨터단층촬영과 양성자방출단층촬영 등을 포함한 진단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흉강경 폐엽절제술은, 초기에는 장경 3 cm 미만, 2006년 이후에는 $4{\sim}5\;cm$의 병변까지 확대하였으며, 2개 혹은 3개의 포트와 늑골 벌림 없는 $3{\sim}6\;cm$의 작업창을 이용하였다. 병리학적으로 I기로 확진된 환자들을 2009년 2월까지 추적관찰하여, 흉강경 폐엽절제술군과 개흉 폐엽절제술군의 생존률과 무병생존률을 비교하였으며, 흉강경 수술 중 개흉술로 전환한 8명은 양군의 비교분석에서 제외되었다. 결과: 흉강경 폐엽절제술군의 평균 연령은 $61.8{\pm}9.8$세로 개흉 폐엽절제술군의 평균 연령($64.6{\pm}9.6$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8). 흉강경 폐엽절제술군에서 여성과 선암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수술 후 IA로 확진된 환자가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수술 사망은 없었고, 32명의 환자에서 34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50%가 5일 이상 지속된 공기누출이었다. N1 림프절 전이, 폐문부위의 종괴, 폐동맥 손상으로 인한 출혈, 석회화된 림프절 및 심한 유착 등으로 총 8명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시도하였다가 개휼술로 전환하였다. 흉강경 폐엽절제술군에서 흉관 유지 기간(p=0.031) 및 술후 재원 일수(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고, 절제된 림프절 수(p<0.001)와 병리학적 종괴의 크기(p<0.001)가 작았다. 병리학적 병기 I기에서의 3년 생존율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15), 무병생존율은 개흉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폐암에 대한 흉강경 폐엽절제술은 합병증이나 사망률, 생존률 및 무병생존률에서 개흉 폐엽절제술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초기 폐암에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Gefitinib와 Erlotinib의 비교 (Comparison of Gefitinib and Erlotinib for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 이진화;이경은;류연주;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4호
    • /
    • pp.280-287
    • /
    • 2009
  • 연구배경: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티로신 활성효소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TKI)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새로운 치료제이다. 몇몇 연구 결과 gefitinib와 erlotinib에 대한 반응률과 반응 예측인자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은 한국인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gefitinib와 erlotinib의 효과 및 독성을 비교하고 각 약제에 대해 서로 다른 반응 예측인자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방 법: 2003년 7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 교부속병원에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gefitinib 또는 erlotinib로 치료 받은 환자들의 임상정보를 수집하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Kaplan-Meier법으로 계산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총 86명이었다(gefitinib군 52명 대 erlotinib군 34명). 나이의 중앙값은 64세였고 53명(62%)이 남자였다. 86명 중 83명에서 반응평가가 가능했으며, 83명 중 35명이 반응을 보였고 12명이 안정성 질환이었으며 36명이 진행성 질환으로, 치료 반응률이 42%였고 질병 조절률이 57%였다. 중앙 추적관찰기간 502일 동안, 진행까지의 중앙기간은 129일이었으며 중앙 생존기간은 259일이었다. 치료 반응률(gefitinib 44% 대 erlotinib 39%, p=0.678), 중앙 생존기간(gefitinib 301일 대 erlotinib 202일, p=0.151) 및 병의 진행까지 기간의 중앙값(gefitinib 136일 대 erlotinib 92일, p=0.672)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두 약제는 비슷한 독성을 보였다. Cox 회귀모형을 이용한 다변수분석에서 선암이 생존과 관련된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상대위험도: 0.487, 95% 신뢰구간: 0.292~0.811, p=0.006). 아집단 분석 결과 두 약제에 대한 서로 다른 반응 예측인자는 없었다. 결 론: Gefitinib와 erlotinib 사이에 반응률, 생존기간, 진행까지의 기간 및 독성에 차이는 없었다. 각 약제에 대한 특이적인 반응 예측인자도 없었다.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E와 p27의 발현과 예후 (Prognostic Significance of Cyclin E and p27 in Stage 1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봉균;조성래;천봉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7-14
    • /
    • 2003
  • Cyclin E는 Gl-S기로의 이행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세포주기 중 $G_{0}$ / $G_{1}$기로부터 S기로의 이행의 조절이상은 종양형성에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악성종양에서 cyclin E의 발현은 종양의 생물학적 양상과 관련되어 보고되고 있다. 또 cdk2-cyclin E 복합체의 활성도는 cdk 억제인자인 p27$^{kip1}$의 분해에 의하여 증가한다. 그러나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E와 p27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81례의 절제된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 조직을 이용하여 cyclin E와 p27의 발현율을 조사하고, 조직학적 유형, 분화도, 종양의 크기, 늑막의 침범 여부, 생존율과의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Cyclin E와 p27의 발현은 특이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ABC법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생존율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E와 p27의 발현율은 각각 29.6%,28.4%였다. Cyclin E는 늑막 침범례에서, p27은 종양의 직경이 3cm 이하인 경우에 각각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4, p=0.015). Cyclin E의 발현군의 5년 생존율은 44.4%로, 미 발현군 68.2%에 비해 낮았으며(p=0.015), p27의 발현군의 5년 생존율은 72.2%로, 미 발현군 56.2%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9). Cyclin E가 발현되지 않고 p27이 발현되는 군의 5년 생존율은 73.5%로, cyclin E가 발현되고 p27이 발현되지 않는 군 36.3%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029). 다변량 분석상 cyclin E은 불량한 예후를(RR=3.578, p=0.006), p27은 양호한 예후를 시사하는 독립적인 인자였다(RR=0.183, p=0.009). 결론: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E의 발현은 불량한 예후를, p27은 양호한 예후를 나타내는 독립적인 예후인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rlotinib Induced Trichomegaly of the Eyelashes

  • Jeon, Sang-Hoon;Ryu, Jeong-Seon;Choi, Gwang-Seong;Kim, Jung-Soo;Kwon, Hea-Yoon;Kim, Min-Su;Nam, Hae-Seong;Cho, Jae-Hwa;Kwak, Seung-Min;Lee, Hong Lyeol;Kim, Hyun-Jung;Hong, Geun-Je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1호
    • /
    • pp.37-40
    • /
    • 2013
  • Epi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s (TKIs) have been widely used for non-small-cell lung cancer patients. Its untoward cutaneous effects are largely well known and developed in many patients treated with EGFR TKIs. However trichomegaly of eyelash is rarely reported. Although trichomegaly is not a drug-limiting side effect, it could be troublesome of continuing the treatment because of cosmetic issue or eyeball irritation by long eyelashes. Therefore clinicians are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is uncommon effect. We herein describe erlotinib induced trichomegaly of eyelashes in a woman with adenocarcinoma of the lung.

GOLPH3, a Good Prognostic Indicator in Early-stage NSCLC Related to Tumor Angiogenesis

  • Lu, Ming;Tian, Yu;Yue, Wei-Ming;Li, Lin;Li, Shu-Hai;Qi, Lei;Hu, Wen-Si;Gao, Cun;Si, Li-Bo;Tian, 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93-5798
    • /
    • 2014
  • Background: Golgi phosphoprotein-3 (GOLPH3) is implicated i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GOLPH3 protein and its association with tumor angiogenesis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SCLC.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to determine GOLPH3 protein expression and allow assessment of intratumoral microvessel density (MVD) by counting CD-34 positive immunostained endothelial cells. Correlations of expression with MVD,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clinical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 notably higher level of GOLPH3 expression was found in early-stage NSCC tissues at the protein level. However, we do not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GOLPH3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p>0.05), although higher MV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LPH3 overexpression (p<0.001). Expression of GOLPH3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early-stage NSCLC patients, those expressing high levels of GOLPH3 exhibiting a substantially lower 5-year overall survival than GOLPH3-negative patients (adjusted HR =1.899, 95% CI: 1.021-3.532, p=0.043). Conclusions: High expression of the GOLPH3 protein is common in early-stage NSCC,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increased tumor angiogenesis, and poor survival. We conclude a possibility of its use as a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early-stage NSCC pati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Outcomes of Leptomeningeal Metastasis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 Kim, Hyojeong;Lee, Eun Mi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54-59
    • /
    • 2018
  • Background Leptomeningeal metastasis (LM) is an uncommon, but devastating complication of advanced cancer and has no standard treatment. Herein,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solid tumors who were diagnosed with LM. Methods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7,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olid tumors who were diagnosed with LM. Results A total of 5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1 years (range, 27-72 years), and 62.1% had a poor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PS) (>2). The common types of primary tumor were breast cancer (39.7%), gastric cancer (25.9%), and non-small cell lung cancer (20.7%). Forty-two patients (72.4%) were diagnosed with LM by MRI of the brain and/or spine and cerebrospinal fluid (CSF) analysis, 14 were diagnosed by CSF analysis alone, and 2 were diagnosed by MRI alone. Treatments for LM were performed in 53 patients (91.4%), and best supportive care was provided for 5 patients (8.6%). Intrathecal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were administered in 43 (74.1%), 17 (29.3%), and 24 (41.4%)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f the entire cohort was 2.4 months (95% confidence interval, 1.0-3.7). In th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 good ECOG PS (${\leq}2$), administration of systemic chemotherapy after LM diagnosis, and a prior history of brain radiation were associated with prolonged survival. Conclusion Although the prognosis of LM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is poor, systemic chemotherapy might improve survival in selected patients with a good PS.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윤상모;김재철;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95-202
    • /
    • 1999
  • 목적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유도 화학요법이 생존율 및 치료 실패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 혹은 병합요법(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을 받은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군이 85명, 병합요법군이 45명이었다. 연령, 성별, 전신 수행능력, 병리조직학적 유형, 그리고 병기 등은 양군에서 고르게 분포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혹은 10 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고, 일일 선량 $1.8\~2.0$ Gy를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129명에서 59.6 Gy 이상($56\~66$ Gy, 중앙값 60 Gy) 조사되었다. 유도 화학요법은 $2\~5$회(중앙값 2회) 시행하였다. 사용된 약제는 CAP (Cyclophosphamide, Adriamycin, Cisplatin)가 6명, MVP (Mitomycin, Vinblastine, Cisplatin)가 9명, MIC (Mitomycin, ifosfamide Cisplatin)이 13례, 그리고 EP (Etoposide, Cisplatin)가 17명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든 요법이 Cis-platinum을 포함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 2, 3 년 전체 생존율이 각각 41.5, 13.7, $7\%$였고,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치료 방법별 1, 2, 3 년 전체 생존율, 그리고 중앙 생존기간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각각 32.9, 10.5, $6\%$, 9개월이었으며,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각각 57.8, 20, $7.6\%$, 14 개월이었다(p=0.0005). 최종 치료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던 126명 중 38명($30.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경우,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 완전관해가 $25\%$ (21/84),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40.5\%$, (17/4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p=0.09).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혈색소치(p=0.04), NSE (neuron-specific enolase)치(p=0.004), 그리고 최종 치료반응(p=0.004)등이었다.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는 WSE치(p=0.006)와 최종 치료반응(p=0.003),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최종 치료반응(p=0.007)이 예후인자였다. 치료 실패양상은 추적 관찰이 가능했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었던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양 군간에 특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에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병합요법 군에서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방사선치료 단독군은 19명중 11명에서, 병합요법군은 13명중 3명에서 원격전이가 발견되었다(p=0.07). 국소 실패는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서도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10/19 vs 6/13). 결론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방사선치료 단독보다 2년 생존율이 향상 되었고, 적어도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는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국소 실패양상 및 장기생존율에는 유도 화학요법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성 페암의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복합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대한 예비적 결과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Stage III Unresectable Non Small Cell Lung Cancer : Preliminary Report for Response and Toxicity)

  • 최은경;김종훈;장혜술;김상위;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송군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57-162
    • /
    • 1995
  • 목적 :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복합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의한 종양관해율, 급성부작용, 생존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부터 전향성 연구(Prospective study)를 시작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 III기의 비소세포성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분할 방사선치료(120 cGy/fx, BID)를 6,480 cGy 시행하며 동시에 방사선치료 제1일과 28일에 2회의 MVP (Mitomycin C $6mg/m^2,$ Vinblastine $6mg/m^2,$ Cisplatin $60mg/m^2$) 복합 항암 요법을 시행하였다. 1994년 11월까지 등록된 62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병기는 IIIa 환자가 6명이고 나머지 56명은 IIIb 환자였으며 이중 흉막액이 있었던 환자는 11명, 쇄골상 임파선 전이가 있었던 환자는 10명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IIIb 중에서도 진행된 환자였다. 조직학적 유형은 편평 상피암이 41명으로 $66\%$ 선암도 11명으로 $18\%$를 차지하였다. 결과: 52명의 환자중 끝까지 치료를 마친 환자는 48명으로 이 study의 compliance는 $77\%$이었다. 48명의 환자중 2명은 치료중 치료와 관계된 백혈구 감소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었던 46명의 환자중 완전 관해(CR)는 10명으로 $22\%$의 높은 완전 관해율을 보였다. 부분 관해(PR)는 24명 $(52\%)$ 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동시 병행 MVP 항암요법에 의한 부분관해 이상의 관해율은 $74\%$ 이었다. 급성부작용 판정이 가능했던 46명중 가장 빈도가 높은 금성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로 1차 항암요법후 10명이 Grade 3, 4명이 Grade 4의 백혈구 감소를 보였으며 2차 항암요법에는 11명이 Grade 3, 9명이 Grade 4의 백혈구 감소를 보여 치료기간이 3일에서 5일 정도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이중 2명은 폐렴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치료중 체중감소를 보인 환자는 26명 $(54\%)$ 이었으며 이중 9명에서는 치료전에 비해 $10\%$ 이상의 체중감소를 보였다. 치료 1개월후 찍은 CT상 6명에서는 Grade 1의 방사선 폐렴이 관찰되었고 3명에서는 Grade 2로 Steroid 치료후 호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가 이전의 항암요법후 다분할 방사선 치료하는 Sequential 방법에 비하여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특히 $22\%$의 높은 완전 관해율이 관찰되어 이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되며 급성 부작용에 대하여는 입원을 통한 Nutrition support와 G-CSF 등을 이용하여 백혈구 감소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의 종격동 림프절 종대의 분포 (Distribution of Mediastinal Lymph Node Enlargement in Non-Small-Cell Lung Cancer)

  • 배문섭;이신엽;이재희;박재형;김은진;전경녀;차승익;김창호;정태훈;박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6호
    • /
    • pp.646-656
    • /
    • 2004
  • 연구배경 : 폐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외과적 절제술을 통해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예들에서 림프절 전이 양상을 조사하였는데, 이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초기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진행된 폐암에서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양상을 규명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은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있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의 위치에 따른 종격동 림프절 종대의 분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림프절 전이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가운데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종격동 림프절 종대(림프절 단경${\geq}1$ cm)를 보인 256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폐암의 위치, 종격동 림프절 종대 구역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우상엽 폐암은 우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만 있는 경우(36.8%)와 구역 7 림프절 종대와 우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함께 있는 경우(33.3%)가 가장 많았으며, 좌상엽 폐암은 좌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만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50.0%). 우상엽 및 좌상엽 폐암 모두에서 동측 상부 종격동림프절 종대 없이 구역 7 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는 드물었다(각각 7.0% 및 13.2%). 2. 우하엽 및 좌하엽 폐암은 모두 구역 7 림프절 종대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각각 88.2% 및 65.7%), 구역 7 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 우하엽 폐암은 동측 혹은 양측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의 빈도가 유사하였으나 (각각 33.3% 혹은 29.4%), 좌하엽 폐암의 경우는 동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 보다 양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있는 빈도가 높았다(각각 8.6%와 25.7%). 결 론 : 우상엽 폐암과 좌상엽 폐암은 동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로의 직접전이가 주된 전이경로로 생각되며, 우하엽 폐암과 좌하엽 폐암은 구역 7 림프절을 경유한 상부 종격동 림프절로의 전이가 주된 기전으로 생각된다.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during Pulmonary Resection (Takotsubo Syndrome) - A case report -

  • Lee, Seok-Kee;Lim, Seung-Pyung;Yu, Jae-Hyeon;Na, Myung-Hoon;Kang, Shin-Kwang;Kang, Min-Woong;Oh, Hyun-K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94-297
    • /
    • 2011
  •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caused by emotional or physical stressors and mimic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ough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characterized by reversible left ventricular (LV) apical ballooning in the absence of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We describe a 51-year-old male who underwent left upper lobec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during which cardiogenic arrest occurred due to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successfully managed by intra-aortic balloon pumping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