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regular Work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7초

정규직의 파업과 비정규직의 연대 또는 이탈: KBS와 MBC 파업사례를 중심으로 (Non-standard Workers' Solidarity with Standard Workers on Strike: The Case of Broadcast Professionals in KBS and MBC)

  • 노성철;정선욱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7-196
    • /
    • 2018
  • 본 논문은 증가하고 있는 전문 직종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에 보인 태도와 행동을 계급적 연대와 직종적 연대라는 두 가지 개념 사이의 관계짓기를 통해 이론화 하고자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8년 이후 정규직 제작인력들의 크고 작은 저항이 2012년 언론대파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범위로 삼아서, KBS와 MBC두 방송사의 시사교양부문에서 정규직 피디들과 손발을 맞춰온 대표적 특수고용 직종집단인 독립피디와 시사교양작가들이 정규직 파업에 보인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특수고용 제작인력들이 직종에 상관없이 정규직 피디들에 대해 계급적 이질감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계급적 이질성 인식은 정규직 피디가 실질적 사용자 역할을 하는 방송 산업 특수고용관계의 구조직 특징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고, 정규직 투쟁을 거치면서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직종적 가치공유에 기반한 정규직에 대한 인식은 두 특수고용 직종 집단 사이에 상이하게 나타났다. 시사교양작가들의 경우 정규직 피디들에 대해 높은 직종적 가치일치감을 표시했고 이는 계급적 이질성을 상쇄시키며 정규직 파업의 당위성을 인정하는 수용의 태도로 이어졌다. 반대로 독립피디의 경우 계급적 적대감에 직종적 이질감이 더해져 정규직 인력들의 위선과 모순을 강조하면서 정규직 파업에 대해 강한 냉소를 드러냈다. 이러한 차이는 두 특수고용 직종집단이 각각 정규직과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했다. 먼저 정규직 피디와 독립피디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작과정의 투입 결과물에 대한 강압적인 통제 (coercive input-output control) 방식은 두 집단 사이에 직종가치 인식에 있어 차이를 낳았고, 그 차이는 저널리즘 가치에 대한 위협과 대응 속에서 더욱 커졌다. 반면, 시사교양작가들은 언론인으로서의 직종윤리 및 가치를 바탕으로 한 규범적 과정통제(normative process control)를 통해 정규직 피디들과 관계를 맺고 있었고, 이는 시사교양작가들이 계급적 이질감을 지양하고 정규직들과 저널리스트로서 직종정체성을 공유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갖는 실제적 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W-REGULAR CONVERGENCE OF $R^i$-CONTINUA

  • Rhee, C. J.;Kim, I. S.;Kim, R. S.
    • 대한수학회보
    • /
    • 제31권1호
    • /
    • pp.105-113
    • /
    • 1994
  • In the course of study of dendroids, Czuba [3] introduced a notion of $R^{i}$ -continua which is a generalization of R-arc [1]. He showed a new class of non-contractible dendroids, namely of dendroids which contain an $R^{i}$ -continuum. Subsecequently Charatonik [2] attempted to extend the notion into hyperspace C(X) of metric continuum X. In so doing, there were some oversights in extending some of the results relating $R^{i}$ -continua of dendroids for metric continua. In fact, Proposition 1 in [2] is false (see example C below) and his proof of Theorem 6 in [2] is not correct (Take Example 4 in [4] with K = [e,e'] as an $R^{1}$-continuum of X and work it out. Then one seens that K not .mem. K as he claimed otherwise.).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introduce a notion of w-regular convergence which is weaker than 0-regular convergence and to prove that the w-regular convergence of a sequence {Xn}$^{\infty}$$_{n=1}$ to $X_{0}$ of subcontinua of a metric continuum X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the sequence {C( $X_{n}$)}$^{\infty}$$_{n=1}$ to converge to C( $X_{0}$ ), and also to prove that if a metric continuum X contains an $R^{i}$ -continuum with w-regular convergence, then the hyperspace C(X) of X contains $R^{i}$ -continuum.inuum.uum.

  • PDF

A Study on Health Hazards to Employees near Main Streets

  • Choi, Dal-Woo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01-207
    • /
    • 2012
  •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effects from automobile air pollution, 99 employees who worked near a main street were given a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and the prevalence of their subjective complaints was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sleep time, degree of regular exercise, self-consciousness of symptoms, length of employment, work time, rest time, and smoking statu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cores related to health complaints regar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items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I scores were higher for the < 4 hour sleep time group. The health complaint scores for physical items were higher in the regular exercise group, whereas most scores for mental items were higher in the irregular exercise groups. The health complaints scores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items were higher in the unhealthy symptom group than in other groups. Those employees who had worked for > 4 yea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complaints regarding the eyes and skin. THI scores were higher for the < 6 hour working time group. The smoking group showed higher scores regarding health complaints related to physical items. The THI scores of the respiratory organs, mouth, anus, and digestive org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moking group than for the non-smoking group.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the health complaint scores regar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tended to be higher among the unhealthy group, the less sleep time group, the less work time group, smokers, and female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 psychosomatic health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s of employees who work near a main street.

간호사들의 교대근무가 식행동 및 건강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health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shift work in nurses)

  • 김지명;강복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416-42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nurs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nurses studying at a cyber univers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October, 201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working pattern: shift workers (n = 110) and non-shift workers (n = 51). Result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riage, monthly income, employment type,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stress scor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In dietary habi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l regularity, skipping meals, skipping reasons, having regular mealtimes, frequency of snack and the snack time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p<0.05).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s in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shift workers (p<0.05). Score of shift workers in taking three meals per day regularl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shift workers. In health-related behavio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ing time was observed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Dietary behavio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hift work (r = 0.176)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consciousness (r = 0.210)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 = 0.198) in subjects after adjustment for age, marriage, monthly income, and employment type (p < 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hift work, health conscious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ffected dietary behavior in subjec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ift working nurses had poor dietary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and these dietary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ir shift work, health consciousness, and perceive health status.

가구주 근로유형과 가계저축: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 (Householder's Working Type and Household Saving: A Perspective of the Precautionary Saving Behavior Theory)

  • 심영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18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에서 가구주 근로유형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는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자료로, 가구주 근로유형이 상용직과 비상용직(임시직, 일용직, 공공근로)인 가계로 한정하여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가구 총 6,207가구 중 2,463가구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구주의 근로유형은 가계저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대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즉, 상용직 가구주 가계가 임시직, 일용직 혹은 공공근로의 비상용직 가구주 가계보다 더 많은 예비적 저축을 하였고, 나아가 더 많은 예비적 자산을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구주 근로유형별로 영향 요인 및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주로 월평균 총소비지출, 부채 유무, 순자산, 빈곤 여부, 가구원수, 기초보장 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예비적 저축에 대한 기초보장의 정적 영향이었다.

여성 청년층 집단의 취업이행 형태 연구 (A Study of Work Transition Form of Female Youth)

  • 김태홍;김종숙
    • 한국인구학
    • /
    • 제25권2호
    • /
    • pp.41-68
    • /
    • 2002
  • 본 연구에서 여성 청년층 집단의 첫 일자리 진입과, 첫 일자리로 고용조건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집단이 이후 이러한 종사상 지위에서 언제 어떠한 지위로 탈출하는가를 동태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여성개발원이 2001년에 수집한“제4차 여성의 취업실태조사”의 취업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청년층 중 취업으로 이행한 집단은 최종학교를 졸업하고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데 약 1.54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 직후 뿐 아니라 이후의 회복기에도 여성 청년층 집단의 취업이행이 매우 어려워 경제상황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고졸 여성 중 인문계졸업자의 취업이행이 어려우며 대졸자 역시 취업이행이 원만하지 않아 졸업장 효과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자격증이나 취업에 대한 태도보다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으로 이행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일자리로 고용조건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집단 중 50%만이 이러한 지위에서 탈출하였다. 학력과 세대효과가 뚜렷하여 대졸여성일수록 젊은 세대일수록 비정규직 상태에서 탈출할 확률이 높았다. 정규직으로의 탈출에는 대학의 전공계열, 비정규직 취업과 학업의 병행 여부가 영향을 미치며, 미취업상태로의 탈출에는 처음 취업한 업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임금노동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일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Work Impact on Contingent Worker's Happiness)

  • 김효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43-651
    • /
    • 2018
  • 본 연구는 비정규직 임금노동자의 행복에 직장만족도와 일의 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데이터에서 전일제 비정규직 임금노동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술통계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비정규직 임금노동자는 주당 49시간일하고 평균 208만원을 받고 있었으며 자신의 교육수준이나 기술 및 능력에 비해 낮은 수준의 일을 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일의 내연적 특성, 즉 기술 및 능력에 비해 낮은 수준의 일을 하는 것이 일터에서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장에서의 의사소통과 임금, 근로환경에 대한 만족 역시 비정규직 임금근로자의 행복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직 내 의사소통의 강화와 업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업무관련 지식 및 보유 기술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에 의거한 업무 배치 및 학습자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조직원들을 지원해야 함을 제언하고 있다.

Reliability of a Newly Developed Tool to Assess and Classify Work-related Stress (TAWS-16) for Indian Workforce

  • Gautham Melur Sukumar;Runalika Roy;Mariamma Philip;Gururaj Gopalkrishna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5호
    • /
    • pp.407-412
    • /
    • 2023
  • Objectives: Work stress is associated with non-communicable diseases, increased healthcare costs, and decreased work productivity among employee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There is a need for regular work-stress screening among employees using valid and reliable tools. The Tool to Assess and Classify Work Stress (TAWS-16) was developed to overcome limitations in existing stress assessment tools in India.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AWS-16 in a sample of managerial-supervisory employees. Methods: This observational reliability study included data from 62 employees.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were investigated using a TAWS-16 web application and interview by telephone, respectively. Kappa values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ternal consistency was assessed through Cronbach's alpha. Results: For both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the agreement for both work-related factors and symptoms suggestive of work stress exceeded 80%, and all kappa values were 0.40 or higher. Cronbach's alpha for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was 0.983 and 0.941, respectively. Conclusions: TAWS-16 demonstrated acceptable reliability. It measured stressors, coping abilities, and psychosomatic symptoms associated with work stress. We recommend using TAWS-16 to holistically identify work stress among employees during periodical health check-ups in India.

비의료직 병원 근로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근로 손실이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status and work los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non-medical hospital workers)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63-173
    • /
    • 2022
  • 본 연구 목적은 비의료직 병원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의 일부 대학병원 근로자 608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0일 ~ 7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근로손실, 구강건강 상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문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독립 표본 t-test, one-way ANOVA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외생변수 통제 결과 성별(β=0.108), 전신질환(β=0.136), 구강건강수준(β=0.201), 구강건강 상태(β=0.463)는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의료직 병원 근로자를 위한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활성화된다면 구강건강 및 근로 증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염병의 매개체인 해충의 피해 예방 및 소독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 위생 관련 산업체 종사자와 일반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의식 차이 비교 분석 - (Research on Consciousness for General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Sterilization Mediated by Vermin)

  • 김혜자;배시애;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1-167
    • /
    • 2006
  •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s among residents’ consciousness for general infectious disease and sterilization mediated by vermin. We categorized both industry-related people who work in restaurants, hygiene service shops, whole sales, government organizations, PC shops, factories, department stores and non-industry-related people who work in schools, general offices into two groups for this study. The discovery of vermin held 86% of total exam cases. The vermin included mosquitoes, cockroaches, ants, flies, and so on. People thought these vermin might mediate bacteria infection to human. 80.3% of persons thought mite might exist in blankets, beds and couches. Among 66.6% of total experience of vermin damage, the main damage came from mosquitoes. Frequently used methods of prevention from vermin damage were as follows: "spray of effective chemicals", "install traps" and " report to a prevention company" in order. It indicated that people did not take special actions to repel vermin in spite of their knowing seriousness of damage. Furthermore, just half cases were executed regular sanit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