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int Source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9초

고속도로 현장별 비점오염 저감시설 선정방안 연구 (A Study for selecting the Highway Sites'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 이용복;최상일;박계수;성일종;정선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857-866
    • /
    • 2011
  • This research categorized EIA target highways into following three types in order to minimize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highway runoff. 1. Big drainage basin. 2. Small drainage basin. 3. Bridge section. The Natural, Filter and Swirl-Type devi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removal efficiency of TSS, BOD, COD, T-N, T-P, compatibility of site selection, economic feasibility, and maintenance convenience through which the final BMP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moval efficiency result, the area of Big and Small Drainage basin and bridge section had higher removal efficiency with natural facility than that of the Filter or Swirl-Type device. To make appropriate selection of highways'BMP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this study will aim to contribute to building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ways by proposing the selection process that is made of 5 stages. 1. Selecting the target drainage basin. 2. Selecting the land for the mitigation facility. 3. Analysing the ease of maintenance. 4. Technically evaluating each installation. 5. Evaluat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s.

SWAT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언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규명 (A Study on Runoff Properties of Non-point Pollutant in Nakdong watershed by using SWAT model)

  • 이은정;최경식;김태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15-823
    • /
    • 2012
  •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down stream of Nakdong river were simulated by SWAT. GIS was utilized to make input data of SWAT such as landuse pattern and soil. Meteorological data of 2007 and 2009 were applied for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runoff in SWAT. It was difficult to calibrate and validate the runoff and nutrient results since a study area was influenced by the tidal effects. Jindong site was selected to escape from the bias of runoff simulation in the coastal area. $R^2$ values of calibration and validation were 0.8 and 0.79. However, $R^2$ values of water qualities were very low level in comparison to runoff. These resulted from the concentration scale of water qualities such as BOD, T-N and T-P. Additionally, tidal influence could effected on the measurements of nutrients. The simulated annual averages and patterns of BOD, T-N and T-P in SWAT were similar to the measurement data. 80 ~ 96 %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t Nakbon M site were released from April to August of 2009. The ratio of T-N and T-P from nonpoint source were above 50 % during the rainy season.

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유출모델링 및 관리 -삼척 오십천을 중심으로-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t Modeling and its Management Using Quasi Distributed DEM -Focused on the Oshipchon of Samcheok)

  • 강상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3-5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역에 있어서 비점 오염원의 모델링 및 적정 수환경 관리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각종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하여 GIS데이터(contour data)를 이용하였다. 등고선 데이터로부터 소유역 및 하도망을 자동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준 수치고도모델(Quasi Digital Elevation Model)을 모형화함으로써 유역으로부터의 질소 오염물질 유출량을 해석하였다. 본 모형은 실측자료를 토대로 유효화하였다. GIS와 연계한 본 모형은 수역의 오염현황을 고려한 유역의 비점 오염원유출 분석에 효과적이며, 향후 수 환경 관리에 적절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선지구 선정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arget Region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Management)

  • 장남정;김보국;임승현;김태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31
    • /
    • 2012
  • 새만금 유역은 BOD와 TP의 비점오염배출 비중이 각각 68.4와 61.4% (2009년 기준)로 점오염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므로 새만금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최적관리기법 대상지 선정을 위해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그리고 부영양화에 주요인자인 총인(TP)을 기준으로 농업비점오염대책 우선지구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우선지구 선정방안은 의사결정에 의한 오염영향 지수를 이용한 정성분석 방법으로 수계에 비점오염원(TP기준)이 작용하는 단계를 크게 발생, 배출, 유출 관련지표로 구분하여 비점오염원 영향지수(NPSI; Non-point Source Index)를 산정하였으며, 전문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통해 지표의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NPSI 산정에는 행정구역 745개의 동리단위 기준으로 비점발생특성(해당 지역의 액비살포 면적, 축사 면적, 논면적, 밭면적, 인산질 비료사용량), 비점배출특성(수질오염 총량관리제의 축산계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 토지계 배출부하량), 비점유출특성(토양유실량, 불투수율, 유출곡선지수, 유달거리, 유효강우비)의 총 12개의 지표가 적용되었다.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이용한 NPSI 산정결과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관리지역 우선지구 후보지로 만경강 5지점과 동진강 5지점을 선정하였다. 우선지구 후보지의 선정원인은 주로 축산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HP 분석결과 축산관련 지표의 가중치가 높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영산강 유역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Urban Area of the Youngsan-River Basin)

  • 진영훈;박성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05-613
    • /
    • 2006
  •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and load amount of the discharge in the urban area were investigated in the Pungyeongjeong-stream basin and the Yongbong-stream basin in this present study. The land use of the studied basins were divided into paddy field, industrial complex area, combined sewage system, separate sewer system and point sources discharg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of non-point pollutants by the the land use showed in the range of 4.43-32.28 mg/L for BOD and 8.27~56.17 mg/L for COD.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shown from the combined sewage system. The EMC of SS at the paddy field in the Pungyeongjeong-stream basin showed the highest range with the values ~ from 35.76 to 358.86 mg/L, which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a levee construction in the adjacent of the area.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values of 4.43~32.28 mg/L and 1.617.13 mg/L emerged from TN and TP,respectively, at the discharge points of the both stream basins.

강우강도와 토지이용을 고려한 비점오염물질 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Pollutants Loading from Non-Point Sources Based on Rainfall Event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 이혜원;최남희;이용석;최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72-577
    • /
    • 2011
  •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원단위는 쉽게 이용 가능하지만, 지역의 토지이용 특성과 강우강도의 시간적인 변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면서도 강우량에 따른 부하량 변화를 고려한 보다 정확한 비점부하량 산정방법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경기도 경안천 유역에 위치한 두 개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대상으로 2010년 6월부터 11월까지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강우강도, 유출 특성, 오염부하 등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비점오염원 유출수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의 경우에는 도시 지역인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이 산과 밭으로 이루어진 용인시 모현면에 비해 높거나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TP (Total Phosphorus)의 경우 유역 내 농경지에 사용된 퇴비나 비료에 포함된 인의 영향으로 모현면이 경안동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강우량과 오염물질 배출부하량과의 관계는 3차원 다항식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었으며, 0.33~0.81 범위의 결정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산정된 유출율 및 부하량 함수의 기울기가 EMC 결과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부터, 비점오염원은 토지이용 이외에도 지형, 토성, 수리 수문현상 등에 따라 배출특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모니터링을 통한자료의 수집을 바탕으로 강우량에 따른 부하량 변화를 고려한 비점부하량 산정함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석유화학업종에서의 비산배출원 배출 특성 분석 (Analysis Characteristic of Non-point source in Petrochemical)

  • 구치완;안승효;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5-51
    • /
    • 2022
  • 고정된 점배출원(Point source)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처리하는 기술은 꾸준히 개발되고 있으나, 비산배출원(Non-point source)의 경우 배출원이 다양하고, 일정하지 않아 배출물질 처리기술 및 실효성 있는 배출계수 등을 개발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지만, 비산배출원은 국내 배출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량 산정방법이 타당하여야 하며 이를 토대로 사업장은 배출저감기술 등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출량이 많은 석유화학업종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배출계수의 실효성과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남 여수 소재 OO회사의 최근 5년간의 LDAR(Leak Detection And Repair)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산배출원의 배출특성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체 성상에 따른 배출 특성의 차이는 없으나 장치의 크기, 제조사별 특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석유화학 업종에서 적용하는 자체 배출계수가 정유업종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석유화학업종에 특화된 배출계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사업장 스스로 이를 획기적으로 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유역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유출 해석 (Analysis of Pollutants Discharge due to the Change of Impervious Land in Urban Area Using Watershed Model)

  • 공석호;김태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73-82
    • /
    • 2018
  • 본 연구는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지역의 증가가 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HSPF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15년도 관측치, 검증은 2014년도 관측치를 기준으로 하였고, 모의항목은 유량, BOD, TP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증 결과는 모든 모의항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무심천 유역의 2015년도 토지이용 현황을 반영하여 모형에 사용한 토지피복도를 수정한 후 개발지역의 계획 위치와 면적을 적용하여 수질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불투수면이 증가하면 일별 오염부하량은 강우 시에는 개발사업 전보다 증가하고, 비강우 시에는 감소하였다. 연간 오염부하량은 강우 시 증가량이 비강우 시 감소량보다 월등히 많아 BOD와 TP의 부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비점오염부하량은 개발 전의 점오염원이 동일하고, 불투수면만 증가한다는 전제에서 모의한 결과 개발 후의 비점오염부하량이 개발 전의 총오염부하량보다 크게 산정되어 불투수면이 급증하는 유역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비점오염원의 관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유출포착곡선 (Runoff Capture Curve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 김상단;조덕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29-836
    • /
    • 2007
  • For the purpose of managing non-point sources, water quality control basins (WQCBs) are often designed to capture rainfall events smaller than extreme events. The design rainfall statistics and runoff capture rates for sizing a WQCB should be derived from the local long-term continuous rainfall record. In this study, the 31-year continuous rainfall data recorded in Busan is analyzed to derive the synthesized runoff capture curve incorporated with SCS curve number.

탄화물 및 제올라이트 여재를 사용하는 UNFS(Upflow Non-point source Filtering System) 시설의 노면배수에 함유된 중금속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UNFS Using Carbide Pellet and Zeolite Pellet to Remove Heavy Metals Contained in Road Runoff)

  • 김부길;박한주;김일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47-1154
    • /
    • 2008
  • Road runoff, one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contains various heavy metals, most of which flow into discharge waters without being treated. The mechanism of removing the heavy metals in water is similar to that of removing micro-particl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a lot of the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road runoff by filtering or absorbing them. In this paper, performed has been a bas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FS (Up Flow Non-Point Source Filtering System) using carbide pellet and zeolite pellet as double-layer filtering mediums to treat the road runoff. The removal rate with filtering and absorption time has been shown as follows: 29.0% for Cr; 27.8% for Cd; 25.7% for Fe; 25.4% for Co; 21.2% for Pb; ]9.6% for Zn; 18.2% for Al; 17.0% for Mn; 11.3% for Ni; 7.5% for Cu. The overall removal rate according to influx change has been shown to be approximately 30%, and the load of heavy metals flowing out in initial precipitation could be reduced by using carbide as a recycling filtering medium. When the removal as coarse particles settle is added up, it is expected that UNFS will result in a higher removal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