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int Source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39초

효과적인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접근 방향 (The Effective Approach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 박재홍;류지철;신동석;이재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0-146
    • /
    • 2019
  •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정책의 변환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비점오염원관리는 국토의 이용 및 개발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도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 비점관리지역의 국고지원 방식 및 운영방안을 전환하여 최저지원율은 보장해 주고 그 이상은 지자체의 비점오염저감사업의 추진현황과 성과등을 평가하여 추가로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통해 사업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신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부분으로는 비점오염저감사업의 추진성과를 평가하고 운영효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평가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자체가 비점오염원저감사업을 충실히 수행하여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책임행정을 유도할 수 있는 관련 근거 규정이 필요시 된다. 대안마련이 필요한 요소로는 자동채수 분석에서 $100{\mu}m$ 필터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 강우시 채수 및 분석의 적시성 확보, 효율적인 비점측정망 운영관리 방안을 들 수 있다. 대안으로는 채수 분석장비의 성능개선, 권역별 비점오염물질측정망 모니터링통합센터 운영 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된 비점오염저감시설로 인한 오염물질의 삭감량을 수질오염총량제의 개발부하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요구할 경우 삭감량에 따라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지관리 비용 일부를 인센티브형식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EPA-SWMM을 이용한 LID 기법의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in an Urban Area: Non-point Pollutant Removal Measures using EPA-SWMM)

  • 조선주;강민지;권혁;이재운;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6-475
    • /
    • 2013
  •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Korean water quality/watershed management. In recent years, Low Impact Development (LID) has emerged as an effective approach to control stormwater in an urban area. This study illustrates how to design and evaluate the effect of non-point pollutant management using EPA-SWMM LID module and suggests design parameters for modeling LID facilities. In addition,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s of LID can be determined by a simpl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by using SWMM for a long-term.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EMCs 산정 및 초기세척효과 분석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and EM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Impervious Area during Rainfall)

  • 안태웅;김태훈;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59-473
    • /
    • 2012
  • 본 연구는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불투수성 지역의 강우사상 특성은 강우강도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강도가 크게 작용하면, 초기강우 현상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무강우일수에 의해서 비점오염물질의 농도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경향을 보면, 강우초기 유출 유량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지속되는 강우에도 불구하고 오염물질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고 낮은 농도로 안정적인 유출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건기 시 도로 표면에 집적되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강우시 초기에 유출되어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투수성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 오염물질 항목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불투수성 지역의 특성상 아스팔트로 되어 있는 도로 및 주차장, 교량 등이 있는 불투수면이 대부분의 토양상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 내 모니터링 지점에서 강우가 집중되어 유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기 때문에 오염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시 초기세척 효과는 TSS의 경우, Event 1, Event 2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매우 잘 관찰되었으며, TSS> $COD_{Mn}$ >T-P 순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SS와 $COD_{Mn}$가 가장 민감하게 강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비점오염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점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수계환경의 오염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대천 유역의 강우량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with Rainfall in Mandae-cheon Watershed)

  • 최한규;이진태;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27-35
    • /
    • 2005
  • Non-point source pollution, which is found in soil, urban area, and agricultural area, is difficult to have its amount to be estimated. Moreover, it is hard to come up with a counterplan to cope with this pollutant. Hence, the watershed of Mandae-cheon located at the upstream of Soyang Lake was chosen as our site of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level of each month and pollution load in the watersh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measuring BOD, T-N and T-P - which are the causes of eutrophication - in the water;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water quality caused by precipitation level of nth.

  • PDF

남천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According to Rainfall in Nam Watershed)

  • 장성호;박진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according to rainfall in Nam watershed. Land-uses of the Nam watershed were surveyed paddy field 4.5%, crop field 6.8%, mountainous 78.7%, urban 2.4%, and etc. 7.7%. Mean runoff coefficients in each area were observed Ⅰ area 0.08, Ⅱ area 0.08, and Ⅲ area 0.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nfall and peak-flow, correlation coefficients(r) were investigated Ⅰ area -0.8609, Ⅱ area 0.6035, and Ⅲ area -0.491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dry period and first flow runoff, correlation coefficients(r) were investigated Ⅰ area -0.9093, Ⅱ area -0.1039, and Ⅲ area -0.7317. The discharge of pollutant concentrations relates to the flow rate of storm-wa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nfall and watershed loading, exponent values of BOD, COD, SS, and T-N were estimated to 1.2751, 1.2003, 1.3744, and 1.1262, respectively.

도시, 농촌 및 임야유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원 오염부하의 특성비교 (Comparison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 Loads from Urban, Agricultural and Forestry Watersheds)

  • 여중현;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4-189
    • /
    • 2005
  • Impact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on water quality are well known. In this paper, effects of land us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discharge characteristics on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ings at urban, agricultural and forestry watersheds were discussed. Rainfall runoffs from fifteen rainfall events were sampled and analysed at two urban watersheds, one rural watershed, and one forestry watershed.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 were calculated based on monitored flow rates and concentrations. Statistical analysis carried out with runoff loadings and affecting variables indicated that runoff loadings are weakly correlated with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dry days before rainfall events while showed no correlations with rainfall depth nor runoff quantity. By comparing EMCs between study watersheds on log-normal cumulative probability scale, EMCs ranking were in the descending order of urban watershed>agricultural watershed>forestry watershed for SS, TCOD, TN, and TP.

3변수 혼합 지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도시 강우 유출수 포착곡선의 작성 (Urban Stormwater Capture Curve using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한수희;박무종;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0-435
    • /
    • 2008
  • In order to design Non-point source management, the aspect of statistical features of the entire precipitation data should be focused since non-point source discharge is driven by continuous rainfall runoffs.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s used to establish urban stormwater capture curve instead of previous single-parameter exponential PDF. Then, recent 10-year data in Busan are applied to establish the curve. The result shows that 3-parameter mixed PDF gives better resolution.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Farming Area)

  • 길경익;이병수;이상수;박무종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83-786
    • /
    • 2008
  •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direct-runoff of chemistry and organic fertilizers which are adsorbing to sediment from farmland and non-point source discharg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charged to stream with soil erosion when rainfalls. pollutographs of TSS, BOD, COD, TN, and TP were measured for 10 rainfall events at watershed. EMC (Event Mean Concentration) were calculated for each rainfall event using quality and quantity measured. The result shows that the EMC ranges of 95% confidence intervals are 50.5-203 mg/L for TSS, 0.8-14.2 mg/L for $BOD_5$, 4.2-20.7 mg/L for $COD_{Mn}$, 0.2-0.5 mg/L for TP, 2.4-4.5 mg/L for TN, 1.36-3.04 mg/L for NO3--N, 0.13-0.42 mg/L for NH4+-N and 0.82-1.77 mg/L for TKN.

  • PDF

기저유출을 고려한 비점오염 유출특성 분석과 원단위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Non-point Source Runoff Characteristics and Verification of Unit Pollutant Load Considering Baseflow Runoff)

  • 박재범;갈병석;이철구;홍선화;최무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저유출을 고려한 관측 자료 기반 오염부하량을 이용하여 비점오염 유출특성과 신규 원단위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금강 수계 주원천 유역의 9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디지털 필터 기법을 이용하여 유출성분을 분리하고 수치적분법을 적용하여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비점오염 평균 기여율은 BOD 31.34%, T-N 58.94%, T-P 50.42%로 BOD의 경우 기저유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신 원단위를 적용한 오염부하량이 구 원단위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관측부하량에 근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율적인 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유출에 따른 오염부하뿐만 아니라 기저유출에 따른 오염부하 관리도 필요함을 의미한다.

비점오염원의 유수지 유입 방지를 위한 슬래그 활용 방안 (The Application Plans of Slag to Prevent Non-point Source Pollutants Flowing into the Retention Pond)

  • 박정환;김진한;정종태;전세진;박한봉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3
    • /
    • 2010
  • 본 연구는 오염이 심한 유수지를 지속적으로 양호한 수질로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유수지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려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입 차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방안으로 다공성 슬래그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다공성 슬래그 넷트를 유수지에 설치하는 경우의 수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염물질의 제거 정도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접촉 시간과 인 제거 효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r^2=0.9765$)를 나타내어 접촉시간이 처리효율에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인과 부유물질은 조제 시료, 생물학적 처리수, 하수 모두 다공성 슬래그 충전상을 통과하면서 높은 효율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유수지 수중 내부와 외부 호안에 다공성 슬래그 충전상의 설치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