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도서관 온라인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Measures of Library's Online Services to Overcome COVID-19)

  • 노영희;강필수;김윤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85-210
    • /
    • 2020
  • 도서관은 코로나 19와 같은 예기치 못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비대면 온라인서비스를 강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외부환경 변화와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사이트로 서비스되는 공공도서관 288개관의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자료검색과 전자도서관, 도서관서비스, 문화행사, 열린공간에 대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및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온라인서비스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 문화의 확산에 따른 온라인 자료검색 서비스 이용률 증가, 둘째, 전자도서관의 서비스 확대, 셋째,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다양화, 넷째, 온라인 문화행사 서비스 확대, 다섯째, 열린공간 서비스 다양화, 여섯째, 출입 기반 무인 대출반납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과 일곱째, VR, AR 및 MR을 통한 체험형 문화 지원 서비스 및 교육 콘텐츠 확대를 제안하였다. 향후, 타 관종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서비스 현황과 코로나 시대의 도서관 서비스 유형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양 과목에서의 온라인 수업 학습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녹화 동영상 수업을 위주로 (A Study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 Focusing on on-line recorded video lecture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7-207
    • /
    • 2021
  • The threat of COVID-19 pandemic pu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yp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uch as on-line real time class and on-line recorded video class. Online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because of its ubiquitous and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s. Even though COVID-19 led to many problems such as faculty's burden and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 of COVID-19, both students and faculties have gradually become familiar with on-line environment. As students have got accustomed to the online environment, on-line recorded lectures are shown to be more preferred rather than on-line real time class. Researches regard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indicate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nd interaction by instructor a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using recorded video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and interacti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re likely to predict learn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plays a great role in providing those content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that preparing systematic contents and interaction are key to enhancing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School Students in Covid-19 : Focusing on School, Home, Daily Stress)

  • 이기언;최성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1-182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전체 초등학생 5-6학년, 중학생 1-3학년, 고등학생 1-2학년을 전수조사하였다. 초·중·고학생 총 13,672명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이 중 13,613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요인은 22.2%, 가정생활 요인을 추가하면 4.7%,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을 추가하면 10.7%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생활 만족도였고, 그다음으로는 초등학생은 외모 스트레스, 중·고등학생은 학업 스트레스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늘어나 학생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가정생활 요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중·고등학생은 여전히 학업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학생들이 가정에서 관계, 소통, 학업, 여가 등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특히 가정환경에 따라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력 격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다각도의 교육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 Case Study: Design and Develop e-Learning Content for Korean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Pandemic

  • Park, Eunhye;Park, Sehyeon;Ryu, JaeYou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2호
    • /
    • pp.47-57
    • /
    • 2022
  • e-Learning content can be defined as digital content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Since it is an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distributed in offline, online, and mobile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tent that meets the learner's education environment and educational goals. In particular, if the learner is a public official, the vision, philosoph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must reflect. As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expands further due to the COVID-19 pandemic, local governments that have relied on onsite education in the past urgently require developing strong basic competency education and special task competency content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e-learning content, however, hardly exists and the ability to independently develop them is also insufficient. In this circumstance,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self-production of e-learning content suitable for Busan's characteristics b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Institute of Busan City, a local government.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s always evolving and growing by blen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to instructional platform design and adapt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Busan HRD Institute (BHI), therefore, tried to implement blended learning by developing content that reflected the recent trend of micro-learning in e-learning through a detailed analysis. For this, an e-learning content developer with certain requirements was selected and contracted,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content through a collaboration between the client and developer was describ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of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ISD).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사용의도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etaverse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홍현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33-541
    • /
    • 2022
  • 코로나19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는 비대면 수업이 정착되었다. 이에 온라인 수업, 블렌디드 러닝 등의 방법이 도입 되었으며,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메타버스는 비대면 방식에서 나타난 물리적 환경에서 오는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초등교육 학습자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 메타버스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의 사용의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하여 예비교사의 교육역량과 메타버스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유연성, 교수효능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예비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수집된 1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의 메타버스 교육역량 중 유연성과 TPACK은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하여 메타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이와 관련 논의와 예비교사들의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성인간호학 비대면 혼합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Non-face-to-face mixed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박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01-41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원격수업과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함께 적용한 성인간호학 비대면 혼합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15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3.41±0.61점, 자기조절학습능력은 3.69±0.66점, 학습만족도는 3.98±0.61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416, p<.001), 자기조절학습능력(r=.75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전공만족도 순으로 나타났으며(F=39.20, p<.001), 모형의 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교육 환경 변화의 요구를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연료전지 교육 플랫폼 Meta-Fuelcell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2 Fuel Cell Education Platform: Meta-Fuelcell)

  • 즈엉투이짱;곽경민;신현준;노영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9-3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의 한 영역을 담당하는 연료전지 산업에서 요구되는 인력을 양성함에 있어서, 기업의 교육비 부담 감축과 교육 효과 향상을 위하여 메타버스에 탑재한 연료전지 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Meta-Fuel cell 플랫폼은 Unity 3D 웹을 활용하여 1인칭 시점의 플랫폼을 구성하여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플랫폼은 ppt 발표, 동영상 실행 등등 다양한 단위 교육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현재, 본 플랫폼에는 이론교육을 위한 ppt 및 동영상 시연 외에 실습을 위한 소프트웨어 콘텐츠 "STACK-Up"이 통합되어 있다. 이론교육 부문은 신재생에너지, 수소경제, 연료전지 등의 수소에 관한 교양지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STACK-Up"은 건물용 연료전지 핵심부품인 스택의 분해-조립 공정을 실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Meta-Fuelcell 플랫폼은 교육자에게는 대면 교육의 한계점을 개선하여 교육 장소, 시간, 인원 등의 제약이 없는 비대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에게는 교육 주제, 순서 등을 선택권을 부여하며 메타버스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는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본 플랫폼은 연료전지 인력양성 사업에 실험적으로 적용하며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체험관광 방문동기가 관광지 이미지의 방문 만족에 따른 국내 관광 활성화 정책 연구 (Domestic Tourism Revitaliz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Visitation with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 for Experiential Tourism)

  • 박환태;이윤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35-2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 관광 방문 동기가 관광지 이미지 및 방문 만족에 따른 국내 관광 활성화에 의해 극대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체험 관광지에 방문한 체험 관광객들의 교육적 동기, 체험적 동기, 문화적 동기, 친교적 동기의 4가지 요인과 관광지 이미지, 방문만족을 통한 국내 관광 활성화할 수 있는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코로나 시대에 국내 체험관광객의 방문 동기와 관광지 이미지, 방문 만족과 관련한 결과를 본 연구에 맞게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체험관 광객의 방문 동기에 대한 4가지 요인을 통한 체험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 만족에 관한 연구로 관광객 눈높이에 맞는 체험 관광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의 팬데믹 코로나 시대에 관광객들의 체험 관광 방문 동기에 참여하는 새로운 변화를 추진해 나가는데 필수적인 조건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국내 체험 관광 사업기업체에서 운영하는 체험 관광프로그램 측면에서는 가능한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언택트 서비스의 특성을 살린 안전한 관광지 이미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팬데믹 코로나 시대에 체험 관광활동의 방문이 다소 제한적인 거시적 환경에서 비대면 서비스 확대를 통해서 지역의 직접적인 체험 프로그램 발굴 및 개발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국내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수업의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 전문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Online Classes Educational Quality and Learning Emotions on Learning Outcome - Focusing on H Technical College Students -)

  • 김보영;황혜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67-476
    • /
    • 202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혀보는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3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31일까지 수도권 소재 H 전문대학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수업의 질, 학습정서와 관련된 요인들이 학습성과에 주는 영향력과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해 성별, 학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중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과 긍정적 정서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과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 학습환경으로 타나났다. 결론적으로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전문대학생들의 학년,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전문대학 수업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전문대학생들이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업 현장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이끄는 학습 내용개발과 학년별, 단계별 접근이 허용되는 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들이 안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이끄는 수업환경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교육용 가상실험 라인 트레이서 모델링 (Line Tracer Modeling for Educational Virtual Experiment)

  • 기장근;권기영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6
    • /
    • 2021
  • 전통적으로 공학분야는 실험 실습 위주의 대면 교육이 주를 이루어 왔으나, IT 기술 및 인터넷 통신망의 급속한 발전과 최근 COVID-19 등의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해 온라인 학습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다른 분야에 비해 실험 실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학 분야에서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려면 실제 실험 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 가상 실험실습 콘텐츠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자 분야 뿐만 아니라 IT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인 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효율적인 온라인 응용 학습을 위해 라인 트레이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가상실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라인 트레이서 모델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로 하드웨어 파라미터 값들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이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어셈블리 언어나 C 언어 등으로 작성하여 컴퓨터 상에서 동작을 시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개발된 라인 트레이서 가상 실험 소프트웨어는 실제 수업에 활용하여 동작을 검증하였으며, 앞으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비대면 수업에서 효율적인 가상 실험 실습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