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School Students in Covid-19 : Focusing on School, Home, Daily Stress

  • 이기언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
  • 최성광 (광주광역시교육연수원)
  • Lee, Ki-Eon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 Policy Institute) ;
  • Choi, Sung-Kwang (Gwangju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 투고 : 2021.03.17
  • 심사 : 2021.04.26
  • 발행 : 2021.04.30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전체 초등학생 5-6학년, 중학생 1-3학년, 고등학생 1-2학년을 전수조사하였다. 초·중·고학생 총 13,672명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이 중 13,613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요인은 22.2%, 가정생활 요인을 추가하면 4.7%,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을 추가하면 10.7%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생활 만족도였고, 그다음으로는 초등학생은 외모 스트레스, 중·고등학생은 학업 스트레스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늘어나 학생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가정생활 요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중·고등학생은 여전히 학업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학생들이 가정에서 관계, 소통, 학업, 여가 등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특히 가정환경에 따라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력 격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다각도의 교육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school students in Covid-19.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in all 5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st-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1st and 2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3,67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which 13,613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tudents'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22.2% of school life factors, 4.7% of home life factors, and 10.7% of daily stress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ovid-19 was home life satisfaction. Next was appearance str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stres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Covid-19, which increased non-face-to-face classes and increased time for students to spend at home, which led to a greater impact on students' satisfaction in life. Nevertheles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still see that academic str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support students to facilitat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studies, and leisure at home in the context of Corona 19. Especially,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must be accompanied so that the educational gap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does not deepen depending on the family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성광, 최미정(2021).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현장교사들이 경험한 'K-교육'에 대한 FGI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2): 179-189.
  2. OECD(2017b). PISA 2015 result: Students' well-being(Vol. III) overview. OECD publishing, Paris.
  3. Valois, R. F., Zullig, K. J., Huebner, E. S., & Drane, J. W.(2001).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violent behaviors among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5(4), 353-366. https://doi.org/10.5993/AJHB.25.4.1
  4. 장덕희, 신현진(2017).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 연구, 9(4): 191-216.
  5. De Ruyter, D.(2015). Well-being and education. In J. Suissa, C. Winstanley, & R. Marples, (Eds.), Education, philosophy and well-being: New perspectives on the work of John White(pp. 84-98). Oxon: Routledge.
  6. 유수현(2013).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유희애, 김영혜(2020).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부모자녀 의사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4(11): 33-52.
  8. 양미란, 유미(2019). 학령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라이프케어를 위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563-572.
  9. 이명숙(2013). 청소년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가족기능 및 진로 정체감의 영향: 한국-중국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20(4). 151-174.
  10. Gilligan, T. D., and Huebner, S.(2007). Happiness, economy and institutions. The Economic Journal, 110(466): 918-938. https://doi.org/10.1111/1468-0297.00570
  11. 여성가족부(2011). 2010 청소년가치관 한.중.일 국제비교 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2. 황혜정(200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1): 193-216.
  13. 김의철, 박영신(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1(3):539-555.
  14. 강유진(2008).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요인의 스트레스 중재효과: 보호과정 및 취약과정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19(3): 57-84.
  15. 조아미(2004). 청소년의 여가만족도, 생활만족도,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패널조사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김옥선, 오윤자, 최명구(2006).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아동교육, 15(1): 195-207.
  17. 김명소 외(2002).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 8(20): 415-442.
  18. 최경소(2003).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김은주(2007).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3): 539-555.
  20. 송지준(2013).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1. 선혜연, 오정희(201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4(1): 197-212.
  22. 이경희(1995).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곽수란(2009). 중.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패널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9(4): 1-20.
  24. 신현숙(2015). 초.중.고등학생의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 교육연구, 38: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