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dominant ey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우세눈과 비우세눈의 높낮이 식별 인지능력 차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ifference in Height Cognition Ability i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

  • 최율정;이준용;심현보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33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height cognition ability according to dominant or non-dominant eye. Methods: Forty one healthy adults (male: 19, female: 22, 22-43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ole in the card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dominant eye. To figure out height cognition ability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 we had subjects answer which point is higher or even on the monitor. Results: The Right answer on dominant eye was $8.15{\pm}1.44$ point and the right answer on non-dominant eye was $7.56{\pm}1.55$ poi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ominant eye group and non-dominant eye group (p<.05).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dominant eye may be used for reliable diagnosis. In future study, investigate on relation between dominant hand and dominant eye and the difference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when to palpation are required.

  • PDF

우위안의 굴절이상이 눈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commodation of eye on ametropic dominant eye)

  • 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49-154
    • /
    • 1997
  • 20세 이상의 대한민국 성인 123명을 대상으로 우위안을 조사하고 우위안의 교정굴절력, 나안시력, 과교정에 따른 타안의 조절 등을 조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 대상자 충 74%인 91명이 우안 우위안이었고, 안경에 대한 교정굴절력은 우위안이 높았으며, 나안시력은 같은 사람이 많았고 남자에서는 비우위안이 여자에서는 우위안이 높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비정시인 사람의 나안시력은 남, 여 모두 비우위안이 높았다. 한쪽 눈을 과교정 시킬 때 다른 눈의 반응은 50% 이상에서 동시에 조절이 발생하였으며 우위안을 과교정 시킬 때가 비우위안을 과교정 시킬 때 보다 조절하는 사람이 많게 조사되었다.

  • PDF

연령대별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Research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by Ages)

  • 이완석;예기훈;안선정;신범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3-211
    • /
    • 2013
  • 목적: 양안으로 사물을 주시할 때 우세안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안경과 콘택트렌즈 처방 시 우세안의 중요성이 크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양안에 있어서 굴절력의 변화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186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 test법을 통한 우세안을 검사하였다. 검사의 일관성을 위해 동일인이 측정하였으며,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3회 반복 실시하였다. Spss통계를 통해 굴절력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자 186명 중 우안 우세안은 135명, 좌안 우세안은 51명이었다. 굴절이상 환경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10세 이전(평균 $8.8{\pm}1.18$세)과 본격적으로 굴절이상이 발생하는 10세에서 20세 사이(평균 $14.1{\pm}2.58$세), 그리고 시력안정화 시기에 접근하는 20세 이후(평균 $51.8{\pm}17.51$) 모두 우세안의 시력이 비우세안보다 시력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시성 난시에 있어서 우세안의 난시 굴절력 평균값이 비우세안 난시안의 평균값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7<0.05). 결론: 양안 중에서 전체적으로 난시도가 작고 균형 잡힌 눈이 우세안으로 선택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다.

우성안과 주동수가 길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Length Cognition Ability in Dominant Eye & Hand)

  • 남건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65
    • /
    • 2009
  • Background: Human body is formed of symmetric bilateral structures that are comprised of eye, upper arm, lower arm and etc. but, we are used only dominant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length cognition ability in dominant eye & hand. Method: Total 180 persons (male 32, female 138)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tested with 'hole in the card' test for identification of dominant eye's side and the question for identification of dominant hand's side, then the length cognition ability was measured in right & left axillary level by describing 10cm line. Results: The results by independent t-test were as follows. In difference of length cognition ability in right axillary level between right dominant eyed group & left dominant eyed group, right dominant eyed group was superior to left dominant eyed group,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existed statistically(p>.05). In left axillary level, right dominant eyed group was superior to left dominant eyed group,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existed statistically(p>.05). In axillary level of dominant eye's side, non-crossed group was superior to crossed group,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existed statistically(p>.05). In axillary level of non-dominant eye's side, non-crossed group was superior to crossed group,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existed statistically(p>.05). Conclusion: These result can be applied to the learning of palpation & observation skill in physical therapy.

  • PDF

유발된 부동시의 교정에 따른 입체시 변화 (Changes of Stereoacuity with Correction in Induced Anisometropia)

  • 최진영;김재민;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1-126
    • /
    • 2008
  • 목적: 단안 과교정 및 저교정으로 유발된 부동시에서 정상적인 양안시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교정도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의 병력이 없는 20대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우위안 및 비우위안에 각각 과교정 및 저교정으로 부동시를 유발한 후 40 cm의 근거리에서 Titmus-fly stereotest 시표로 입체시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위안 또는 비우위안에 구면렌즈를 부가하여 부동시를 유발한 경우, 가입도수의 증가에 따라 입체시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구면렌즈 가입에 따른 최초의 입체시 감소는 (-)구면렌즈 가입에 의한 입체시 감소보다 현저하였다. 또한 우위안에 유발시킨 부동시의 경우가 비우위안에 유발시킨 부동시보다 입체시 감소의 정도가 두드러졌다. 결론: 유발된 부동시에서 입체시는 비우위안을 완전교정하고 우위안에 (+)구면렌즈 도수를 증가시킬수록 두드러지게 감소하였다.

  • PDF

Effects of eye dominance on shade matching and color perception among the dentist population

  • Pattnaik Kalyani;Kannan Subiksha;Amit Jena;Govind Shashirekha;Saumyakanta Mohanty;Gaurav Sharm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4호
    • /
    • pp.40.1-40.8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ye dominance on color perception, and shade matching.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re were 3 groups: Group I: 3rd and 4th year dental students and interns (n = 40); Group II: postgraduates (n = 34); Group III: senior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 6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n = 30).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congenital color blindness with Ishihara plates, their dominant eye with Mile's test, and their color perception with the Farnsworth-Munsell 100 hue test. The shade guide test was used for shade matching with a second corresponding set of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s. Results: The results of Mile's test revealed that 60.6% were right-eye dominant and 39.4% were left-eye domina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participants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the non-dominant eye in shade matching. Conclusions: The dominant eye has a positive effect on shade matching and the ability to match shades becomes better with an increase in clinical experience.

초등학교 아동의 우위안과 교정굴절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orrected Lens and Dominant Eye in Elementary School)

  • 이학준;김창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56
    • /
    • 2003
  • 전북 익산 시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아동 중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우위안과 교정굴절력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경과를 얻었다. 안경착용자 중 65.4%인 51명이 우안 우위안이었고 좌안 우위안은 27명 34.6%였다. 우위안과 비우위안의 교정굴절력은 구면과 난시 모두 비우위안의 굴절력이 높았다.

  • PDF

주시안과 눈꺼풀 올림근 기능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Ocular Dominance and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 Function)

  • 하기영;서현우;김부영;김태연;박성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65-270
    • /
    • 2010
  • Purpose: Most of the bilateral structures in our body are not perfectly balanced, such that one side is preferred than the other or it has physiological superiority. Eyes also have an imbalance; the eye with sensory and motional superiority compared to the other is called dominant eye. Authors of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2 patients with no ptosis and with no past history of blepharoplasty. Hand dominance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naire and dominant eye was identified by hole-in-the-card dominance test (Dolman's test) in all patients. The function of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 was measured by MLD (marginal limbal distance). During the measuring procedure, frontalis muscle was not inhibited to avoid the eyelid skin hooding. Results: Out of 42 patients, 27 patients (64.3%) were right ocular dominant, 15 patients (35.7%) were left ocular dominant, 36 patients (85.7%) were right hand dominant and 4 patients (9.5%) were left hand dominant. Out of 27 right ocular dominant patients, right MLD was larger than the left in 26 patients (96.3%). It was larger in average of 0.47 mm (p<0.001) in 27 right ocular dominant patients. Also, left MLD was larger than the right in 11 patients (73.3%) out of 15 left ocular dominant patients. It was larger in average of 0.57 mm (p=0.003) in 27 left ocular dominant patients. MLD on the side of the dominant eye was larger in average of 0.50 mm (p<0.001) than the MLD of non-dominant eye side. Right MLD was larger than the left in average of 0.28mm (p=0.010) in right hand dominant patients, and left MLD was larger than the right in average of 1.15 mm (p=0.025) in left hand dominant patients. Conclusion: The function of levator palpebrae muscle differs in right and left, and the difference correlates with the dominant eye. Also, the function of levator palpebrae muscle is stronger in the dominant eye. We were able to present statistical evidence regarding the difference of the function in right and left levator palpebrae muscle. This may be a factor worth consideration in terms of balancing the eyes during the blepharoplasty.

검사방법에 따른 우세안의 방향 및 강도의 비교 (The Direction and Level of Dominant Eye According to the Tests)

  • 심준범;주석희;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3-368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각적, 타각적 방법을 각각 이용하여 우세안, 비우세안을 비교 하였고 그에 따른 우세안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기저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1.08세인 성인 129명(남69, 여60)을 대상으로 렌즈미터 접안렌즈를 이용한 자각적인 방법과 손잡이가 달린 $3.8cm{\times}3.8cm$ 직경의 가는 링을 이용한 타각적인 방법으로 우세안, 비우세안을 비교 하였고, 또한 림의 이동방향에 따라 우세안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자각적인 방법은 우안 우세안 100명(77.52%), 좌안 우세안 29명(22.48%)으로 나타났다. 타각적인 방법의 우세안은 우안 90명(69.77%), 좌안 33명(25.58%), 방향성이 없는 정중앙은 6명(4.65%)으로 나타났다. 자타각적 비교 결과 모두 동측의 방향성(일치)을 나타낸 경우는 104명(80.62%), 교차성(불일치)의 경우는 19명(14.73%), 기타 6명(4.65%)로 나타났다. 타각적인 방법에 따른 우세안의 강도는 우안의 경우 전체 90명 중 Middle 52명(57.78%), High 38명(42.22%)으로 나타났고 좌안의 경우 전체 33명 중 Middle 25명(75.76%), High 8명(24.24%)로 나타났다. 결론: 우세안은 검사방법에 따라 방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행한 O-Ring Test는 우세안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우세안의 강도가 약하거나 중간 강도의 우세안을 가진 경우 교차성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를 바탕으로 우세안 방향의 일치성과 불일치성의 관계 및 우세안의 강도에 따른 양안시기능 등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진촬영으로 측정한 카파각 (Measured Kappa Angles by Photographing)

  • 신형섭;장준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5-489
    • /
    • 2015
  • 목적: 눈의 카파각을 사진촬영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우세안과 원점굴절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성인 112명, 평균나이는 $22.54{\pm}5.90$세를 대상으로 카메라 플래시를 터트리면서 양안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으로 카파각을 측정하였으며, 우세안과 원점굴절도와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카파각의 부호는 양성이 78.6%(176안), 음성이 15.2%(34안), $0^{\circ}$가 6.2%(14안)이었고, 크기는 우세안 $+4.50{\pm}4.70^{\circ}$, 비우세안 $+4.93{\pm}4.34^{\circ}$로 나타났으며, 원시안에서 $+6.00{\pm}2.22^{\circ}$, 정시안에서 $+4.91{\pm}4.97^{\circ}$, 근시안에서 $+4.61{\pm}4.49^{\circ}$로 원시안에서 가장 크고 정시안, 근시안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우세안의 카파각이 비우세안보다 작았으며, 원점굴절도가 작을수록 카파각이 작았다. 사진촬영 방법으로 카파각을 직접 평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