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Conductive Adhesiv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MEMS 접착제용 에폭시 복합재의 아미노 변성 실록산 첨가에 의한 효과 (Effect of Amino Modified Siloxane on the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for MEMS Adhesives)

  • 이동현;유기환;김대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203-207
    • /
    • 2009
  • 소형 반도체 접착에 쓰이는 비전도성 고분자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접착소재와 칩 또는 기판 간의 열 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박리, 크래킹 및 접착력 부족 등이 있다. 이러한 결점의 보완을 위하여 무기입자를 첨가한 고분자 복합소재를 통해 접착제의 열팽창계수를 낮추거나, 접착소재에 유연성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 말단에 아민기를 가지는 아미노 변성 실록산(AMS)의 함량을 1, 3, 5 phr로 변화시켜 실록산/에폭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실록산의 첨가는 유리전이 온도를 $134^{\circ}C$에서 $122^{\circ}C$까지, 모듈러스를 2,425 MPa에서 2,143 MPa까지 감소시켰으며, 열팽창계수는 67 ppm/에서 71 ppm/까지 상승시켰다. 실록산은 유연성 부여에는 효과를 나타냈지만, 유리전이온도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개시제 특성에 따른 터치 패널용 UV 경화형 Ag 페이스트의 물성 연구 (A Study on Properties of UV-Curing Silver Paste for Touch Panel by Photoinitiator Characteristic)

  • 남수용;구용환;김성빈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
    • /
    • 2011
  • The recent spotlight on electronic touch-screen display, a rapid breakthrough in the information society is evolving. Touch panel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without the use of, the on-screen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or object on the person's hand touches a particular featur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a panel is to be handled. The touch screen on the touch panel is used in the Ag paste is used mostly for low-curable paste. The thermal-curing paste according to the drying process of thermal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organic solvents have problems. In this study, Ag paste used in the non-thermal curing friendly and cost-effective UV curable paste was prepared. Current commercially available thermal-curable binder, was used instead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UV-curable oligomers and monomers with functional groups to give a single conductive Ag paste with the addition of a pattern could be formed. Ag paste as a result, thermal-curing adhesive, hardness, resistance and excellent reproduction of fine patterns and was available with screen prin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uld see its potential as a patterning technology.

전자소재 접착제용 에폭시에 두 종의 다른 당량수를 갖는 아미노 변성 실록산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Modified Siloxanes with Two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n the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for Adhesives for Micro Electronics)

  • 유기환;김대흠
    • 공업화학
    • /
    • 제22권1호
    • /
    • pp.104-108
    • /
    • 2011
  • 소형 반도체 접착에 쓰이는 비전도성 고분자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접착소재와 칩 또는 기판 간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박리, 크래킹 및 접착력 부족 등이 있다. 이러한 결점의 보완을 위하여 실리카, 나노클레이 등의 무기입자를 첨가한 고분자 복합소재를 통해 접착제의 열팽창계수를 낮추거나, 접착소재에 유연성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 말단에 아민기를 가지는 아미노 변성 실록산(AMS)을 유연제로 활용하기 위한 실험으로서, 다른 당량을 갖는 두 종류의 AMS의 함량을 1, 3, 5, 7, 9, 10 phr로 변화시켜 AMS/에폭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당량이 작은 AMS인 KF-8010과 에폭시 복합체의 유리전이 온도는 148에서 $122^{\circ}C$까지, 당량이 큰 AMS인 X-22-161A와 에폭시의 복합체의 유리전이 온도는 148에서 $121^{\circ}C$까지 감소하여 AMS의 당량 변화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KF-8010/에폭시 복합체의 모듈러스는 2648에서 2143 MPa까지 X-22-161A/에폭시 복합체는 2648에서 2015 MPa까지 감소하여 큰 당량의 AMS를 첨가한 에폭시 복합체가 적은당량의 AMS를 첨가한 에폭시 복합체보다 더 큰 폭의 모듈러스 감소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