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muraea riley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서식하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곰팡이 (Nomuraea rileyi ANU101)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Nomuraea rileyi ANU101, infecting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n Korea)

  • 황지현;박복리;김근섭;이순구;김용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9-143
    • /
    • 2009
  • Several entomopathogenic fungi have been exploited to be developed into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insect pest management.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s a serious insect pest infesting various crops, but not effectively controlled by commercial chemical pesticides due to its high insecticide resistance. A fungal isolate was isolated from S. exigua larvae collected from cabbage field in Andong, Korea. The fungus could be cultured in potato dextrose agar. Larvae of S. exigua injected with the cultured conidia showed a potent entomopathogenicity. To identify the fungus isolate,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 (ITS) and surrounding partial 18S/28S regions were sequenced. The ITS sequence was highly matched (99%) to that of Nomuraea rileyi. Morphological characters of its hyphae and conidia were well fit to those of known N. rileyi.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record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N. rileyi, in Korea.

파밤나방의 미생물적 방제를 위한 병원성 곰팡이 Nomuraea rileyi의 특성 및 병원성 검정 (Characteristics and Virulence Assay of Entomopathogenic Fungus Nomuraea rileyi for the Microbial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 이원우;신태영;고승현;최재방;배성민;우수동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4-292
    • /
    • 2012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은 유기합성 농약을 이용한 화학 살충제 외에 뚜렷한 방제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에 대한 저항성과 더불어 식물을 가해하는 방법에 있어 그들만의 독특한 숙주 가해습성으로 인해 난방제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의 해결을 위하여 곤충병원성 바이러스 및 세균을 이용한 살충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 역시 파밤나방 유충이 줄기 속으로 들어가는 가해습성으로 인하여 효과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가해습성과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제원으로써, 체벽과의 일시적인 접촉을 통해 살충성을 발휘할 수 있는 파밤나방에 대한 병원성 곰팡이를 분리하고 그 특성 및 살충성을 조사하였다. 파밤나방 병원성 곰팡이는 파밤나방 누대사육 중 곰팡이병 증상을 보이며 이병된 사충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분리 곰팡이는 배지에서의 증식상 및 현미경적 관찰을 통한 형태학적 동정과 더불어 ITS, ${\beta}$-tublin 및 EF1-${\alpha}$ 부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Nomuraea rileyi로 최종 동정하고 N. rileyi SDSe로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의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력 검정은 $1{\times}10^4-10^8conidia/ml$까지의 다양한 포자현탁액에 파밤나방 3령 유충을 침지하는 조건으로 수행한 결과, 20-54%의 살충률을 나타냈으며 포자현탁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분리된 N. rileyi 균주가 비록 높은 살충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파밤나방이 난방제 해충임을 감안할 때 다른 방제방법과 함께 종합적 해충 방제 방법에 있어 효과적인 방제수단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밤나방의 기주 및 피해조사 (The Host Plant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epidoptera: Noctuidae) and Its Occurrence)

  • 고현관;박종대;최용문;최귀문;박인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6
    • /
    • 1991
  • 파밤나방의 기주로 채소 13종, 전작물 12종, 화훼 6종, 기타 11종 등 총 42종이 확인되었고 그중 25종이 새로운 기주로 조사되었다. 파밤나방에 의한 파의 지역별 피해주율은 완도 85%, 진도 86%, 해남 78%였고 서산 1.9%, 아산 1.5%, 청양 1.4%였다. 전남지역에서 파를 제외한 기타 작물에서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주율은 감자 95%, 옥수수 94%, 양배추 82%, 녹두 83%, 콩 56%, 배추 43%, 고구마 43%였다. 충남지역에서 파밤나방의 천적으로 녹강균과 핵다각체바이러스가 동정되었고 기생율은 9.2~3.7%였다. 전남 광주의 들깨 포장에서의 녹강균에 의한 기생율은 7월 5일 13.4%, 8월 7일 28.9%, 9월 10일 18.5%였다.

  • PDF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Entomopathogenic Fungi Isolated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 Nguyen, Mau Tuan;Nam, Sung Hee;Park, Hyun Ro;Han, Myung S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229-234
    • /
    • 2004
  • Six entomopathogenic fungus isolates, Beauveria bassiana J57A, Nomuraea rileyi J125A, Paecilomyces farinosus J3A, Paecilomyces fumosoroseus J50A, Metarhizium anisopliae J88, Aspergilius sp. J64A, causing muscardine disease and aspergillos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DA culture media within 14 days at $24^{\circ}C$).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differ each other from the feature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colony elevation, colony color, colony growth rate) 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idiogenous cell structure, phialides, conidia size and shape). Among cultural characteristics, colony color is the easiest recognizable character between isolat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fungal isolate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s of current system of classification.

한국의 산과 섬 지역에서 채집한 곤충기생 진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Collected from Mountains and Islands in Korea)

  • 김완규;석순자;원항연;이강효;이찬중;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9-104
    • /
    • 2010
  •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 여러 지역의 산과 섬 지역을 조사하여 진균에 감염된 죽은 곤충시료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곤충시료에 형성된 진균의 자실체 형태를 조사하고, 채집한 곤충시료에서 총 542균주의 진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의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분리빈도가 많은 곤충기생 진균은 Beauveria속이 3종, Cordyceps속이 8종, Isaria속이 4종이었다. 이외에 분리된 곤충기생 진균은 Metarhizium anisopliae, Nomuraea rileyi, Paecilomyces sp., Verticillium sp.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