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074건 처리시간 0.027초

지진절연 건물내 유체동적효과가 큰 수중계의 지진응답특성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Systems with Large Hydrodynamic Effect in Base-isolated Structure)

  • Shin, Tae-Myung;Kim, Kwang-Joon
    • 소음진동
    • /
    • 제7권4호
    • /
    • pp.655-661
    • /
    • 1997
  • 건물내 동적계가 수중에 있고 유체동적효과가 클 경우, 건물을 지진절연하면 일반적인 경향과는 달리 계의 지진응답이 오히려 증가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내 수조에 잠긴 계에 대하여 단순화된 복합모델의 동적해석을 통하여 건물의 지진절연이 건물내 수중계의 지진응답에 어떻게 그리고, 최대로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보인다. 이 때 응답을 줄이기 위한 내진설계방안으로서 유체질량효과를 조절하는 유체간극의 최적화를 수행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고, 간극조절이 곤란한 경우의 대안으로서 지진절연된 건물내 수중계를 다시 지진절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적절한 이중절연방식의 조합에 대한 효율을 비교하였다.

  • PDF

Bifurcating을 적용한 집중권 PMLSM의 보조극 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xiliary Pole Installation of Concentrated Winding PMLSM with Bifurcating of Armature Teeth)

  • 김용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067-1072
    • /
    • 2012
  • 현재 선형 전동기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그 응용분야가 산업전반에 확대되고 있다. 이중 반송장치 분야에서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이하 PMLSM)가 각광을 받고 있다.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고속화 고추력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전기자를 반송경로 전장에 배치하는 지상 1차측 시스템을 장거리 반송장치에 적용하면 재료비용의 증가 및 제작시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기자를 분산(불연속) 배치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기자 분산배치 방식은 구조적으로 단부가 존재하고 이러한 단부에 의해 코깅력이 발생한다. 이는 추력 맥동의 원인이 되며,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를 분산배치 할 경우 필연적으로 생기는 단부에 의한 코깅력을 저감하기 위해 Bifurcating을 적용한 집중권 PMLSM에 보조극 설치법을 제안한다. 또한 그에 따른 단부 코깅력 특성을 2차원 유한요소법(FE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권선계자형 자기 기어의 고 토크 리플 회전자에 대한 분석 및 개선 (Torque Ripple Improving and Analysis of Coil-winding Rotor of Magnetic Gear)

  • 박의종;김용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59-266
    • /
    • 2020
  • 자기 기어는 기계식 기어와 동일하게 기어의 특성을 나타내면서 각 회전자가 접촉하지 않아 마찰에 의한 소음 및 발열, 유지보수문제에서 기계식 기어보다 유리하다. 또한 권선계자를 사용하는 회전자를 적용할 경우 기어의 출력조절은 물론, 기어비 및 위급상황에서 자체적인 구동차단까지 가능하여 자기 기어의 활용가능성은 무한하다. 하지만 권선계자를 사용할 경우 영구자석과 철심간의 흡인력에 의한 코깅토크가 나타나게 되고 이는 회전자의 진동을 유발하는 토크 리플성분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권선계자를 사용하는 회전자의 토크 리플을 저감하기 위해 회전자의 다양한 형상을 분석하였으며, 자기 기어의 토크 리플을 저감하기 위한 최적의 형상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중부 연안의 대심도 점토지반에 시공된 강관 마찰 말뚝의 항타시공관리 (Case Study of Friction Piles Driven into Clayey Soils on the Central Coast of Vietnam)

  • 설훈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19-31
    • /
    • 2024
  • 국내 항타 말뚝기초의 경우 대부분 풍화암 이상의 단단한 지층에 선단 지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서남해 지역의 연약지반이 깊게 발달한 일부에서 마찰 말뚝(friction pile)이 사용되었으나 시공관리의 불확실성으로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그 사례가 많지 않다. 또한 시공과 관련하여 국내의 경우 소음 및 진동 등의 민원문제로 매입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퇴적지반이 깊은 동남아 국가(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등) 등에서는 경제성 확보를 위해 항타 시공을 통한 말뚝 시공 비율이 높으며, 그에 따른 시공 및 현장관리 경험이 많이 축적되어 있다. 현재 국내 많은 건설 기업들이 동남아 등 해외 시장 진출 사례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해당국가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항타시공을 이용한 마찰지지 말뚝 시공사례에 따른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현장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중부 연안의 대심도 점토지반에 항타 시공된 마찰지지 강관 말뚝의 동적/정적 재하시험 결과의 비교분석과 이를 토대로 수정된 항타공식을 이용한 강관 말뚝의 시공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SIP 공법의 지지력 특성에 관한 연구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SIP Piles)

  • 박종배;김정수;정형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51-60
    • /
    • 2003
  • 최근 도심지 및 주택지에서의 기초공사가 증가하면서 저소음ㆍ저진동 공법인 SIP가 지지력 및 경제성이 우수한 항타말뚝을 많이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SIP가 국내에 사용된지가 15년이 지났고 해마다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SIP의 지지 메카니즘에 대한 정확한 규명이 부족하여 항타말뚝에 비하여 설계가 보수적인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반 및 시공조건에서 시공된 103본의 현장 SIP의 지지력을 분석하여 지지특성을 파악하고 적합한 설계법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SIP의 지지력이 항타말뚝에 비하여 40% 이상 작게 나타났으며 보수적인 Meyerhof(20$\bar{N}_b'A_b$) 방법으로 구한 지지력이 현장 재하시험결과에 제일 근접하였다. 보수적 인 설계를 탈피하여 보다 경제적인 최적설계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품질관리법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정립하여 시공하중을 높이는 선행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전 블레이드의 결함진단 확률제고를 위한 가진 모멘트 적용 (Application of Excitation Moment for Enhancing Fault Diagnosis Probability of Rotating Blade)

  • 김종수;최찬규;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2호
    • /
    • pp.205-210
    • /
    • 2014
  • 기계시스템의 결함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패턴인식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진동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기계시스템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방법이 패턴인식 기법이다. 대표적 패턴 인식기법으로 최근 은닉 마르코프 모델과 인공신경망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함진단에 은닉 마르코프 모델과 인공신경망을 혼합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결함진단 대상 구조물로는 크랙을 가진 회전하는 풍력터빈 블레이드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크랙발생 여부뿐만 아니라 그 위치 및 크기도 동시에 진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서 본 연구에서는 일정 주파수들을 갖는 모멘트를 대상 구조물에 가함으로써 외부 잡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결함진단 확률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 나라 치과 기공사의 신체 자각 증상과 직업 관련 건강 위험 요인 (Subhective Symptoms and Work-related Health Risk Factors in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 김웅철;이세훈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112
    • /
    • 2000
  • Although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re prone to be exposed to various work-related health hazardous materials such as dusts, chemicals, etc., the prevalence and nature of work-related health problems of them have not been a matter of great concer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in Korea.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scribe a collected profile of subjective health symptoms and their attributable factors in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 questionnaire listing five groups of health symptoms and five health symptom-related factors was mailed to randomly selected 1,900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mong them, 1,344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returnde them. Five groups of health symptoms included musculoskeletal symptom, dermal symptoms, respiratory symptoms, eys symptoms, and ear symptoms. Five health symptom-related factors were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health risk factors, work history, health related habits and status,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Detailed parameters of health risk factors were work posture, vibration, and chemical or physical hazards such as dust, fume, vapor, solvent, light, and nois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factors; work place, area, number of employees, work hours, career, work part, and work load for work history; Broca's index, hours of sleep, eating, smoking, alcohol, exercise, health examination, and self assessed health status for health habits and status; face masks, goggles, and so on for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age, sex,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efore the start of main survey, a pilot survey was carried out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of the questionnaire. All the data obtained were coded and analyzed with PC/SAS 6.12 program. The prevalence of health symptoms was the highest in musculoskelton (87.3%), and followde by eyes (78.9%), respiratory organs (64.3%), ears (57.8%), and skin (52.2%) in descending 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sex, health examination,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hand/finger posture in musculoskeletal symptoms; sex, self assessed health status, career, acid gas, and hand contact with resin mixture in deraml symptoms; Broka's smoking, exercise,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face mask in respiratory symptoms; sex, hours of sleep, self assessed health status, work hours, work load, plaster dust, inadequate lighting, and goggle in eys symptoms, and eating, smoking,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work load in ear symptoms. With the above considerations in mind, prevalence of subjective symptoms among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was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attributable to most of the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factors, work history,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health habits and statu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t is suggest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romoting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smoking cessation, preventive measures for protection of the female technicians’health, and reducing work load be necessary, since tho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more than one subjective symptom.

  • PDF

자동차 환경에서 TDOA를 이용한 화자위치추정 방법 (On the speaker's position estimation using TDOA algorithm in vehicle environments)

  • 이상헌;최홍섭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1-7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부 환경에서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차량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음원 위치추정방법의 성능 비교와 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음원 위치추정에는 TDOA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시간영역에서 상호상관함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하는 GCC-PHAT 방법이 있다. 이중 GCC-PHAT 방법은 상호상관함수보다 반향과 잡음에 강한 특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향과 잡음이 많은 차량 환경에서 위 두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고 추가로 미디언 필터 사용을 제안하여 음원위치 추정 성능과 시스템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는 분산값이 모두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음성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두 방법의 성능 차이가 거의 없지만, 노래신호를 사용한 음원위치 추정에서는 GCC-PHAT 방법이 상호상관함수에 비해 인식률이 10%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디언 필터를 추가한 경우에는 상호상관함수 방법의 인식률을 최고 11%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고 분산값에서도 두 방법 모두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주었다.

강합성 하로 철도교의 동적거동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Research on Dynamic Behavior of Steel Composite Lower Railway Bridge)

  • 정영도;고효인;강윤석;엄기하;이성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7-35
    • /
    • 2019
  • 기존의 중-장경간 철도교량에는 주로 강박스 거더교가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강박스 거더교는 교량 아래의 공간확보가 불리하고, 주거더가 얇은 박판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진동에 의한 울림소음이 발생하여 소음에 대한 많은 민원이 제기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강박스 거더교를 대체할 수 있는 장지간 철도교량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개발된 강합성 하로 철도교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고, 이 철도교의 주요 적용 지간인 40m와 50m 교량을 대상으로 실제 운행열차인 KTX 하중의 운행속도를 반영하여 상용유한요소프로그램인 MIDAS Civil을 이용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석결과를 분석하여 대상교량의 동적거동 특성을 확인하고 철도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동적성능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검토 대상 교량 모두 동적안전성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지간 40m의 경우 연직가속도 값이 상당히 크게 나와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단면을 수정하여 연직가속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압축하중을 받는 압입강관말뚝의 지지거동 특성 (Bear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ressure Penetrating Steel Pipe Pile Under Compression Load)

  • 권오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5-13
    • /
    • 2015
  • 압입강관말뚝공법은 기초보강, 상부 및 지하 증축, 부등침하 복원 등에 사용되는 공법으로 유압잭을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시공이 가능한 기초 보강공법이다. 이 공법의 특징은 협소한 공간, 낮은 층고, 근접 시공이 가능하고, 무소음 및 무진동 공법이며 슬라임을 배출하지 않아서 시공현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말뚝을 유압잭의 압입하중으로 시공하므로 시공 중 지지력 확인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압입강관말뚝에 대하여 하중전이시험을 수반한 말뚝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여 압입강관말뚝의 하중지지 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말뚝 시공 후 경과시간에 따른 압입강관말뚝의 지지거동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4회의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재하시험 결과, 압입강과말뚝의 허용지지력은 최소 637kN 이상으로 나타났고, 재하하중의 81~86%를 마찰하중이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2개월이 경과하면 단위주면마찰력은 최대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