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e culture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8초

정상아에서 Lymphoma로 혼동된 Cryptococcal Lymphadenitis 1례 (A Case of Cryptococcal Lymphadenitis Mimicking Lymphoma)

  • 김보미;민기식;김종완;김광남;유기양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권2호
    • /
    • pp.194-199
    • /
    • 1996
  • Cryptococcosis is a rare in normal child and the majority of cases usually occur in patients with defective cell-mediated immunity. Infection is acquired by inhalation of organisms from the environment and disseminated via the blood stream to any organ of the body. We experienced a 7 year old girl who presented with fever, both cervical lymphadenopathy, hepatomegaly under the impression of lymphoma. However lymph node biopsy revealed cryptococcal budding and culture of lymph nodes yielded cryptococcus neoformans. The radiologic finding showed huge, multiple cervical lymph node enlargement spreading to mediastinum and abdomen. The immune fuction in term of T cell, B cell, serum immunoglobulin, complement and neutrophil function tests was normal.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mphotericin B and flucytosine for 6 weeks and responded to the treatment well.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 PDF

Detection of Mycobacterium bovis in the lymph node of tuberculin positive cattle by guanidium isothiocyanate/silica DNA extrac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 Cho, Yun-Sang;Jung, Suk-Chan;Yoo, Han-Sang;Kim, Jong-Man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3-241
    • /
    • 2007
  • Tuberculin positive cattle without gross tubercle lesions should be confirmed by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infection. To overcome the time-consuming and laborious identification by culture and biochemical test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has been used to identify Mycobacterium bovis. Due to various lipids in the cell wall of Mycobacterium spp, novel methods of DNA extraction from Mycobacterium spp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a newly developed guanidium isothiocyanate/silica DNA extraction method was directly applied to specimens from the tuberculin positive cattle. DNAs were directly extracted from the lymph nodes and the major polymorphic tandem repeat (MPTR) and mycobacterial protein of BCG 70 (MPB70) were amplified using PCR. The DNA extraction method using guanidium isothiocyanate/silica was efficient and safe, and the MPTR and MPB70 primers were specific to M bovis. Therefore, MPTR and MPB70 PCRs will be useful for the detection of M bovis in the lymph node from skin-test positive cattle.

스마트온실 배양액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시스템 설계 (Design of Cloud-Based Data Analysis System for Culture Medium Management in Smart Greenhouses)

  • 허정욱;박경훈;이재수;홍승길;이공인;백정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1-259
    • /
    • 2018
  • 스마트온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경배양액 관리와 관련하여 ICT 기술을 활용한 작물생육 기반 배양액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작물 생육단계별 시용배양액의 성분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이들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수집한 데이터 분석 및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인공광 스마트 온실에서 사용하는 관행의 무기 배양액, 기존 액비 및 폐기 농업부산물 유래 제조액비 등 수종의 배양액을 공시하였으며, 수경재배 작물 생육단계별 시용 배양액내 성분 변화패턴을 모니터링하였다. 발색법에 의한 흡광광도법을 활용하여 $NH_3-N$, $NO_3-N$, $NO_2-N$, $SiO_2$, $PO_4^{3-}$ 및 Cu 등 총 9종의 성분농도 변화를 산출하고 작물의 기초 생육량을 조사하였다. 각 작물의 기초 생육량 데이터는 오픈스택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생성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집 항목별로 분류 저장하였다. 저장된 작물별 배양액의 성분변화와 생육량 데이터는 노드제이에스(Node. js) 웹 프레임워크(Framework)를 통해 매주 수집된 데이터를 가시화하여 제공한다.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을 통하여 배양액 성분 실측치 비교와 작물 생육상황은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s)를 활용, 작물종과 배양액 성분을 순차적 선택하고, 각 데이터의 비교 및 분석을 시계열 그래프로 실험 결과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시스템 스마트온실내 수경배양액 성분변화 및 재배 작물의 생육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 실측치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것으로 시설재배지나 인공광 스마트온실 등 다양한 농업현장에서 생육관리를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SEP에서 전송 거리 분배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수명 개선 (Lifetime Improve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the Distribution of a Transmission Distance in the SEP)

  • 이창희;이종용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33-1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공간을 둘로 나누어 멀리 있는 층의 클러스터 헤드의 전송 거리를 줄여 SEP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지국은 노드의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노드 거리와 가장 먼 노드 거리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층을 나눈 후, 기지국으로부터 먼 바깥쪽 층의 클러스터 헤드는 안쪽 층의 클러스터 헤드를 경유하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바깥쪽 층의 클러스터 헤드의 전송 거리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Layered SEP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기존의 SEP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3D-culture models as drug-testing platforms in canine lymphoma and their cross talk with lymph node-derived stromal cells

  • An, Ju-Hyun;Song, Woo-Jin;Li, Qiang;Bhang, Dong-Ha;Youn, Hwa-You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5.1-25.16
    • /
    • 2021
  • Background: Malignant lymphoma is the most common hematopoietic malignancy in dogs, and relapse is frequently seen despite aggressive initial treatment. In order for the treatment of these recurrent lymphomas in dogs to be effective, it is important to choose a personalized and sensitive anticancer agent. To provide a reliable tool for drug development and for personalized cancer therapy, it is critical to maintain key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umor.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model of hybrid tumor/stromal spheroids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anine lymphoma cell line (GL-1) and canine lymph node (LN)-derived stromal cells (SCs). Methods: A hybrid spheroid model consisting of GL-1 cells and LN-derived SC was created using ultra low attachment 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s and tumor cells (TCs) was investigated using a coculture system. Results: TCs cocultured with SC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upregulated multidrug resistance genes, such as P-qp, MRP1, and BCRP, compared with TC monocultures.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coculture with SCs reduced doxorubicin-induced apoptosis and G2/M cell cycle arrest of GL-1 cells. Conclusions: SCs upregulated multidrug resistance genes in TCs and influenced apoptosis and the cell cycle of TCs in the presence of anticancer drugs. This study revealed that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umor microenvironment and TCs is essential in designing experimental approaches to personalized medicine and to predict the effect of drugs.

멜론의 펄라이트 재배시 타이머 제어에 의한 급액 시간과 착과절위가 과실의 품질과 수확시기에 미치는 영향 (Favorable Irrigation Timing with Timer and Fruiting Position Focused on the Fruit Quality and Harvesting Time in Perlite Culture of Muskmelon)

  • Kim, H. J.;Kim, Y. S.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57-162
    • /
    • 2002
  • 본 연구는 타이머 제어에 의한 관수 시간과 착과절위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999년 2월 18일부터 7월 5일까지 수행되었다. 타이머에 의한 시간별 급액 처리는 6:00부터 18:00까지 한 시간 간격으로 관수된 것(T-1)과 6:00, 8:00, 10:00, 11:00, 12:00, 12:30, 13:00, 13:30, 14:00, 14:30, 15:00, 16:00, 및 17:00에 관수된 것(T-2)로 설정하였다. 과실은 그루당 1개씩 착과 시켰으며, 착과절위처리는 10, 12혹은 13절위 중 한 절에 착과시켰다. 포트 무게는 일일 적산 일사량과 무관하게 T-2에서 안정적인 값을 유지하였다. 당도와 과중은 수확시기별로 관수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차 수확에서 당도와 과중은 관수 처리별 착과 절위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2차 수확에서 당도는 T-1 처리구보다 T-2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착과절위별 비교 실험에서, T-1 처리구에서는 10절에서 낮았던 반면 T-2처리구에서는 착과절위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중은 T-1 처리구의 12, 13절 그리고 T-2 처리구에서는 13절에서 가장 높았다. 엽병을 제외한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수확시기와 무관하게 높은 절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착과절위가 높을수록 엽중은 낮았다. 결과적으로, 관수는 낮에 자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봄 재배시 멜론 과실을 낮은 절위에 착과시키면 수확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구마 무병묘의 기내 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 Sucrose, 최소생장 보존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 Sucrose, and Minimal-growth Conservation on In Vitro Propagation of Virus-free Sweet Potato Plantlets)

  • 이나라;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
    • /
    • 2020
  •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기내급속증식을 위한 적정 생장 조절물질 및 sucrose 농도, 최소생장 기내보존(15℃)에 미치는 광의 영향과 생존율 및 기내생장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고구마 무병묘의 마디배양은 0.2 mg·L-1 BA 첨가배지에서 줄기신장, 줄기직경, 잎수, 뿌리수,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이 가장 양호하였다. 배양부위 및 배지물리성에 따른 적정 sucrose 농도는 마디배양은 5% sucrose를 첨가한 고체배지에서, 정단배양은 3% sucrose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줄기두께, 잎수, 뿌리수, 뿌리길이,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의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15℃ 저온항온기에서 고구마 무병묘의 최소생장 기내보존은 암상태에서는 3개월 내에 모두 고사하였으나, 적색:청색(7:3) 혼합 LED (150±5 μmol·m-2·s-1 PPFD)에서는 5개월까지 100% 생존하였다. 따라서 고구마 무병묘의 최소생장 기내보존에는 광이 필요하며, 샬레에 밀식(10 개체/샬레)할 경우, 좁은 공간에서 대량보존이 가능하였다.

단호박 착과율 향상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 육묘효과 (Raising Seedling at Hallasan Area of Sub-Alpine Improved Fruiting Rate of Squash (Cucurbita maxima))

  • 성기철;김천환;이진수;김두섭;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5-389
    • /
    • 2006
  • 단호박의 억제재배시 착과율 향상 및 유인노력 절감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해발 600m) 육묘 효과를 검토 하였다. 정식직전 묘의 T/R율은 평지 육묘 9.5로 도장된 경향을 보였으나 중산간지 육묘에서는 5.4로 건실한 묘 생육을 보였다. 육묘 지역에 따른 1번 암꽃의 착생 위치는 평지 육묘 26.0마디에 비하여 중산간지 육묘 19.4마디로 크게 낮아졌으며 2번 암꽃 및 그 이후에 착생되는 암꽃들도 평지 육묘에 비하여 3$\sim$5마디 아래에서 착생되어 유인노력을 20%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2번과 착과율은 중산간지 육묘 17.2%로 평지 육묘 1.4%에 비하여 16%정도향상 되었다. 상품 수량의 경우 평지 육묘 3,500kg/10a에 비하여 중산간지 4,460kg/10a로 27%가 증가하여 한라산 중산간지를 이용한 여름철 육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가시없는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L. cv. BB21)의 근맹아를 이용한 다경유도와 절간배양을 통한 식물체 증식조건의 확립 (Establishment of optimal conditions for micropropagation by node culture and multiple shoots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thornless Blackberry (Rubus fruticosus L. cv. BB21))

  • 이강섭;김효진;박대현;오승철;조한직;김이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10-116
    • /
    • 2018
  • 본 연구에 사용한 식물체는 Rubus fruticosus L. cv. BB21은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교잡 블랙베리 V3품종에서 방사선을 처리하여 돌연변이로 선발 육종된 V9개체 중 다시 방사선을 처리하여 선발육종 된 품종이다. 이러한 우량계통의 신속한 증식을 이루기 위하여 조직 배양을 통한 효과적인 방법을 구명하고자 배지 및 생장조절물질 등의 처리에 따른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땅속에서 채집된 근맹아 절편체를 0.1, 0.5, 1.0, 2.0 mg/L BAP가 첨가된 MS와 1/2MS 배지에 치상하여 6주간 배양한 후, 다경의 형성률을 조사하였다. 형성된 다경으로부터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안정된 생산을 위하여, 신초의 잎을 제거한 후 절간배양을 수행하여 다수의 소식물체를 증식하고자 여러종류의 배지 즉, AD (Anderson 1980), B5 (Gamborg 1968), MS (Murashige and Skoog 1962), SH (Schenk and Hildebrandt 1972), QL (Quoirin and Lepoivre 1977), WPM (Lloyd and McCown 1981)배지와 상기의 각각의 동일배지의 무기염류의 수준을 절반으로 한 1/2배지에 배양하였다. 초기의 생육(30일간 배양 시)에 있어서 생장은 배지 간에 차이를 나타내어 1/2AD, 1/2QL 배지에서 가장 양호한 초장을 나타내었으며, 절간수도 약 3.8, 4.4개를 나타내었으며, 뿌리, 생중량 다경유도 모두 양호하였다. 90일간 배양한 경우에서는 MS배지가 초장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AD, SH 순으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체의 토양 순화는 신초와 뿌리가 잘 발달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모래, 토양, 그리고 버뮤큘라이트가 혼합된 토양(1:1:1, v/v)에 각각 직접 이식하여 실시한 결과, 식물체의 발근율과 생존률(약98%)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블랙베리 묘목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농가에 원활한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In Vitro Plants from the Nodal Pieces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Shin, Jong-Hee;Kim, Sang-Kuk;Kwon, Jung-Bae;Lee, Bong-Ho;Sohn, Jae-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97-102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regeneration of healthy seedlings from the nodal segment culture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cv. Danma), cultivated in Korea. Different explants such as leaves, petioles, roots and nodal pieces, excised from the in vitro grown seedlings of Chinese yam,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growth regulators. All the growth regulators used induced plantlet regeneration from the nodal segments at a high frequency, while there was no induction of shoot or callus from leaf, petiole or root tissues.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01mg/L NAA, 0.5mg/L BA, 0.5-1.0mg/L kinetin and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 was effective for shoot development of buds from the nodal segment culture. The concentration of BA and NAA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ud induction of buds from the nodal segments of Chinese yam. Nodal segments cultured on the medium containing 1.0mg/L NAA and 0.5-1.0mg/L BA gave the best response to bud formation. The addition of GA$_3$ to the culture medium suppressed shoot induction and growth, while it increased microtuber formation. The shoot growth and microtuber formation were also affected by medium strength and solidity. The MS basal medium containing 1 g/L gelrite was suitable for microtuber formation from the nodal segment of Chinese y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