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al involvemen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Ten Year Experience with Surgery and Radiation in the Management of Malignant Major Salivary Gland Tumors

  • Iqbal, Hassan;Bhatti, Abu Bakar Hafeez;Hussain, Raza;Jamshed, Arif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195-2199
    • /
    • 2014
  • Background: Despite being rare in incidence, malignant tumors of major salivary glands show diverse histological variation. There are limited data on major salivary gland tumor management and outcome from Pakist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hare our experience with management of malignant tumors of major salivary gland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Shaukat Khanum Cancer Hospital and Research Center from July 2002 to June 2011 with an underlying diagnosis of a major salivary gland malignancy were included.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odalities were assessed. Local, regional and distant failures were determined.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calculated using Kaplan Meier curves and the Log rank test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Results: The parotid gland was the primary site of origin in 104 (80%) patients. Mucoepidermoid carcinoma (43%)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24%) were the most common histological types. Surgery followed by adjuvant radiation remained the mainstay treatment modality with 81 (62%) patients. Nineteen (15%)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lone and 30 (23%)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urgically inoperable tumors received radiation only. Forty one (32%) patients failed the treatment (local 12, regional 11, locoregional 5, distant 13). The expected 5 year DFS and OS were 65% and 74% respectively. On multivariate analysis, grade was the only independent predictor of DFS and nodal involvement was the only independent predictor of overall survival. Conclusions: Employing existing standards of treatment, comparable survival can be achieved in Pakistani population with major salivary gland malignancies as elsehwere in the world.

Evaluation of KiSS1 as a Prognostic Biomarker in North Indian Breast Cancer Cases

  • Singh, Richa;Bhatt, Madan Lal Brahma;Singh, Saurabh Pratap;Kumar, Vijay;Goel, Madhu Mati;Mishra, Durga Prasad;Kumar, Rajend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789-1795
    • /
    • 2016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commonest female cancer worldwide and its propensity to metastasize negatively impacts on therapeutic outcome. Several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with prognostic/predictive significance have been associated with metastatic suppressor expression levels. The role of metastatic suppressor gene (MSG) KiSS1 in breast cancer remains unclear. Our goal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clinical significance of KiSS1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87 histologically proven cases of breast cancer and background normal tiisu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 PCR)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were used to investigate KiSS1 at gene and protein levels, respectively, for correlation with several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family history, hormonal receptor status, stage, tumor size, nodal involvement and metastatic manifestation and finally with median overall survival (OS). Results: Our study revealed (i) KiSS1 levels were generally elevated in breast cancer vs normal tissue (P < 0.05). (ii)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expression of KiSS1 was observed in metastatic vs non metastatic cases (P = 0.04). (iii) KiSS1 levels strongly correlated with T,N,M category, histological grade and advanced stage (p<0.001) but not other studied parameters. (iv) Lastly,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KiSS1 and median OS was found (P = 0.04). Conclusions: Conclusively, less elevated KiSS1 expression is a negative prognostic factor for OS, advancing tumor stage, axillary lymph node status, metastatic propensity and advancing grade of the breast cancer patient. Patients with negative KiSS1 expression may require a more intensive therapeutic strategy.

Breast Cancer Molecular Subtypes and Associations with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Iranian Women, 2002-2011

  • Kadivar, Maryam;Mafi, Negar;Joulaee, Azadeh;Shamshiri, Ahmad;Hosseini, Nilouf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881-1886
    • /
    • 2012
  • Breast cancer is a heterogeneous disease that is affected by ethnicity of patients. According to hormone receptor status and gene expression profiling, breast cancers are classified into four molecular subtypes, each showing distinct clinical behavior. Lack of sufficient data on molecular subtypes of breast cancer in Iran, prompted u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each subtype among Iranian women. A total of 428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from 2002 to 2011 were included and categorized into four molecular subtyp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Prevalence of each subtype and its association with patients' demographics and tumor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grade, lymph-node involvement and vascular invasion, were investigated using Chi-squar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Luminal A was the most common molecular subtype (63.8%) followed by Luminal B (8.4%), basal-like (15.9%) and HER-2 (11.9%). Basal-like and HER-2 subtypes were mostly of higher grades while luminal A tumors were more of grade 1 (P<0.001). Vascular invasion was more prevalent in HER-2 subtype, and HER-2 positive tum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ascular invasion (P=0.013). Using muti-variate analysis, tumor size greater than 5 cm and vascular inva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3 or more nodal metastases. Breast cancer was most commonly diagnosed in women around 50 years of age and the majority of patients had lymph node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This points to the necessity for devising an efficient screening program for breast cancer in Iran. Further, prospective surveys are suggested to evaluate prognosis of different subtypes in Iranian patients.

두경부 골수외 형질세포종의 임상적 고찰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Head and Neck)

  • 심광용;안중배;김귀언;정현철;김주항;김병수;노재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4
    • /
    • 199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linical profile and the results of treatment of a series of patients with extramedullary plasmacytoma(EMP) of the head and neck. Materials and Methods: Th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survival of 14 patients with EMP seen at Yonsei Medical Center between 1970 and 1998 were carefully review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48 years(range 15-75) and there was a male predominance(M:F 1.8:1). Nasal cavities and paranasal sinuses account for 50% of the primary sites and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irway obstruction(50%). Five patients(36%) showed evidence of adjacent bone destruction, one patient had lymph node involvement and one patient had an IgG monoclonal gammopathy at the time of diagnosis. All 5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achieved local control. Of 5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lone, 2 patients(40%) had local failure. Of 3 patient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otherapy, one patient had local recurrence. A total of7 patients(54%) had local, distant or nodal relapses after primary treatment. Six of them received salvage treatment. With salvage treatment of surgery and/or radiotherapy, local control was achieved in 4 of 6 patients. Conversion to multiple myeloma was seen in one patient. Conclusion: Radiotherapy should be recommand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EMP of the head and neck. Surgery should be reserved for radioresistant or recurrent tumors, but tumors that are localized and can be removed relatively easily with little morbidity may be treated by primary surgery.

  • PD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versus radiotherapy alone for elderly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positive margins, lymph nodes, or parametrial invasion

  • Cushman, Taylor R.;Haque, Waqar;Menon, Hari;Rusthoven, Chad G.;Butler, E. Brian;Teh, Bin S.;Verma, Vivek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
    • 제29권6호
    • /
    • pp.97.1-97.12
    • /
    • 2018
  • Objective: Women with cervical cancer (CC) found to have positive surgical margins, positive lymph nodes, and/or parametrial invasion receive a survival benefit from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vs. radiation therapy (RT) alone. However, older women may not benefit to the same extent, as they are at increased risk of death from non-oncologic causes as well as toxicities from oncologic treatments.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whether there was a survival benefit of CRT over RT in elderly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s: The National Cancer Database was queried for patients ${\geq}70$ years old with newly diagnosed IA2, IB, or IIA CC and positive margins, parametrial invasion, and/or positive nodes on surgical resection. Statistics included logistic regression, Kaplan-Meier overall survival (O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ing analyses. Results: Altogether, 166 patients met inclusion criteria; 62 (37%) underwent postoperative RT and 104 (63%) underwent postoperative CRT. Younger patients and those living in areas of higher income were less likely to receive CRT, while parametrial invasion and nodal involvement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ikelihood (p<0.05 for all). There were no OS differences by treatment type. Subgroup analysis by number of risk factors, as well as each of the 3 risk factors separately, also did not reveal any OS differences between cohorts. Conclusion: In the largest such study to date, older women with postoperative risk factor(s) receiving RT alone experienced similar survival as those undergoing CRT. Although causation is not implied, careful patient selection is paramount to balance treatment-related toxicity risks with theoretical outcome benefits.

귀밑샘 악성 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rotid Gland Malignancy)

  • 엄근용;우홍균;김재성;박찬일;김인아;김광현;이재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31-136
    • /
    • 2005
  • 목적: 귀밑샘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부터 2002년까지 130명의 귀밑샘 악성 종양 환자가 서울대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었고 이 중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72명의 환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42명, 여자는 30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46.5세였다. 점액표피양암종이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이었다. 병기에 따라서는 I, I, III, IV 병기에 각각 6, 23, 23, 20명이 해당되었다. 수술 부위의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60 Gy였고, 일회 조사량의 중앙값은 1.8 Gy였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 및 10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85\%$$76\%$였다. 5년 국소제어율은 $76\%$였고 6년이 지나면서 변화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을 하였을 때, 성별,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나이, 안면신경마비증상, 병기(T 병기, N병기, 병기)는 생존율과 관련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국소제어율의 경우,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 침범여부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조직학적 유형, 종양의 크기, 신경침윤여부 및 수술의 종류는 국소제어율의 예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귀밑샘 악성종양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우수한 성적을 확인하였다. 성별 및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에 대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고,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의 침윤이 있는 경우 국소제어율이 불량했다.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 시 동시항암화학치료와 예방적 대동맥주위림프절 방사선조사의 효과 (Effects of Concurrent Chemotherapy and Postoperative Prophylactic Paraaortic Irradiation for Cervical Cancer with Common Iliac Node Involvement)

  • 한태진;우홍균;김학재;하성환;강순범;송용상;박노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125-132
    • /
    • 2010
  • 목 적: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림프절 침범은 중요한 예후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 시 대동맥주위림프절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조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총 909명의 환자가 서울대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골반 내 림프절 침범이 있는 환자는 375명이었고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이 있는 환자는 69명이었다. 이 중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이 있으면서 대동맥주위림프절 침범은 없었던 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FIGO 병기는 IB, IIA, IIB가 각각 22명, 21명, 11명이었다. 이 중 10명은 전골반과 대동맥주위림프절을 포함하는 확장조사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모두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하였으며, 나머지 44명은 전골반 만을 포함하는 표준조사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 중 16명이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하였다. 확장조사군과 표준조사군의 추적관찰기간은 각각 21~58개월(중간값, 47개월)과 6~201개월(중간값, 58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4년 생존율, 4년 무병생존율, 4년 무전이생존율은 각각 70.0%, 61.1%, 71.7%였다. 단변량 분석 시 절제연 침범(p<0.001), 림프관내 종양 침범(p=0.041)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생존율이 낮았고, 양측 림프절침범(p=0.001), 5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p=0.006)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낮은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다. 낮은 무전이생존율과 관련 있는 인자는 양측 림프절 침범(p=0.009), 5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p=0.003), 자궁경부 전층 침범(p=0.013), 절제연 침범(p=0.014), 림프관내 종양 침범(p=0.041)이었다. 확장조사군과 표준조사군의 4년 생존율은 90.0%와 67.2% (p=0291), 4년 무병생존율은 70.0%와 59.0% (p=0.568), 4년 무전이생존율은 90.0%와 67.5% (p=0.196), 4년 대동맥주위림프절 전이율은 0%와 14.3% (p=0.2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등급 이상의 중등도 급성합병증은 확장조사군 10명 중 4명(40%; 조혈계 2명, 위장관계 2명)에서 발생하였고, 표준조사군 44명 중에서는 11명(25%; 조혈계 2명, 위장관계 6명, 비뇨생식계 3명)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이 있는 경우 예방적 대동맥주위림프절 방사선조사의 생존율에 대한 통계적 유용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확장조사야로 치료받은 환자수가 적고 추적관찰기관이 짧았던 점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비소세포폐암에서 MUC1과 CD44s의 발현 (The Expression of MUC1 and CD44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박혜경;이지석;이준희;이정욱;김윤성;이민기;김영대;이형렬;김건일;이창훈;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17-127
    • /
    • 2002
  • 배 경 : MUG1은 고분자량의 당화 당단백으로 정상적으로 선상피의 선단부에서 발현되나, 종양세포에서는 비정상적인 발현 양상을 보인다. CD44는 세포-세포간 부착, 세포-기질간 부착에 관여하는 당단백이다. 일부 종양에서 MUC1 과 CD44는 종양의 침습과 전이에 관계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서의 MUC1과 CD44의 standard form (CD44s)의 발현과 조직형, TNM-병기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수술적 방법으로 얻은 비소세포폐암 80예의 파라핀포매 조직절편을 대상으로 하여 MUC1과 CD44s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MUC1 은 편평상피암종의 12/43예 (27.9%), 선암종의 12/37예 (32.4%)에서 양성으로 조직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660). CD44s는 편평상 피암종의 36/43예(83.7%), 선암종의 14/37예 (37.8%)에서 양성으로 선암종에 비해 편평상피암종에서 발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편평상피암종에서 TNM-병기에 따른 MUC1의 양성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암종에서 MUC1 양성은 N0에서 4/22예(18.2%), N1-2에서 8/15예 (53.3%)로 림프절 침범과 관련되었다(p=0.036). 편평상피암종에서 CD44s의 발현은 T-병기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N0기에서 16/21예 (72.7%), N1-2기에서 9/22예 (38.1%)로 CD44s의 발현의 감소는 림프절 침범과 관련되었다(p=0.031). 편평상피암종의 TNM-병기 I기에서 15/18예(83.3%), II-III기에서 10/25예 (40.0%)에서 CD44s 양성으로 CD44s 발현의 감소는 TNM-병기의 진행과 관련되었다(p=0.006). 결 론 : 비소세포폐암에서 MUC1과 CD44s는 종양의 조직형에 따라 다른 발현 양상을 보이고, 각각은 종양의 침습과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인강암의 치료 결과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Result of Nasopharyngeal Cancer)

  • 류삼열;김상보;김재철;우홍;박인규;박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77-182
    • /
    • 1990
  •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치료를 받은 비인강의 편평 상피 세포암과 림프 상피종 42예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치료를 거부한 1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7.8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에 적어도 70 Gy이상, 그리고 경부 임파절에 60 Gy이상 투여된 환자는 29명이었고, 이들은 모두 제 3 혹은 제 4 병기에 속하였다. 20예의 편평 상피 세포암의 국소 관해율은 $75\%였고, 림프 상피종 9예는 모두 완전 관해를 보였다. 원발병소와 임파절의 재발율은 $27.6\%였으며, 원격 전이가 치료 실패의 주종을 이루어서, 림프 상피종에서는 6예의 치료 실패 중 4예, 편평 상피 세포종에서는 10예 중 4예에서 나타났다. 3년 생존율은 편평 상피 세포종에서 $40.5\%였고, 림프 상피종에서는 $25.9\%였다. 이는 림프 상피종의 국소 관해율이 더 높았으나 원격전이가 더 빈번하고 비효율적인 화학요법의 결과라 생각된다. 경부 임파절의 위치와 생존율과의 상관 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상으로 미루어, 보조적 확학 요법이 생존에 큰 이득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더 신중하고 적극적 인 화학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성적 (Radiation Therapy of Nasopharyngeal Cancers)

  • 신세원;김성규;김명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12-320
    • /
    • 1992
  • 1986년 4월부터 1992년 3월까지 6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근치적인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6개월 이상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31명의 치료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상환자 31명중 남자가 22명으로 여자보다 2.4배 많았으며 30세미만 3명을 제외하면 30대에서 60대까지 고른분포를 보였다. 병리조직학적 분류상 편평세포암이 13명, 미분화세포암이 18명이었다. 임상적병기는 I기 1명, II기 2명, III기 6명, IV기 22명이었다. 31명중 방사선치료만 시행된 경우가 11명, 항암제등과 병합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20명이었다. 편평세포암 환자 11명중 6명에서 방사선치료만을 시행하였고 5명에서 병합치료를 시행하였으나, 미분화세포암에서는 18명중 5명은 방사선치료만을 시행하였고 13명은 병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에 대항 반응은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경우에 편평세포암 6명중 3명이 완전관해를 보인 반면에, 미분화세포암 5명 모두 완전관해를 보여 큰 차이를 보였으나 병합치료에서는 세포형태에 따른 차이가 소실되었다. 치료 후 1년 생존율은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 22명중에서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8명중 6명에서 재발을 보였으며 그중 3명은 원격전이를 동반하였으나, 병합치료를 시행한 14명중에서 3명만이 재발을 보였으며 그중2명은 원격전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료방법에 따른 관해율은 비슷하였으나 치료 후 추적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발은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경우보다 병합치료를 실시한 경우에 현저히 줄어듬을 보여주어 비인강암에 대한병합치료가 국소재발의 감소 및 원격전이의 감소를 통하여 생존율의 향상에도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