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ctuida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6초

봄 출현 나방의 지역별 종 다양성 양상과 출현에 미치는 기후영향 연구 (Regional Diversity Pattern of Spring Moths and Climatic Effects on Moth Catches)

  • 노동호;김성수;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30-36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용인과 남부지방 무안에서 봄 출현 나방의 다양성 양상과 나방 종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나방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4월 한 달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기후요인은 $8^{\circ}C$를 기본으로 한 적산온도 (GDD8), 평균온도, 강우량, 일조시간, 풍속, 신적설 등이다.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요인은 단기 (채집주부터 3주전까지)와 장기 (채집 4~12주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봄 출현 나방은 과 구성에서 유사한 양상을 띠었지만 지역별로 우점한 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나방과는 중부지방에서 우점한 반면 밤나방과는 남부지방에서 우점하였다. 밤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초에 나타난 반면 자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말에 나타나 시간적인 차이도 나타내었다. GDD8, 일조시간, 채집 일주일 전 강우량 등 3개의 단기 기후요인은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채집 4주전 평균기온만 장기 기후요인으로 나방 종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봄 출현 나방으로 자나방과와 밤나방과 종이 우점하며 이들은 4월 중 우점도와 비행시기에 차이가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봄 출현 나방은 따뜻함과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는 봄 출현 나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Confirmatory test of gamma irradiation against the larvae and pupae of Helicoverpa assulta (Lepidoptera: Noctuidae) in paprika

  • Park, Jeong Sun;Jeong, Su Yeo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1권2호
    • /
    • pp.103-106
    • /
    • 2015
  •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Lepidoptera: Noctuidae), is classified as a quarantine pest that must be controlled for the exportation of Korean paprika to the USA. We performed a confirmatory test of gamma irradiation against the last-instar larvae and pupae of H. assulta in paprika. Previous, small-scale gamma irradiation at a dose of 100 Gy to the last-instar larvae allowed emergence of adults, though they were abnormal, but 200 Gy prevented adult emergence completely. For pupae, irradiation of 5- to 6-day-old pupae with 300 Gy prevented normal emergence completely. To gather confirmatory data applicable to phytosanitary quarantine regulations, larvae and pupae were placed inside paprika in a box and were irradiated with 200 Gy and 300 Gy, respectively. After irradiation with 200 Gy (measured doses 170-199 Gy) of 2,186 individuals of the last-instar larvae, 10.84% survived, but either formed abnormal pupae (7.57%) or died during the pupal stage (3.27%), resulting in no emergence of normal adults. For pupae, the dose of 300 Gy (measured doses 276-319 Gy) given to 1,200 pupae allowed 10.75% to survive and 9.17% to emerge with deformity. However, 1.58% of irradiated pupae emerged normally, requiring an increased dose for complete prevention of normal emergence. Subsequently, an increased dose of 400 Gy (measured doses 340-402 Gy) to 1,005 pupae allowed 88.35% to emerge, but all emerged with deformity. Thus, irradiation treatment with a minimum dose of 400 Gy will provide quarantine security for all premature H. assulta in exported paprika.

배추에서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의 요방제 수준 설정 (Control Thresholds for Managing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on Chinese Cabbage)

  • 최덕수;김도익;김선곤;고숙주;강범용;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5-220
    • /
    • 2011
  • 가을재배 배추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접종시기와 접종밀도에 따라 배추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수량감소율에 따른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였다. 포장조건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접종밀도가 다르게 접종하고 3주 동안 배추의 피해엽율을 조사하여 접종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을 산출한 결과, 정식초기(정식 5일 후)는 Y=-21.85X+1300 ($R^2=0.997$)였고, 정식중기(정식 20일 후)는 Y=-12.1X+1382 ($R^2=0.998$)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유충밀도와 수량과의 관계식으로 배추 수량 5%를 경감시키는 담배거세미나방 밀도는 정식초기는 2.9마리/100주, 정식중기는 5.6마리/100주 였다.

Courtship Behavior of the Sweet Potato Leaf Worm, Aedia leucomelas (Lepidoptera: Noctuidae)

  • Choi, Man-Young;Kim, Du-Ho;Paik, Chae-Hoon;Seo, Hong-Yul;Kim, Jae-Duk;Lee, Geon-Hwi;Gries Gerhard;Roitberg Bernard D.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41-344
    • /
    • 2005
  • 실험실 조건에서 고구마 뒷날개흰밤나방의 교미 전 행동습성을 관찰하였다. 짝이 있고 어두운 상태에서 안테나를 치켜세우고 날개를 진동하는 습성을 보였으며, 암컷과 수컷 모두 날개를 진동하고 안테나를 치켜세우는 행동을 보이다가 수컷이 암컷에게로 날아가는 습성을 보였다. 불이 꺼진상태로 20여분이 지나면 안테나를 치켜세우는 반응을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40분이 지났을 때부터 마치 짝을 유인하는 음향을 생성하듯이 날개를 빠르게 진동하는 반응을 보였다. 짝짓기는 우화 후 이튿날부터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4일에서 6일 사이에 짝짓기를 하였다. 짝짓기는 평균 207분 동안 지속되었고, 대부분 3회까지 반복적으로 교미를 하였다. 관찰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암컷이 신호를 보내고 수컷이 이에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암컷이 내는 음향이 뒷날개흰밤나방의 교미전 행동습성에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Herminiinae아과(亞科) 중국(中國) 미기록 6종(種)과 장백산 미기록 7종(種)에 관한 보고(나비목(目), 밤나방과(料)) (Six Species of the Subfamily Herminiinae (Lepidoptera, Noctuidae) New to China, with Seven New Records from Mt. Changbai)

  • 한휘림;김대용;;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1-137
    • /
    • 2006
  • 중국 장백산(백두산의 중국측 면) 나비목 조사에서(1999-2004) 밤나방과의 Herminiinae아과에 속한 27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Paracolax fascialis (Leech), P. fentoni (Butler), Polypogon gryphalis Herrich-Sch$\"{a}$ffer, Sinarella japonica (Butler), S. punctalis (Herz), S. cristulalis (Staudinger) 등 6종은 중국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이었고, Hadennia incongruous (Butler), Paracolax tristalis (Fabricius), Paracolax trilinealis (Bremer), Idia quadra (Graeser), Hydrillodes morosa (Butler), Herminia grisealis (Denis & Schifferm$\"{u}$ller), Sinarella nigrisigna (Leech) 등 7종은 장백산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종이었다. 이들 6종의 중국 미기록 종에 대한 분류학적 특징과 성충 및 암수 생식기의 사진을 제시한다.

전남 두륜산 일대에 서식하는 대형나방종의 다양성 및 종 구성 변화 (Diversity and Faunal Changes of the Macrolepidoptera in Mt. Duryunsan and Its Neighboring Area, Jeonnam, Korea)

  • 최세웅;나상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2호
    • /
    • pp.79-83
    • /
    • 2005
  • 한반도 서남해안 상록활엽수림이 우점하고 있는 산림의 대형나방(명나방 포함) 종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해남군 두륜산 일대로 2001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약 4년간 자외선 등을 이용한 야간채집을 통하여 나방 종을 분류,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채집된 나방은 총 18과 489종이었으며, 미소나방과 주간활동성인 나비를 합한다면 이 지역에 분포하는 나비목곤충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집된 종 중 밤나방과가 181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나방과(129종), 명나방과(72종) 순이었으며, 개체수로는 자나방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밤나방과, 명나방과, 갈고리나방과의 순이었다. 채집된 종의 51%가 2개체 미만의 희귀종을 차지하였다. 월별 종수와 개체수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들 수치를 이용한 이질성도와 균등도를 산출하여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산림생태계 보전 및 이용에 특정 나방 종 및 종 그룹을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간략히 논의하였다.

전남 신안군 압해도의 나방상 (A Faunistic Study of Moths (Insecta, Lepidoptera) on Is. Aphae-do, Sinan-gun, Jeollanam-do, Korea)

  • 임진택;김석이;김병운;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78-189
    • /
    • 2007
  • 도시화에 따른 도서지방의 생태계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 압해도 일대에 서식 분포하고 있는 나비목 곤충을 대상으로 2006년 3월부터 9월까지 13회 나방을 채집 확인하였다. 본 조사 결과 동정,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총 16과 241속 339종이었다. 채집된 종중 밤나방과가 129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나방과(81종), 명나방과(38종) 순이었으며, 개체수로는 자나방과, 밤나방과, 명나방과, 갈고리나방과의 순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단 1회만 채집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등 201종(59.2%)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단지 한 개체만 채집된 종은 99종(29.2%)이었다. 본 연구는 도시화에 따른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는 압해도 일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Foraging Behavior of Helicoverpa armigera $H{\ddot{u}}bner$ (Lepidoptera: Noctuidae) First Instar Larvae on Selected Cotton Varieties

  • Amin, Md. Ruhul;Azad, H.M. Saifullah;Hossain, Md. Shamim;Suh, Sang Jae;Kwon, Yong Jung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185-188
    • /
    • 2014
  • The movement, survival, and weight gain of Helicoverpa armigera $H{\ddot{u}}bner$ (Lepidoptera: Noctuidae) first instar larvae were studied on CB9, CB10 and SR05 cotton varieties under field conditions. The neonate H. armigera were released on the cotton varieties at the squaring stage of the plants and, after a period of 72 hours, the survival, weight gain, and final location of the larvae were observed. While the different cotton varieties had no effect on the survival and weight gain of the larvae, the release locations on the cotton varie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arval survival and weight gain. The larvae fed small squares of the cotton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heavier and showed a higher mortality than the larvae fed leaflets and mature leaves. For the cotton varieties in this study, the larvae released on leafle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recovery compared to the larvae released on mature leaves and squar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at the larvae on leaflets did not move up or downward unlike the larvae on mature leaves and squares. This information on the foraging behavior of larvae on cotton varieties will assist researchers to interpret field data and thereby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pest management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