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sources

검색결과 1,300건 처리시간 0.027초

간척지 담수호유역의 오염물질 배출구조 및 시공간적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Source Structures and Temporal and Spatial Discharge from the Drainage Basin of a Reclaimed Area)

  • 엄명철;공동수;정동일;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739-746
    • /
    • 1999
  •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erials and nutrients were estimated in the catchment area of relaimed area-Saemankeum-. Discharge load of BOD5 was high in the domestic system, while nitrogen and phosphorous were discharged mainly from the livestock system and the land . Load was so dependent on the precipitation that it increased in the rainy season, particulary in nitrogen and phosphorus. Loads from nonpoint sources in this area were higher compared with others.

  • PDF

Candida magnoliae SR101에 의한 Erythritol의 생산에서 산업용 질소원의 선정 및 최척화

  • 박선영;서진호;유연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1-354
    • /
    • 2001
  • In this experiment, we tested various nitrogen sources and then culture condition was optimiz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The batch culture of Candida magnoliae SR101 grown in a defined medium supplemented with light steep water (LSW) as a sole nitrogen source showed a relatively high yield of erythritol production (53%),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using yeast extract as a nitrogen source, while the productivity and cell mass were maintained at similar levels. For the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the batch culture was performed. When the concentration of LSW was 65 mL/L in the defined medium containing 250 g/L of glucose, the concentration, yield and productivity of erythritol were 110 g/L, 44%, and 0.66 g/L-hr, respectively. The high yield and comparable productivity obtained with a cheap nitrogen source could be expected as a basis for the mass production of erythritol in the industrial scale.

  • PDF

Effect of Nonstarch Polysaccharide-Rich By-Product Diets on Nitrogen Excretion and Nitrogen Losses from Slurry of Growing-Finishing Pigs

  • Canh, T.T.;Verstegen, M.W.A.;Mui, N.B.;Aarnink, A.J.A.;Schrama, J.W.;Van't Klooster, C.E.;Duong, N.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573-578
    • /
    • 199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for growing-finishing pigs with high level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from by-products on nitrogen excretion and nitrogen losses from slurry during storage. Sixteen commercial crossbred barrows of about 68 kg BW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four diets. The control diet was formulated using tapioca and rice as basal energy sources. In the other diets, tapioca was replaced by either coconut expellar, rice bran or beer by-product. The diets differed mainly in the amount and compostition of NSP. After a 12-day adaptation period, urine and faeces were collected separately in metabolism cages for 9 days. Urine and faeces from the first four days were used to analyse the nitrogen partitioning. Urine and faeces from the last 5 days were mixed as slurry. The slurry was sampled at the end of the collection period and again after 30 days storage, to analyse for nitrogen to calculate the losses. Increasing dietary NSP reduced urinary nitrogen and nitrogen losses from the slurry during storage. The pigs fed the diet based on beer by-product excreted the most nitrogen via faeces and the least nitrogen via urine. Nitrogen losses from slurry of pigs fed the beer by-product were from 34 to 65% lower than from the other three diets. It is concluded that including NSP-rich by-products in the diet of growing-finishing pigs reduces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nitrogen losses from slurry during storage.

Arthrobacter sp. L-3로부터 Glucose Isomerase의 생산 (Production of Glucose Isomerase from Arthrobacter sp. L-3)

  • 이은숙;남궁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121
    • /
    • 1997
  • Arthrobacter sp. L-3로부터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탄소원으로는 glucose와 xylose를 혼합해서 공급한 것이 효소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가장 높은 효소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은 배양시간이 40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ource of Energy on Urea Molasses Mineral Block Intake, Nutrient Utilization, Rumen Fermentation Pattern and Blood Profile in Murrah Buffaloes (Bubalus bubalis)

  • Hosamani, S.V.;Mehra, U.R.;Dass, R.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6호
    • /
    • pp.818-822
    • /
    • 200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of energy on intake and nutrient utilization from urea molasses mineral block (UMMB), rumen fermentation pattern and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18 intact and 9 rumen fistulated male Murrah buffaloes aged about 3 years and average weight 310.8 kg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of 9 animals in each, thus each group having 6 intact and three rumen fistulated buffaloes. All animals were fed individually for 90 days. All buffaloes were offered wheat straw as basal roughage and urea molasses mineral block for free choice of licking. Three different energy sources viz., barley grain, (group I), maize grain (group II) and jowar green (group III) were offered to meet their nutrient requirement as per Kearl (1982). At the end of feeding trial, a metabolism trial of 7 days duration was carried out on intact animals to determin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Rumen ferment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on rumen fistulated animals. After the metabolism trial blood was collected from intact animals to estimate the nitrogen constituents in blood serum of animals fed on different sources of energy.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ake of UMMB in three groups. Similarly, the intake of DM (kg), DCP (g) and TDN (kg) per day was similar in three groups statistically.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ether extract (EE) and nitrogen free extract (NFE) was significantly (p<0.05) more in group II than group III, whereas the digestibility of DM, OM and NFE was similar in group I and II. The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CF) and all the fiber fractions i.e. NDF, A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was alike in 3 groups. Nitrogen balance (g/d) was significantly (p<0.05) more in group III as compared to group I and II, which were alike statistically, though the N intake (g/d) was similar in 3 groups but N balance (g/d) was significantly (p<0.05) less in group III as compared to other 2 groups. Significantly (p<0.05) higher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TVFA), total nitrogen (TN) and its fractions were observed in group I and II as compared to group III. There was no effect on rumen pH, rumen volume and digesta flow rate due to different sources of energy in 3 groups. Similarly the bloo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NH3-N, urea-N and total protein) were statistically identical in 3 groups.

새만금 유역 주요 밭작물 작부체계 최적관리기법 시나리오별 농업비점오염원 저감 (Reduction of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 by Scenarios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on Cropping System Alternatives of Main Upland Crop in Saemangeum Watershed)

  • 손재권;이경애;유동수;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95-101
    • /
    • 2014
  • 새만금 유역내 밭작물 재배 농경지의 작부체계와 관련된 최적관리기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시나리오별로 농업비점오염원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새만금 유역내 동진강 수계와 만경강 수계를 대상으로 행정구역별 작물양분의 투입량 실태분석과 향후 변화 추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새만금 유역 만경강 수계에서 2012년 기준으로 2020년에는 질소질비료 18%, 인산질비료 22%가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동진강 수계에서는 질소질비료 30%, 인산질비료 19%가 감소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퇴비의 경우에는 만경강 수계에서는 17%, 동진강 수계에서는 37% 정도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새만금 유역내 밭작물의 작부체계 변경과 관련된 최적관리기법 시나리오 가운데 Scenario 1 (동계작물 겉보리와 쌀보리를 경관 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 또는 자운영으로 작부체계를 변경한 경우) 적용시 질소 41%, 인산 47%의 작물양분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enario 2 (화학비료 시비량이 많은 고추작물을 질소고정능력이 높은 콩작물로 작부체계를 변경한 경우) 적용시 질소 30%, 인산 23%의 작물양분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enario 3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의 통합) 적용시 질소 72%, 인산 70%의 작물양분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새만금 유역에서 담수호 수질보전을 위한 유역관리기법 개발시 작물양분요구량이 높은 작물의 재배를 최소화하고 양분배출형 작부체계가 아닌 양분흡수형 작부체계로의 전환을 통한 최적관리기법 모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잣버섯 인공(人工) 재배(栽培)에 관한 연구(硏究)(I) -균사(菌絲) 배양(培養) 조건(條件)에 관(關)하여- (Study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Lentinus lepideus(Fr. ex Fr.) Fr. -Investigation of Mycelial Growth Conditions-)

  • 김한경;박정식;차동열;김양섭;문병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2
    • /
    • 1994
  • 잣버섯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 검토시(檢討時) 균사배양(菌絲培養) 조건(條件)에 대한 실험(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버섯 액체배양시(液體培養時) 최적(最適) 배지(培地)는 G. P. B.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196mg/21일(日)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최적(最適) 온도(溫度)는 $25^{\circ}C$, pH는 4.2 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가장 좋았다. 2. 액체(液體) 배양시(培養時) 최적(最適) 탄소원(炭素源)은 monosaccharide인 galactose에서 631mg/21 일(日)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Disaccharide인 Maltose에서 486mg/21일(日) 이였다. 3. 최적(最適) 질소원(窒素源)은 복합(複合) 질소원(窒素源)인 peptone에서 752mg/21일(日)으로 균체량(菌體量)이 가장 많았으며 그외 질소원(窒素源)에서는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정지(停止) 또는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이였다. 4. 비타민류에서는 전체적(全體的)으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양호(良好)하나 Pyridoxine에서 596mg/21일(日) 가장 좋았다. 5. 유기산류(有機酸類)에서는 Citric acid에서 506mg/21일(日)로 균체량(菌體量)이 가장 많았고 Acetic acid에서는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정지되었다.

  • PDF

퇴비(堆肥)의 전질소(全窒素)와 암모니아 함량(含量)이 양송이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Total Nitrogen and Residual Ammonia Contents of Compost on the Yield of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 신관철;오병열;김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7
    • /
    • 1973
  • 양송이 수량을 지배하는 여러인자중에서 퇴비의 전질소 함량과 암모니아 잔류량이 양송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퇴비의 전질소 함량과 양송이 수량간에는 y=1395+0.048x$(r=0.68^{**})$의 관계가 있었으며 전질소 함량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잔류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유기태급원은 무처리나 무기태급원에 비해 퇴비의 전질소가 증가되었으며 수량도 높았다. 3. 퇴비의 암모니아 잔류량과 양송이 수량간에는 $y=0.38086-0.011948x+0.00012x^2(r=-0.75^{**})$의 관계가 있었으며 안전다수확을 위해서는 0.03%(질소함량으로서)를 넘지 않아야 했다. 4. 유안의 사용은 암모니아 잔류량이 높았으며 양송이 수량이 낮은 반면 요소는 그 잔류량이 낮고 수량이 유안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 PDF

화본과식물에 발생하는 설부소입균핵병균(雪腐小粒菌核病菌)의 동정 및 발생상태에 관한 연구 -II. Typhula incarnata의 생육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tudies on the Ecology of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yphula Snow Mold of Graminous Plants -II. Several Factors Affecting Growth of Typhula incarnata-)

  • 김진원;이두형;심규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3
    • /
    • 1992
  • Typhula incarnata 의 생육온도는 $-5{\sim}10^{\circ}C$의 범위이었으며 $10{\sim}15^{\circ}C$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6 균 핵은 고온에서 형성량이 많았으며 pH 5.4-6.2 에서 균사의 생장이 가장 좋았다. 기본배지에서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 이눌린, 가용성 전분, 갈락토스, 포도당, 만노스, 만닛톨, 자당, 맥아당, 셀로비로스, 트레할로스, 라휘노스 및 덱스트린 등이 다른 탄소원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23종의 질소원 중에서는 글리신, 셀린, 황산암모니움, 아스파라진, 아스파라틴산(酸) 및 ${\beta}-alanine$ 등이 T. incarnata 의 균사생장에 가장 좋았다. 시스틴과 시스테인은 질소원으로서 적합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態) 질소가 질산태(態) 질소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감자배지, 오트밀배지 및 V-8 배지 등은 균의 생육과 균핵형성에 가장 좋았다. 톤을 첨가한 감자 배지에서는 T. incarnata 의 건물중이 감소하였으며, 자당(蔗糖)을 첨가하면 생육이 좋았다. T. incarnata 의 균핵은 흙속에서 생존력이 저하 되었으며 부발아(不發芽)된 균핵으로부터 Trichoderma viride와 세균이 검출되었다. 토양속의 오리새 생엽초는 T. incarnata에 의한 착생(着生)이 살균 또는 무살균(無殺菌)의 고엽초보다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고엽초에서의 T. incarnata 의 부생능력은 $10^{\circ}C$보다는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 또는 무살균의 기질에 착생된 부생균은 Cladosporium sp., Fusarium sp., Mucor sp., Pythium sp., 및 수종의 미동정균(未同定菌)이 경쟁균으로서 검출되었으나 $0^{\circ}C$에서의 생엽초에서는 착생(着生)되지 않았다. Bentgrass의 설부갈색소립균핵병에 대해서 살균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폴리옥신과 티람의 혼합제가 가장 좋았고, 이프로디온, 이프로디온과 옥신 구리의 혼합제, 지오파내이트-메틸, 마이클로브탄일 및 톨클로포스-메틸의 순으로 좋았다.

  • PDF

증점제 생산을 위한 생물 반응기에 대한 연구 -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한 Xanthan gum 생산에서 질소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Bio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Viscosifier -A Study on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the Production of Xanthan Gum by Xanthomonas campestris-)

  • 김재형;이기영
    • KSBB Journal
    • /
    • 제6권4호
    • /
    • pp.369-377
    • /
    • 1991
  • 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한 Xanthan gum 생산에서 질소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Sodium glutamate를 질소원으로 채용한 xanthan gum 생산발효에서 세포 생산량에 대한 생산물 생성량, 세포 생산량에 대한 탄소원 소비량은 초기질소농도에 독립적이었다. 0.4-1.0g/L의 $S_o$범위에서 $B_s$${\beta}_s$는 상수를 보였고 sodium glutamate질소원과 peptone질소원 사이에서 질소원 차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Xanthan gum생산수율은 탄소/질소농도가 10-16일 때 최대값을 보였다. Peptone질소원은 sodium glutamate질소원보다 세포 성장에 더 효율적이다. Peptone만을 질소원으로 사용한 발효와 혼합질소원을 질소원으로 사용한 발효가 생산물 생산수율 및 발효시간이 유사하므로 xanthan gum생산시 혼합질소원을 질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xanthan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