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deficien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3초

포장재배(圃場栽培) 수도(水稻)의 영양진단(營養診斷) -1. 지엽분석(止葉分析)에 의(依)한 진단(診斷)- (Diagnosis of the Field-Grown Rice Plant -[1] Diagnostic Criteria by Flag Leaf Analysis-)

  • 박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1호
    • /
    • pp.18-30
    • /
    • 1973
  • 삼요소(三要素) 단순시험(單純試驗) 포장(圃場)을 대상으로 지엽(止葉) 및 하위엽(下位葉) 분석(分析)에 의(依)한 수도(水稻)의 영양진단(營養診斷) 척도(尺度)를 찾고자 하했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어떤 영양(營養)이 결핍(缺定)한 토양(土壞)의 무비구(無認區) 결핍구(缺乏區) 및 시비구(施肥區)에서 유인결핍(誘引缺乏), 염계결핍(鹽界缺乏), 잠재결핍(潛在缺乏) 치사흡수(侈奢吸收) 과잉장해(過剩障害)의 제단계(諸段階) 척도(尺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2. 수확기(收穫期) 지엽중(止葉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이 1% 이하(以下)이면 유인결핍(誘引缺乏)이고 $1.0{\sim}1.2%가 염계결핍(鹽界缺乏)$1.2{\sim}1.6%이 잠재결핍(潛在缺乏)$1.6{\sim}1.9%가 만족(滿足)영역으로 치사흡수단계(侈奢吸收段階)이고 1.9 이상(以上)에서 장해(障害)를 받는다. 3. 인산(燐酸)(P_2O_5)$은 각단계(各段階)가 0.3% 이하 $0.3{\sim}0.4 $0.4{\sim}0.550.5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과잉장해수준(過剩障害水準)은 알 수 없었다. 4. 규산(硅酸)$(SiO_2)$은 4%이하 $4{\sim}6 $6{\sim}11및 11이상(以上)으로 나타났다. 5. 가리(加里)$(K_2O)$는 0.5% 이하(以下) $0.5{\sim}0.9 $0.9{\sim}1.2 $1.2{\sim}1.4 및 1.4 이상(以上)의 장해(障害)영역을 보였다. 6. 지엽중(止葉中) 가리(加里)는 질소(窒素)를 수생육(穗生育)에 기여케한 결과(結果)로 지엽중(止葉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을 낮추고 지엽중(止葉中)을 줄인다. 7. 인산(燐酸)은 Mg>Si>Mn>K의 순(順)으로 하엽(下葉)에서 지엽(止葉)으로의 이동(移動)을 촉진(促進)하고 Ca>N의 순으로 저지(沮止)하는 반면 가리(加里)는 Mn>Ca의 순으로 촉진(促進)하고 Ma>Si>N의 순(順) 으로 저지(沮止)하였다. 8. 양분전류촉진지수(養分轉流促進指數)는 $(F_2L_1-F_1L_2){\cdot}100/F_1L_1$으로 계산할 수 있는데 한 양분(養分)의 시비량(施肥量)이 타양분(他養分)의 이동(移動)에 대(對)한 영향의 지표(指標)로 적합(適合)하였다. 여기서 F 와 L 은 지엽(止葉) 및 하엽중(下葉中)의 양분농도(養分濃度)를, 2는 비료(肥料)의 시비수준(施賂水準)을 의미(意味)한다. 9. 적기재배(適期栽培)에 비(比)하여 조기재배(早期栽培)는 엽중(葉中) $SiO_2$의 함량(含量)이 하엽(下葉)보다 지엽(止葉)에서 낮아 규산(珪酸)의 흡수(吸收) 및 이동(移動)이 불량(不良)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가리결핍답(加里缺乏畓)에서 나타난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은 지엽중(止葉中) 가리함량(加里含量)보다 $SiO_2$ 함량(含量)에 더 깊은 관계를 보였다11.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한 저수답(低收沓) 수도(水稻)의 엽위별(葉位別) 분석(分析)은 주인(主脚) 영양(營養)을 밝혀를 뿐만 아니라 $2{\sim}3$개의 기타 영양장해(營養障害)가 수반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12. 문제지역(問遷地域)의 영양장해(營養障害)는 모두 대량원소(大量元素)가 일차적(一次的) 요인(要圍)이며 미량원소(微量元素)는 이차적(二次約)일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답전윤환(畓田輪換) 체계(體系)에 따른 토양(土壤)의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 및 양분수지(養分收支)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on Nutrient Balance and Distribution in Soil Profile)

  • 안상배;본송휘구;이상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8-104
    • /
    • 1994
  • 1989~'93년(年)까지 5년(年)동안 답전수환시(畓田輸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토양(土壤)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와 양분수지(養分收支)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았다. 1. 질산태질소(窒酸態室素),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EC는 표층(表層) 0~20cm에서 약간 높았을뿐 토층하부(土層下部)로 이동집적(移動集積)이 적었고,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표토중(表土中) 함량은 전이환(田轉換) 감자-배추>2년 수환(輸換) 감자-배추>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으로 높아 처리별(處理別) 시비량을 반영(反影)하였다. 2.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함량 및 pH는 심토(深土)로 갈수록 높아졌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 현저(顯著)하였다.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라서는 전(全) 토층(土層)에서 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2년(年) 윤환(輪換) 감자-배추>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이었고 처리별 식물체 흡수량(吸收量) 차이가 크게 영향하였다. 3. 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구(區)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투입량(投入量)보다 탈취량(奪取量)(흡수량)이 각각(各各) 21.5, 26.8, 9.2kg/10a 많았으나 투입량(投入量)중 화학비료량(化學肥料量)은 질소(室素)와 가리(加里)의 경우 탈취량(奪取量)에 비해 적었던 반면 인산(燐酸)은 많았다. 4. 전전환(田轉換) 대두구(大豆區)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각각(各各) -12.8, 4.1, -1.0kg/10a로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투입량(投入量)이 탈취량(奪取量)보다 적었으나 질소(窒素)는 근류균(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으로 결핍되지 않았던 반면 가리(加里)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 결핍증상(缺乏症狀)을 나타내었다.

  • PDF

제주도(濟州道) 감귤원토양(柑橘園土壤)의 특성(特性)과 관리(管理)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citrus orchard soils in Jeju)

  • 박훈;유순호;홍순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5-152
    • /
    • 1975
  • 제주도(濟州道) 감귤원토양(柑橘園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과수(果樹)의 영양조사(營養調査)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이 알려졌다. 1. 한라산려(漢拏山麗)의 대지(臺地)와 분석구(憤石口)에 위치(位置)하여 토양수분(土壤水分)이나 과원미세기상(果園微細氣象)에 지형(地形)의 영향(影響)이 클것같다 2. 배수(排水)가 잘되고 토심(土深)이 적으며 사력함량(砂礫含量)이 많고 고상율(固相率)이 적은에다가 강풍(强風)이 있어 토양(土壤)의 풍식(風蝕)과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문제가 될 것이며 보비력(保肥力)과 보수력(保水力) 및 근발달(根發達)을 위해 토심확대(土深擴大)가 필요(必要)하다. 3. 토양유효(土壤有效)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이며 점토(粘土)가 다음으로 기여하였다. 비닐 피복은 수분보존(水分保存), 풍식방지(風蝕防止) 동계지온상승(冬季地溫上昇) 등에 효과(效果)가 클 것으로 보였다. 4. 다량(多量)의 비정질(非晶質) 양성(兩性) 알로판 (Ampoteric Amorphous Allophane)은 인산(燐酸)의 고정(固定)과 양(陽)ion 용탈(溶脫)의 순환작용(巡環作用)에 의(依)하여 비효(肥效)가 결정(決定)되며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의 심층시비(深層施肥)가 요망(要望)되며 고토(固定) 인산(隣酸)의 용출(溶出)이 재평가(再平價)되어야 할 것이다. 5. 비효(肥效)는 해초(海草)와 같은 유기물(有機物)에 의(依)하여 증대(增大)되며 춘계시비효과(春季施肥效果)가 적은것은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과 관계(關係)가 큰것같다. 6. 엽분석(葉分析)은 N는 많으며 Mg는 충분하나 P, Ca가 부족(不足)하고 과실분석(果實分析)은 K가 부족(不足)하였다. 인산시용(燐酸施用)은 감미비(甘味比)를 증가(增加)시켰으며 K는 과피율(果皮率)을 감소시켰다. 7. Mn의 과잉과 부족(不足)증상이 부분적으로 나타났으며 Fe와 B는 문제가 없으며 Ca는 대부분 과잉이나 부족한 원(園)이 있으며 Zn도 부족(不足)한 곳이 보였다. 8. 암반(岩盤)을 제거한후 심토(心土)와 표토(表土)를 혼합(混合)하고 다량(多量)의 유기물(有機物)과 완용성비료(緩溶性肥料)를 시용(施用)하며 비닐피복을 하고 점적관개(點滴灌漑)를 하므로서 시비효과(施肥效果)가 발현(發現)되며 수량(收量)이 급증(急增)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간장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 (제8보) - Saccharomyces rouxii T-9의 영양 요구성 (3) Vitamin 및 Amino acid의 영향에 대하여 -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Part 8) - Nutritional requirements of Saccharomyces rouxii T-9 (3) Influence of addition of vitamins and amino acids -)

  • 이택수;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59-63
    • /
    • 1972
  • Saccharomyces rouxii T9의 생육에 있어서 vitamin및 amino acid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nositol, pyridoxine, riboflavin, niacin, para amino benzoic acid등은 생육인자로서 요구되지 않았다. (2) biotin, thiamin, Ca-pantothenate 등은 적응적으로 요구되었으며 이들 vitamin중 절대적으로 요구되는것은 없었다. (3) biotin, thiamin, pyridoxine, riboflavin, Ca-phantothenate등의 결핍배지에서는 배양초기 에는 식 염 26%배지에서 무염배지에 비하여 생육율이 다소 낮았으나 배양 16일 후에는 반대로 무염배지에 비하여 생육율이 높았다. (4) 유안을 질소원으로 하는 합성배지에 첨가효과가 인정되는 amino acid로서는 대략 methionine, tryptophan, serine, threonine, cystine, glycine, leucine, alanine, valine등의 순이였다. (5) histidine,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proline, tyrosine등은 배양초기에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생육도가 다소 저하되었으나 배양 16일경에는 무첨가구와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지화학적 자료에 근거한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저서환경 (Characteristics of Surficial Sediment and Benthic Environments Based on Geochemical Data in Gwangyang Bay, Korea)

  • 현상민;팽우현;이태희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93-102
    • /
    • 2004
  •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이해와 저서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총 110개의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상은 다섯 개의 퇴적상(니질, 사니질, 사질, 니사질 및 역사질을 포함한 니질 퇴적상)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니질 퇴적상이 광양만의 주된 퇴적상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C/N 및 C/S에 근거한 저서환경은 유기물중의 C/S비가 일부 시료에서 2.8이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일부 지역에서는 무산소 환경상태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퇴적물중 황화수소 함량은 최고 367 ppm에서 최소 약 1 ppm(평균 92 ppm)으로 나타났고 지역에 따라 심한 변동을 보이고 있다. 산화환원에 민감한 원소들(Mn, V, Mo, Cr)간의 상관관계는 조사지역 중 묘도 안쪽 지역에서 강한 양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높은 TOC함량과 높은 황화수소 함량 및 산화환원에 민감한 원소의 높은 농축이 묘도 안쪽의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묘도안쪽 지역이 부분적으로 무산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잠재적으로 오염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

Enterococcus faecium LKE12 Cell-Free Extract Accelerates Host Plant Growth via Gibberellin and Indole-3-Acetic Acid Secretion

  • Lee, Ko-Eun;Radhakrishnan, Ramalingam;Kang, Sang-Mo;You, Young-Hyun;Joo, Gil-Jae;Lee, In-Jung;Ko, Jae-Hwan;Kim, Ji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467-1475
    • /
    • 2015
  • The use of microbial extracts containing plant hormones is a promising technique to improve crop growth.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bacterial cell-free extracts on plant growth promotion. This study, based on phytohormonal analyses, aimed at exploring the potential mechanisms by which Enterococcus faecium LKE12 enhances plant growth in oriental melon. A bacterial strain, LKE12, was isolated from soil, and further identified as E. faecium by 16S rDNA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The plant growth-promoting ability of an LKE12 bacterial culture was tested in a gibberellin (GA)-deficient rice dwarf mutant (waito-C) and a normal GA biosynthesis rice cultivar (Hwayongbyeo). E. faecium LKE12 significantly improved the length and biomass of rice shoots in both normal and dwarf cultivars through the secretion of an array of gibberellins (GA1, GA3, GA7, GA8, GA9, GA12, GA19, GA20, GA24, and GA53), as well as indole-3-acetic acid (IA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indicating that E. faecium can produce GAs. Increases in shoot and root lengths, plant fresh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promoted by E. faecium LKE12 and its cell-free extract inoculated in oriental melon plants revealed a favorable interaction of E. faecium LKE12 with plants. Higher plant growth rates and nutrient contents of magnesium, calcium, sodium, iron, manganese, silicon, zinc, and nitrogen were found in cell-free extract-treated plants than in control plant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E. faecium LKE12 promotes plant growth by producing GAs and IAA; interestingly,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its cell-free culture extract can be a potential strategy to accelerate plant growth.

Effect of phosphorus application on appearance of algal water bloom and rice yield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Hwang, Jae-Bok;Bae, Hee-Soo;Park, Tae-Seon;Choi, In-Ba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3-233
    • /
    • 2017
  • Algal communities are important to maintain the aquatic ecosystems function. Algae have short life cycles, they respond quickly to environmental change and their diversity and density can indicate and the quality of their habitat. The bloom forms before the rice seedings have emerged, it may present a physical barrier that prevents the seedlings from penetrating the floodwater. Wind may also move the algal bloom, pushing the young plants beneath the surface. Another harmful action develops when the water dries up and the algae form a layer at the bottom of the field. The layer envelops the seedlings, which are not yet deeply rooted, and drag them to the surface when the water is let in again. Soil utilization pattern can be the mail facter affecting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especially in soil phosphorus (P). Solid content of the algae culture solu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nitrogen rather the phosphors concentration. Phosphoric acid was treat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s (100-0%, before transplanting time-tillering stage), 50-50%, 0-100%, and un-treated. The herbicide was treated on the 7 DAT (day after transplanting). Green algae samples were collected 20 DAT. Total phosphoric acid was the highest at 0.06 in 50-50% treatment in 20 DAT. The amount of green algae was about twice (9.8 mg/20ml) that of un-treated. Total number of green algae was 54 species(Green algae 35 species, Euglena 9 species, Stone wheel 10 species). Among the phosphoric acid treatment method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green algae were the highest with 39 species in 0-100%, followed by 50-50%, 28 species, conventional treatments, 22 species, non-treatment, 18 species, respectively. Rice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phosphoric treatment time, but slightly higher than un-treated. The maximal algal biomass was observed about 2weeks or 1 month after transplanting; the subsequent decrease of the biomass was related to the consumption by grazers and to a deficient light under the rice canopy. Maximal algal growth was observed just before tillering. To estimate the suitable method of phosphorus application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available phosphorus appearance of algal water bloom, and rice yield were investigated in paddy soil of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PDF

조릿대 잎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기능성 평가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Activities of Sasa borealis Leaf Tea)

  • 정창호;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86-592
    • /
    • 2008
  • 조릿대 잎을 이용한 가공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차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5.68%, 조단백 16.38%, 조지방 4.68%, 가용성 무질소물 32.37%, 조섬유 32.36% 및 회분 8.53%로 각각 나타났다.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 2,133.83, Ca 1,144.09 및 P 543.00 mg/100 g이었으며, 아미노산중 proline이 1,275.2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cystine이 71.49 m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50.52%), palmitic acid(18.52%) 및 oleic acid(14.16%)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80^{\circ}C$에서 추출한 조릿대 잎차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80%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5.09, 7.69 mg/g과 12.03$\pm$0.67, 6.12$\pm$0.29 mg/g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80% 메탄올추출물 농도 1.25 mg/mL에서 각각 86.87%와 83.85%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 및 acetylcholinesterase(퇴행성뇌신경질환의 일종인 치매 유발 효소)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블랙 커런트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Currant)

  • 정창호;장치원;이구열;김일훈;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3-270
    • /
    • 2012
  • 블랙 커런트를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및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블랙 커런트 착즙액의 pH는 3.36, 가용성고형분은 $15.11^{\circ}Brix$ 및 총산도는 1.65%였으며, L값 18.20, a값 5.13 및 b값 1.08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은 수분 77.64%, 가용성 무질소물 17.41%, 조섬유 3.08%, 조단백 1.28%, 조회분 0.31% 및 조지방 0.28% 순이었다. 주요 무기성분은 K, P 및 Ca으로 그 함량은 각각 177.36 mg/100 g, 54.74 mg/100 g 및 26.45 mg/100 g이었다. 블랙 커런트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71%) 및 fructose(5.88%)였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105.73 mg/100 g)이었고,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cystine(5.29 mg/100 g)이었다. 비타민 C 함량과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2.19 mg/100 g 및 34.48 mg/GAE g이었다. 블랙 커런트의 농도 10 및 1.25 mg/mL 일때 각각 99.48%와 89.03%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환원력과 FRAP은 농도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블랙 커런트는 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양세균이 적조형성 생물에 미치는 역할 1. 진해만의 해양세균과 과편모조류의 분포 (The Role of Marine Bacteria in the Dinoflagellate Bloom 1.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Dinoflagellate in Chinhae Bay)

  • 이원재;김학균;박영태;성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3-309
    • /
    • 1990
  • 해양세균이 적조형성 생물에 미치는 역할을 알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진해만에 분포하고 있는 세균을 분리동정함과 동시에 과편모조류의 군집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동정한 총균주수는 251균주로 Flavobacterium spp.가 26균주, Ainetobacter spp.가 18균주였으며 우점종은 계절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광합성세균은 약 $13\%$인 32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Erythrobacter longus, Erythrobacter sp.(J-2) 및 Erythrobarter sp.(J-8)의 3종으로 동정되었다. 과편모조류 군집은 14속 29taxa로 구성되었으며, 출현양은 9월에 4,699cells/m1로 가장 많고 4월에 36cells/ml로 가장 적었다. 우점종으로 8월에 Gymnodinium sangurneum, 9월에는 Prorocentrum micans, P. minimu, 10월에는 Ceratium fussus 그리고 4월에는 Heterocapsa triquetra였다. 한편 8, 9월에는 주로 마산만과 진해만 서부연안에서 적조현상이 발생하였다. 수질부영양지표성분인 DIN과 DIP는 적조발생조건(수질2급기준에 해당)인 $7.14{\mu}g/-at/\iota$$0.48{\mu}g/-at\iota$를 대부분 초과하였으며, COH는 부영양 또는 과영양수역에 해당되었고 하계 저층수에서는 빈산소상태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