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Oxide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3초

The Respective Effects of Shoot Height and Conservation Method on the Yield and Nutritive Value, and Essential Oils of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 Kim, S.C.;Adesogan, A.T.;Ko, Y.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816-82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hoot height at which th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ormwood (Artemisia montana) is optimized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its potential to support animal production (Experiment 1). A second objective was to determine how the essential oil (EO) concentration in wormwood hay and silage differ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Artemisia montana was harvested at five different shoot heights (20, 40, 60, 80 and 100 cm) from triplicate $1.8{\times}1.8m$ plots. Dry matter (DM) yield was measured at each harvest date and the harvested wormwood was botanically separated into leaf, stalk and whole plant fractions and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Values for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were subsequently calculated using prediction equations. Dry matter yields of stalk and whole plant increased linearly (p<0.001) and leaf yield increased quadratically (p<0.01) with shoot height, whereas the leaf/stalk ratio decreased linearly (p<0.001). As shoot height increased, there was a linear increase (p<0.001) in leaf DM, ether extract (EE)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and a quadratic increase (p<0.05) in lea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itrogen free extract (NFE) contents, and stalk and whole plant DM (p<0.001), organic matter (OM, p<0.01 and p<0.05), NDF (p<0.001 and 0.05) and NFE (p<0.05) contents. However, there were decreases in leaf crude protein content (CP, quadratic, p<0.001) and stalk and whole plant EE content (linear, p<0.001), CP (quadratic, p<0.05) and ash (quadratic, p<0.05) contents. Digestibility of DM and TDN, and DE and ME value in leaves were not affected by increasing shoot height, but these measures linearly decreased (p<0.001) in stalk and whole plant. In Experiment 2, the hay had higher DM and CP concentrations, but lower EE concentration than the silage. Essential oil (EO) content in wormwood silage (0.49 g/100 g DM)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wormwood hay (0.32 g/100 g DM). Wormwood hay contained 25 essentail oils (EO) including camphor (10.4 g/100 g), 1-borneol (11.6 g/100 g) and caryophyllene oxide (27.7 g/100 g), and wormwood silage had 26 EO constituents including 3-cyclohexen-1-ol (8.1 g/100 g), trans-caryophyllene (8.6 g/100 g) and ${\gamma}$-selinene (16.8 g/100 g).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ideal shoot height for harvesting wormwood is 60 cm based on the optimization of DM yield and nutritive value. Wormwood silage had a greater quantity and array of EO than wormwood hay.

Oligosaccharides are a key factor in prediction of amino acid digestibility in soybean meal of different origins when fed to growing pigs

  • Li, Zhongchao;Wang, Qiuyun;Xie, Fei;Liu, Dewen;Li, Yakui;Lyu, Zhiqian;Lai, Chang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2호
    • /
    • pp.1724-1732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 (AA) in 15 sources of soybean meal (SBM) produced from soybeans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subsequently to establish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AID and SID in SBM based on their chemical composition. Methods: Eighteen barrows ($57.9{\pm}6.1kg$)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were allotted into three $6{\times}6$ Latin square designs. Each period comprised a 6-d adaption period followed by a 2-d collection of ileal digesta. The 15 test diets included SBM as a sole source of AA in the diet. Another nitrogen-free diet was used to measure basal endogenous losses of CP and AA. Chromic oxide (0.3%) was used as an inert marker in each diet. Results: The AID of lysine in SBM from China and USA tended to be greater than in SBM from Brazil (p<0.10). The SID of valine and proline in SBM from China was greater than in SBM from Brazil (p<0.05). The SID of lysine, threonine, cysteine and glycine in SBM from China tended to be greater than in SBM from Brazil (p<0.10). From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 series of AID and SID prediction equations were generated. The best fit equations for lysine in SBM were: AID lysine = 1.16 sucrose-1.81 raffinose+82.10 ($R^2=0.69$, p<0.01) and SID lysine = 1.14 sucrose-1.93 raffinose-0.99 ether extract (EE)+85.26 ($R^2=0.77$, p<0.01).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experiment, the oligosaccharides (such as sucrose and raffinose) can be used to predict the AID and SID of AA in SBM with reasonable accuracy.

태충·삼음교의 침 자극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신장 손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R3 and SP6 Acupuncture on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이초인;이현종;이윤규;임성철;김재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41-51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R_3$ and $SP_6$ acupuncture on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mice. Methods : ICR male mice were stabilized for a week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mice group(N), no-acupuncture diabetic mice group(Control), $LR_3$ acupuncture diabetic mice group($LR_3$), and $SP_6$ acupuncture diabetic mice group($SP_6$). Diabetes was experimentally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Z(150 mg/kg) in citrate buffer(pH 4.5). For two weeks, $LR_3$ and $SP_6$ acupunctures were administered bilaterally at each point once a day. After two weeks, the animals' weight was measured and they underwent a laparotomy. Serum glucose and blood urea nitrogen(BUN) were measured from the blood taken from the heart. We measured glucose, reactive oxygen species(ROS), peroxynitrite($ONOO^-$)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in the kidney and compared expression levels of superoxide dismutases(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cyclooxygenase-2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nd Interleukin-1 beta(IL-$1{\beta}$). Results : BUN significantly decreased in $LR_3$, $SP_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R_3$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gluco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R_3$, $SP_6$ significantly decreased in ROS and $ONOO^-$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R_3$ significantly decreased in TBA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P_6$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pressions of SOD-1, catalase, and GP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R_3$, $SP_6$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X-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P_6$ significantly decreased in IL-$1{\bet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LR_3$ acupuncture may be effective in controlling glucose and lipid peroxidation and that $SP_6$ acupuncture may hav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renal damage in STZ-induced diabetic mice.

음파를 이용한 연료 입자 운동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roving Fuel Droplet Movement with Sonic Wave Radiation)

  • 민선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08-613
    • /
    • 2019
  •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은 심각한 대기 오염을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질소산화물은 연소가 고온 조건에서 진행되는 경우에 생성되므로 일반적으로 배기가스 재순환 방법을 사용하여 연소 온도를 낮추어 저감시킨다. 배기가스 재순환 비율이 높아질수록 질소산화물의 양은 감소하나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어 일산화탄소와 연소실 내의 연료가 연소 되지 않고 나오는 미연탄화수소의 양이 증가하여 오히려 오염물질을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연소 안정성 향상을 위해 연료 입자에 음파를 조사하여 연료 입자의 움직임을 증가시는 방안 및 배기가스재순환 비율의 증가에 따른 엔진 성능 향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기본 연구로, 유동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여러 주파수의 음파를 연료 입자에 조사하여 연료 입자의 속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석 결과, 연료 입자의 크기가 크면 저주파의 음파에 의해, 연료 입자의 크기가 작으면 고주파의 음파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소 안정성 향상이 엔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엔진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해석 결과, 배기가스 재순환 비율을 15% 증가시킨 경우,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45% 저감되고, 열효율이 10%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목재펠릿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의 형태에 따른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Type of Fuel Supply Device (Feeder) of a Wood Pellet Boiler)

  • 최윤성;어승희;오광철;김대현;오재헌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120-1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목재펠릿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에 따른 연소특성의 분석을 위해, 낙엽송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1급 목재펠릿 연료 및 연소시스템인 목재펠릿보일러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장치(feeder)의 유형 및 형태에 따른 버너의 온도 및 배기가스($O_2$, $CO_x$, $NO_x$)의 농도 등이 측정, 비교, 분석되었다. 스프링 연료공급 장치가 실험 조건으로 적용된 경우의 버너의 평균 온도는 약 $821.76^{\circ}C$, 배기가스 산소 농도는 약 8.88%, 일산화탄소 농도는 약 93.35ppm,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12.15%,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약 139.83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스크류 형태의 연료공급 장치가 설치된 실험조건에 비해 완전연소 조건에 도달하였으며, 배기가스의 평균농도가 허용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크류 피치의 증가에 따른 연소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 펠릿의 완전연소를 위한 조건에 근접, 조성하기 위해서는 연료의 투입량 조절과 더불어 투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Aluminium-Pillared Clay의 제조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Al-Pillared Clay)

  • 박세준;하백현;정순용;서정권;이정민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304-309
    • /
    • 1999
  • 한국산 벤토나이트에 0.2 M $AlCl_3{\cdot}6H_2O$ 수용액과 0.5 M NaOH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를 층간 삽입시켜 다공성의 Al-pillared clay를 합성하여 특성 분석 및 열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합성한 aluminum-pillared clay는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의 OH/Al의 몰비가 0.25~2.25로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104{\sim}228m^2/g$으로 증가하였고, 미세세공 면적과 미세세공 부피도 비표면적과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BJH식으로 계산된 기공분포로부터 약 $40{\AA}$ 정도의 mesopore도 많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가 층간 삽입되어 층간 공간을 확장하고 알루미늄 산화물이 층간에 지주가 되어 기공이 잘 발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OH/Al 몰비가 클수록 층간기둥이 잘 발달되어 기공이 더욱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OH/Al의 비가 큰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 용액으로 제조된 Al-pillared clay는 층간 지주들이 많이 생성되므로서 층간 기둥 밀도를 증가시켜 열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삼척항 표층퇴적물 내 유기물 및 중금속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and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Samcheok Port)

  • 신우석;김영기
    • 공업화학
    • /
    • 제31권5호
    • /
    • pp.481-486
    • /
    • 2020
  • 삼척항 내 표층 퇴적물에 대한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도, 유기물 및 중금속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삼척항 퇴적물은 sand, silt, clay가 혼재된 특성을 보였으며, 내항에는 세립질이 우세하였고, 외항에는 조립질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COD, TOC, IL) 오염정도는 내항이 외항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질소 및 총인 농도도 내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금속 농도도 외항보다 내항에서 더 높았다(As 제외). 내항 표층 퇴적물의 높은 유기물 농도 및 C/N비로 보아 육상 유래 유기물의 오염 기여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표층 퇴적물의 입도, 이화학적 성분, 중금속 간의 상관성 분석에서 silt-clay는 중금속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유기물 지표와 중금속간의 상관성도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연속추출결과에 따르면 Ni, Zn, Cu, Pb, Cd 및 As는 이온교환, 탄산염, 산화물 형태를 합한 평균 존재비가 각각 14.8, 49.8, 39.1, 32.2, 51.8 및 26.6%이었다.

시판 마른 멸치의 정미성분 (The Taste Compounds in Boiled-Dried Anchovy)

  • 이응호;김세권;전중균;차용준;정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4-200
    • /
    • 1981
  • 마른멸치의 정미성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판 대멸, 중멸, 소멸 및 세멸 중의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TMAO, TMA 및 총creatinine을 분석하였다. 핵산관련물질 중 IMP가 대멸, 중멸, 소멸 및 세멸에 각각 건물양기준으로 $22.7{\mu}mole/g$, $18.6{\mu}mole/g$, $20.3{\mu}mole/g$$4.0{\mu}mole/g$으로서 가장 많았고, 전핵산관련물질에 대하여 각각 $55.0\%,\;51.1\%,\;69.1\%$$42.0\%$를 차지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중 함량이 많은 것은 histidine, lysine, alanine 및 proline이고, 특히 histidine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전유리아미노산에 대하여 histidine이 차지하는 비율은 대멸, 중멸, 소멸, 세멸에 있어 각각 $52.0\%,\;40.7\%,\;46.6\%,\;17.0\%$였다. 총 creatinine 함량은 대멸, 중멸, 소멸, 세멸에 있어 각각 510.8mg/100g, 496.1 mg/100g, 546.1mg/100g, 278.5mg/100g 였으며, 이들의 액스분질소에 대한 비율은 $34.0\%,\;36.0\%,\;39.1\%$, 및 $21.1\%$였다. 그리고, TMA 및 TMAO 함량은 미량이었다. Omission test 결과 마른멸치의 정미성분으로서는 핵산관련물질 중 함량이 많은 IMP와 glycine, alanine, proline 등과 같은 아미노산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TiO_{2-x}$ 박막의 전기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iO_{2-x}$ Thin Films)

  • 최규원;최주현;조기형;최용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6
    • /
    • 1986
  • 공기산화와 수증기 산화법에 의하여 Ti$O_{2-x}$박막을 만들었고, 알곤 기체속에서 $TiO_2$단결정을 환원하였다. Ti$O_{2x}박막의 전극 특성은 환원된 단결정 rutile의 특성과 거의 같았다. 산소가 용해된 전해질용액에서 측정된 Ti$O_{2-x}$전극들의 전류-전압 곡선으로 부터 음극전류의 peak는 -0.8V ~ -1.0V에서 나타났으며, 영볼트 근처의 Ti$O_{2-x}$전극들의 음극전류는 공기로 포화된 용액에서 보다 질소로 포화된 용액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시간에 따르는 전류 (i)의 변화는 $i_0e^{-kt}$식에 의존하였고 이때의 속도상수(k)는 $k_0{[H^+]}^nexp(A{\eta}+\frac{E_a}{RT})$로 나타낼 수 있었다. 여기서 활성화에너지 Ea는 0.035~0.145V의 과전압에서는 4.6~4.8kcal/mole, 0.2~0.5V의 과전압에서는 1.6kcal/mole이고, 위식중의 n과 A는 0.035~0.145V에서 0.1과, 5.4~5.6/V, 0.2~0.5V에서는 0.04와 1.3/V이었다. 산소의 환원반응은 전체적으로 비가역 반응임을 알았다.

  • PDF

코발트 산화물 박막을 이용한 박막형 슈퍼 캐패시터의 제작 및 특성평가 (Fabrication and Analysis of Thin Film Supercapacitor using a Cobalt Oxide Thin Film Electrode)

  • 김한기;임재홍;전은정;성태연;조원일;윤영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39-344
    • /
    • 2001
  • 코발트 산화물 박막을 전극으로 하여 Pt/Ti/Si 기판위에 Co$_3$O$_4$/LiPON/Co$_3$O$_4$로 구성된 전고상의 박막형 슈퍼캐패시터를 제작하였다. 각각의 Co$_3$O$_4$박막은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이용하여 $O_2$/[Ar+O$_2$] 비를 증가 시키며 성장시켰고, 비정질 LiPON 고체전해질 박막은 순수한 질소분위기 하에서 rf 스퍼터링으로 성장시켰다. 비록 벌크 타입의 슈퍼캐패시터에 비해 낮은 전기용량 (5-25mF/$\textrm{cm}^2$-$\mu\textrm{m}$)을 가졌지만, Co$_3$O$_4$/LiPON/Co$_3$O$_4$ 구조로 제작된 전고상 박막형 슈퍼캐패시터는 벌크 타입과 비슷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0-2V의 전압구간, 50$\mu\textrm{A}/\textrm{cm}^2$의 전류밀도에서 약 400사이클 까지 안정한 방전용량을 유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고상 박막형 슈퍼캐패시터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O_2$/[Ar+O$_2$] 비에 의존하는데, 이러한 의존성을 구조적, 전기적 특성 및 표면특성을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