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xt industrial revolutio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초

4차 산업혁명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 탐색: 키워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Key Technologies on Next Production Innovation)

  • 이수철;고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99-207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을 증거기반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과 관련한 총 441건의 논문데이터를 추출하였고, 이 논문들의 저자 키워드 동시 등장 관계를 기반으로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기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중심성 및 키워드 그룹 분석을 통해 주요 기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digital twin', 'modeling and simulation' 등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실시간으로 완벽하게 연결하여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이를 설계 및 공정에 반영하는 기술들이 주요 기술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련 산업 내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를 대비하는 기업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wards Sustainable Environmental Policy and Manage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vidence from Big Data Analytics

  • CHOI, Choongik;KIM, Chunil;KIM, Chulm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3호
    • /
    • pp.185-192
    • /
    • 2019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nvironment using the big data methodology. We scrutinize the tren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ssoci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a more desirable future environmental polic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generally perceived as negative to environment before the 2010s, while it has been widely regarded as positive after the perio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e capable of functioning as a new alternative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bio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justifies that the new wav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may serve as a cure for the enhancement of the environmental quality. The positive linkage between the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from this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environmental technologies will be key economic factors in the next-generation society. They should be of critical importance in shaping our cities into clearer and greener spaces, and people will continuously depend on the development of new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 order to correct environmental damages.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지원정책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ME Supporting Policy)

  • 김용열;박영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87-405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환경변화를 중소기업 관점에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의 관련성 및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격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초래될 수 있는 미래의 유망분야는 세계경제포럼 조사, 제조업 혁신, 신성장동력 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GE의 대응사례가 참고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지원과의 관련성이 중요할 뿐 아니라 유망분야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적합성 여부가 검토되어야 한다. 유망성과 적합성의 기준에 따라 미래 신규사업을 발굴함에 있어서 제품과 서비스, 세부와 파생의 분야가 모두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자체의 역량강화와 함께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 (A Study on the Redesign of the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 주현미;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1-223
    • /
    • 2017
  • 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한 신기술의 도입과 클라우드 업무환경으로의 변화 등의 기록관리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해 기록의 생산 및 관리 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나 현재의 법제와 시스템 등이 이러한 외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기록관리 프로세스, 시스템, 인프라 영역의 제문제가 서로 얽혀있어 부분적인 개편으로는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이에 전면적인 재설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전면적 개편을 '차세대 전자기록관리'로 명명하고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를 재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주요한 이슈들과 개선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4차 산업혁명 하에서의 6 시그마 DMAIC 단계별 변화에 대한 전망 (A Future Prospect for Change in each Step of Six Sigma DMAIC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권혁무;홍성훈;이민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0
    • /
    • 2018
  • Purpose: This paper provides an idea on the future prospect for change in steps of the six sigma DMAIC project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s: First, the purpose and activities required in each step of DMAIC are reviewed. Next, activities are reviewed together with too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purpose 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nally, the best approaches for achieving the purpose are prospected to get an idea on future change. Results: The purpose of each phase of DMAIC is expected to remain unchanged. But activities, techniques, or methods will be replaced with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ones. Also, many activities may possibly be executed by a system instead of people like BB, GB or team members. Moreover, DMAIC may not be a project any more but a routine job of the system in the future. Conclusion: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activities including analyzing various types of data and extracting valuable information, will be executed by a system with proper algorithms instead of people. And six sigma improvement projects may be intrinsic parts of the system and may not exist as separate projects any more.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준비 여부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Preparedness for Social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유양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66-575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준비여부를 파악하고 성별, 전공별, 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예상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보다 더 깊은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명 중 3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앞으로 5년 사이에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체감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5명 중 2명 정도의 학생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자신의 준비 수준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이 사회 전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전공과 성별에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는 기술공학과 인문사회학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echnolog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sing SNA)

  • 김홍광;안종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113-12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웹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및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국내 외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논문 및 보고서의 제목 텍스트와 날짜를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이후 개념적인 차원에서의 키워드 간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형태소 분석을 통한 대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핵심 키워드 및 연관 키워드 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관련 연구 개발 및 법 제도적 완화 등에 대한 초점을 두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반면, 국외는 단위 서비스 형태로의 접근을 통해 도시에 대한 실질적 적용 기술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4차 산업혁명과 광고의 뉴스기사 분석 : LDA와 Word2vec을 중심으로 (News Article Analysi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dvertising before and after COVID-19: Focusing on LDA and Word2vec)

  • 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49-163
    • /
    • 2021
  •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드론, 자율주행과 가상현실(VR) 등 정보통신 기술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하는 것으로, 광고 산업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지금 전세계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비접촉, 비대면 생활환경으로 급속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과 광고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의 4차산업 혁명과 광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빅카인즈를 활용해서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코로나 19 이전인 2019년과 코로나 19 이후인 2020년을 비교하였다. LDA토픽 모형 분석과 딥러닝 기법인 Word2vec을 통해 주요 토픽과 문서분류를 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정책, 콘텐츠, AI 등이 나타났으나, 코로나 이후에는 데이터를 활용한 금융, 광고, 배달 등으로 점차 영역이 확장되며, 더불어 인재양성 교육이 중요한 이슈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코로나 19 이전에는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관련된 광고를 활용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코로나 19 이후에는 참여, 협력, 일상 필요 등 좀 더 적극적으로 첨단기술 자체에 대한 교육과 인재양성 등에 대한 키워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코로나 19 이후에 4차 산업혁명에서 광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면서, 이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전략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3·1 운동 정신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선교적 교회 역할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Role of a Missional Church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봉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91-503
    • /
    • 2019
  • 본 연구는 2019년 올해로 3.1 운동이 발발한지 백주년을 맞이하면서 3.1 운동이 한국역사에 미쳤던 의의와 영향들을 살펴보고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조명했다. 또한 이러한 3.1 운동이 현대 사회에 주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확인했다. 첫째, 교회는 사회에 대한 분명한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둘째, 현존하는 미래인 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그들을 위한 실제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이상만큼 중요한 것은 그 속에 들어있는 가치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중심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현대의 교회 역할은 어떠해야 하겠는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회는 소속감을 강조하는 선교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Z세대로 불리는 다음 세대를 향한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새로운 시대의 교회는 시민사회운동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회의 온전한 교회됨의 구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회는 일상의 삶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드러내는 보다 더 선교적인 공동체이어야 한다.

피지컬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윷놀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Yut Playing System Based on Physical Computing)

  • 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35-342
    • /
    • 2017
  •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환시키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인공지능, 로봇 기술, 사물인터넷, 그리고 생명과학 등이 이슈화되면서 차세대 산업혁명인 4차 산업혁명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4차 산업에 적응하도록 융합적사고와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EAM과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인 분해, 패턴 인식, 추상화, 그리고 알고리즘 설계 등을 반영하여 피지컬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윷놀이 시스템을 개발한다. 개발한 시스템을 체험하고, 이를 교육에 활용함으로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고취시키고, 융합적사고와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개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