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tow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주민제안형 도시설계 운영 및 평가: 뉴타운시민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Oriented Urban Design of Citizen Academy: Case of Gyong-gi Newtown Academy)

  • 조영태;이재준;최석환;김도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2호
    • /
    • pp.177-184
    • /
    • 2013
  • 본 연구는 경기 뉴타운 시민대학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안양 만안뉴타운 도시설계안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운영평가와 결과물 분석을 통해 향후 주민제안형 도시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뉴타운 시민대학은 기존 강의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분석하고, 설계안을 작성 제안하는 스튜디오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안양 만안팀의 계획안 '자연, 문화, 역사, 사람이 공존하는 Eco-Cycle 만안'은 2010년 시민대학의 대상을 수상한 주민제안형 도시설계안이다. 만안팀은 지역분석과 대안설정을 통해 문화, 여가, 자연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대상지역을 계획하였으며, 주민설계안이 실제 뉴타운의 재정비촉진지구 계획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디자인한 뉴타운 시민대학의 도시설계 작성과정과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공공디자인으로서 주민제안형 도시설계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농어촌 뉴타운조성사업을 토대로 본 농촌 활성화를 위한 주거환경 정책 방향 (Review of Rural Housing Policies for Rural Revital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Rural Newtown Projects)

  • 박정아;최병숙;강인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87-90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ending problems after reviewing the overall policies and status of rural Newtown projects, and to seek solutions to its problems. This study targeted the villages of 5 districts, which were developed as rural new-towns after 2009 and included the basic status and progress of the pilot districts.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the basic status and progress of the pilot districts, and based on this, analyzed the demand prediction, site selection, project implementation, and housing and amenity facilities of the pilot districts. The study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views, on-site surveys, interviews with village representatives, and consultations with exper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 low occupancy rate of the Newtown project districts is because the prediction of occupancy demand was incorrectly completed before implementing the projects. Also, the eligibility for occupancy, such as age restriction and mandatory farming was too strict. Other problems included an absence of income generation support policies for rural returnees, a housing supply policy in disregard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of maintenance of communal space, etc.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은평뉴타운 지가 분석 (Analysis of Eunpyeong New Town Land Price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정효진;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65-73
    • /
    • 2015
  • 서울시는 강북의 노후화 및 강남과 강북의 경제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뉴타운 사업을 시행하였고, 이에 따라 은평구는 시범지구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최종적으로 사업이 완료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은평구에서 진행된 뉴타운 사업에 따라 발전된 사회적, 경제적 요소들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공간 효과를 반영한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지가분석에서 주로 이용된 선형회귀모델에 비해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AIC값과 잔차의 Moran'I를 통해 좀 더 적합한 모델로 판정하였다. 또한 지역적으로 회귀계수의 차이가 있었으며 부호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선형회귀모델을 통한 전역적인 분석방법보다 자세한 설명이 가능해졌다. 추후 은평구 개발에 있어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을 개발한다면 실효성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권 제2기 신도시 내 친환경 계획요소와 아파트 실거래가격간의 영향도 (The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Eco-friendly Planning Elements in Metropolitan 2th Newtown and the deal price of Apartment House)

  • 정성훈;김정인
    • 환경정책연구
    • /
    • 제12권1호
    • /
    • pp.3-35
    • /
    • 2013
  • 국내의 대표적 친환경 도시 조성사례인 수도권 제2기 신도시 내에 입주한 4개권역 총 80개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아파트단지 내 정성적 친환경 계획요소(독립변수)가 정량적 아파트 실거래 가격(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도를 통계적 계량기법을 활용해서 실증 분석하였다. 기존 도시 및 건축학적 차원에서의 정성적인 계획요소 분류체계를 발전적으로 좀 더 확장하여 환경경제학적 차원의 정량적인 계량분석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로 수도권 제2기 신도시 아파트단지에 도입된 친환경 계획요소가 아파트 실거래가격에 미치는 매우 비중있고 주목할 만한 경제적 유발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주목할 점은 신 재생에너지 도입 등 최신 녹색신기술이 적용된 다양하고 차별화된 친환경 계획요소가 이미 보편화되어 아파트 실거래가격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신도시 교육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통학로의 안전성 확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of walking safety in newtown schoolzone way)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1호
    • /
    • pp.53-6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eme to provide children safer and more comfortable walking circumstances by survey current walking circumstances of schoolzone ways. A scheme suggest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to elementary school in 3 Newtowns(Dongtan, Dongbaek and Gumdan City) and actually surveyed data on school zone, the schem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o avoid pedestrian roads being interrupted and to expend waiting space near schoolzone ways, several measures are needed including fixing roads and building additional gateway. Second, pedestrian crossings in front of school gate should be located at least 30m away from the left side of the gate. Third, to secure pedestrians' safety in school zone ways should be planed and established more security concepts und facilities.

초등학교 통학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walking safety in newtown schoolzone way)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2호
    • /
    • pp.20-2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eme to provide children safer and more comfortable walking circumstances by survey current walking circumstances of schoolzone ways. A scheme suggest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to elementary school in 3 Newtowns(Dongtan, Dongbaek and Gumdan Districts) and actually surveyed data on school zone, the schem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o avoid pedestrian roads being interrupted and to expend waiting space near schoolzone ways, several measures are needed including fixing roads and building additional gateway. Second, to secure pedestrians' safety in school zone ways should be planned and established more security concepts und facilities Third, to improve the walking safety in schoolzone way should be established specially "schoolzone B-plan".

신도시 공동주택 거주자 대상의 녹색건축 인증제도 인식도 조사 및 분석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Survey of Multi-complex Residents in Newtown)

  • 목선수;박아름;조동우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23-28
    • /
    • 2013
  •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has been used for environmental 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ince 2002. The certification criteria initialed with multi-residential building and now it expands to 10 criteria for new and existing building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rrent recognition of G-SEED from the survey of multi-complex residences in newtown. From the general question, 75.2% of responders answered the period of living term between 1~3 years, 58.6% lived in $102.48{\sim}132.23m^2$ residential area and 65.2% owned their residences. The 43.2%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their residences gained G-SEED certification by G-SEED emblem(31.6%). This is the significant meaning to understand public recognition of G-SEED and how to approach the strategy for raising the G-SEED recognition. The responders expected positive influence for economical value from G-SEED and also 75.3% of responders agreed with that G-SEED would be a decision make to buy and rent their residences. Second, residents responded that the consideration issue for green building is energy &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27.7%) which carries equal concern in G-SEED criteria category. The result of this survey verifies that the current level recognition of G-SEED of the responder's perspectives still is not well-known but it confirmed they have a positive expectation. Therefore, from this result, G-SEED needs to draw road map with detail plans for developing G-SEED with public participation.

신도시계획의 계획지표를 반영한 U-City의 U-방범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U-Service for Security in U-City Newtown Planning)

  • 윤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45-6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시대를 선도하는 U-City 추진이나 U-City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중요하지만, 오랜 역사적 경험과 지속적 연구로 성숙되어진 공간계획기법들과 연계되는 U-City의 추진이 필요하다는 시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최근의 신도시계획에서 나타나는 각종 공간계획지표의 변화특성, 특히 안전이나 방범에 대한 계획지표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안전한 도시공간 형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법과 전통적인 안전도시구상을 위한 방어공간이론, 최근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각각의 계획적 지표들이 계획단계부터 통합되어지지 않고 추진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 연계하려는 시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였던 범죄예방를 위한 공간계획의 시점에서 보면, 건축적인 접근과 함께 비건축적인 접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감시 등 비건축적 접근에 치중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CCTV 등의 활용이 시대적 요구라고 할지라도 물리적 공간계획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향에서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나 이에 대한 배려는 미약한 실정이었다.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신도시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 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on Self-supporting Energy of Newtown Sewage Treatment Facility for Low-carbon Green City)

  • 안수정;현경학;김종엽;정연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83-690
    • /
    • 2010
  • Renewable and unutilized energy (biogas power generation, wind power, solar, small hydro-power, sewage heat source, etc.) seems to be suitable to install for th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re are 357 sewage treatment plants in 2007. 17 plants among these have been operating for self-supporting energy by using solar power, small hydro-power and biogas in 2008. Newly built sewage treatment plant of 96,000 $m^3$/day for a newtown is expected to get up to energy consumption of 10 GWh/yr. If solar energy, small hydro-power and biogas-equipments were applied to the new treatment plant, self-supporting energy of the new sewage treatment plant will get up to 56.1%. As a results, about 2,379ton $CO_2$/yr $CO_2$ emission reduction can be expected by using renewable energy. These efforts for self-supporting energy will lead sewage treatment plant to new energy recycl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