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s sourc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저널리즘 가치에 기초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뉴스 시각화 (A news visualization based on an algorithm by journalistic values)

  • 박대민;김기남;강남용;서봉원;하효지;온병원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12
    • /
    • 2014
  • 현재 온라인 뉴스 서비스는 선정적인 연성뉴스 중심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저널리즘 가치를 구현한 뉴스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보원과 공동 인용 여부에 따라 기사를 클러스터링하고 가중치를 부여해 사실성, 다양성, 심층성, 비판성 등 주요 저널리즘 가치를 구현한 알고리즘은 뉴스정보원연결망분석(news source network analysis)으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시각화한 서비스인 뉴스소스를 제안한다. 뉴스소스는 시간과 정보원에 따라 뉴스를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어떤 토픽에 대해 분야별, 소속별로 얼마만큼의 중요도에 따라 논의되는지를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뉴스 아카이브인 카인즈의 기사를 활용해 뉴스소스의 베타 버전을 구현했다. (http://147.47.125.161/NSNA/ 에서 베타서비스 중이며, 구글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음)

The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Portal News and News Site Application Usages on Smartphones: Focusing on Political Discussion Networks, News Media Use and News Genre Consumption

  • Lee, Hyunjoo;Ahn, Jung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7
  • The study aims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portal news and news site application usages on smartphones in regard to political discussion networks, news use across multiple media platforms and news genre consump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ose factors affected both types of application usages in a different manner when controlling for demographics. The more participants conversed politics with homogeneous networks, the more they used portal news on smartphones. Conversely, the more political discussion with heterogeneous networks, the more they used news site application on smartphones. The more frequently Internet and mobile phone were employed for news source and the more soft news genre was consumed, the more the portal news application was used. However, the more frequently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were employed for news source and the more hard news consumed, the more news site application was used. The findings imply that portal news application users may increase their likelihood of soft news consumption using Internet and mobile phones for political discussion with close social relations, while news site application users may increase their likelihood of hard news consumption using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for political discussion with distant social relations.

Social Media News in Crisis? Popularity Analysis of the Top Nine Facebook Pages of Bangladeshi News Media

  • Al-Zaman, Md. Sayeed;Noman, Mridha Md. Shible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18-32
    • /
    • 2021
  • Social media has become a popular source of information around the world. Previous studies explored different trends of social media news consumption. However, no studies have focused on Bangladesh to date, where social media penetration is very high in recent years. To fill this gap,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its popularity trends during the period. For that reason, this work analyzes 97.67 million page likes and 3.48 billion interaction data collected from nine Bangladeshi news media's Facebook pages between December 2016 to November 2020.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rowth rates of page likes and interaction rates declined during this period. It suggests that the media's Facebook pages are gradually losing their popularity among Facebook users, which may have two more interpretations: Facebook's aggregate appeal as a news source is decreasing to users, or Bangladeshi media's appeal is eroding to Facebook users.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previous results, i.e., Facebook's demand as a news source is increasing with time. We offer four explanations of the decreased popularity of Facebook's news: information overload, exposure to incidental news, users' selective exposure and different aims of using Facebook, and conflict between media agendas and users' interest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has been discussed as well.

'영끌' 보도에 대한 언어망 분석: 뉴스 정보원 다양성을 중심으로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Young-Kl(panic buying)': Focusing on News Source Diversity)

  • 이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3-33
    • /
    • 2021
  • 이번 연구는 일간지, 경제지, 지상파 TV 등 총 11개의 언론 매체들이 보도한 '영끌' 관련 뉴스 기사를 분석하여 각 보도 프레임과 인용문 프레임을 파악하였다. 의미망 분석을 활용하여 매체별 인용문의 프레임, 정보원의 종류별 인용문 프레임 등을 비교, 분석하였고 인용된 정보원의 종류와 빈도, 그리고 각 프레임의 집중도 지수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보도 프레임은 10개의 주제로 구성되었고 인용문의 프레임은 14개의 주제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별 인용문과 정보원 종류별 인용문 프레임들 사이 차이는 관찰되었지만 인용 빈도가 높은 정부, 정치권, 비즈니스 정보원 프레임의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원의 수적 다양성만으로는 보도 프레임의 다양성을 확립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Social Media Fake News in India

  • Al-Zaman, Md. Sayeed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25-47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419 fake news items published in India, a fake-news-prone country, to identify the major themes, content types, and sources of social media fake news. The results show that fake news shared on social media has six major themes: health, religion, politics, crime, entertainment, and miscellaneous; eight types of content: text, photo, audio, and video, text & photo, text & video, photo & video, and text & photo & video; and two main sources: online sources and the mainstream media. Health-related fake news is more common only during a health crisis, whereas fake news related to religion and politics seems more prevalent, emerging from online media. Text & photo and text & video have three-fourths of the total share of fake news, and most of them are from online media: online media is the main source of fake news on social media as well. On the other hand, mainstream media mostly produces political fake news. This study, presenting some novel findings that may help researchers to understand and policymakers to control fake news on social media, invites more academic investigations of religious and political fake news in India. Two important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related to the data source and data collection period, which may have an impact on the results.

The Role of Evaluative Language in News Translation : Focusing on Soft and Hard News

  • Ban, Hyun;Noh, Bo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65-71
    • /
    • 2018
  • In the digital era, news consumption is not confined in geological boundaries. Technological advances bring the instant dissemination of news into life and allow news audience to consume events that occur far away almost in real time. The transmission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traditional media and new media, and the one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world. That is, what if a journalist applies news framing to the news translation proces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gap between the ST and the TT created when the source news texts undergo a translation process. To achieve this aim, the appraisal theory developed by White (2003) is employed to identify a difference between the ST and the TT. Furthermore, we have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oft news stories and hard news stories while the STs from both news stories are translated into the TTs. Two time-sensitive events, Hugh Grant's marriage and a U.S. and North Korea summit, were selected. The former (a soft news story) is extracted from the Telegraph and the latter (a hard news story) is from the Washington po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uch strategies as attitude, engagement, and judgment were used when the source news texts from the hard news story are translated into the target news texts. Under the appraisal theory, the strategies involve evaluative language which refers to positive or negative language that judges the worth of entities. In general, it is said that a journalist frames the SS (especially from the hard news story) to convey his ideology to news consumers. Hypothetically, we assume that a similar framing process takes place in deriving the TT from the SS of the hard news story. Thus, we could conclude that the TT from the hard news story differs from the TT from the soft news story and that the difference can be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White's appraisal theory.

뉴스 속성의 정부소스 의존 정도: 행정수도 이전을 둘러싼 언론보도와 정부 제공 이슈속성의 관련성 중심 (The Dependency of News Attributes on the Government Source: A Case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 김영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75-11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언론 보도에서 정부 소스의 의제 속성에 의존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살펴본 다음, 정부의 중요정의자 기능과 관련하여 영향요인으로 거론되는 보도부정성, 보도이데올로기, 보도시기 등의 변수들이 가지는 영향력에 대해서 조사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답하기 위해서 사회적인 논란을 불러왔던 행정수도 이전 관련 논의를 분석 케이스로 선택했으며, 이슈를 둘러싼 정부브리핑과 언론보도를 연구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정부는 언론보도의 중요정의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론보도가 정부가 설정하는 이슈 속성의 테두리를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언론의 부정성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사안의 속성을 제한하는 중요정의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보도이데올로기나 사안의 갈등 시기 등의 영향권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Design and Adaptation for Internet News Data Extraction Middleware(INDEM) System

  • Sun, Bok-K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5-62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DEM(Internet News Data Extraction Middleware) system for the removal of the unnecessary data in internet news. Although data on the interne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urce of data of IR(Information Retrieval), Data mining and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it contains a lot of unnecessary information. The removal of the unnecessary data is a problem to be solved prior to the study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ervice that is based on the data of the web page. The INDEM system parses html and explores the XPath, and it is to perform the analysis. The user simply utilize INDEM by implementing an abstract class that provides INDEM, and can obtain the analysis information. INDEM System through this process delivers 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the main contents of news site to the users. In this paper, the INDEM system was adapted in a stand-alone and web service system and it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16 news site. As a result, performance of the INDEM system is affected in html source data size and complexity of used html grammar than the main news data size.

20세기 하반기의 미 신문 1면 보도에 대한 다양성 분석: 뉴스 토픽과 정보원의 분포를 중심으로 (Topic and Source Diversity of the Front Page in the New York Times, Chicago Tribune and the Los Angeles Times from 1950 to 2000)

  • 심훈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0권
    • /
    • pp.175-201
    • /
    • 2005
  • 본 논문은 '다양성'이라는 규범적 가치에 입각해 뉴스 기사 선별 및 취재 경로와 관련한 미 신문의 뉴스 제작 방식에는 어떤 변화가 진행돼 왔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뉴스 토픽'과 '정보원' 등 두 가지 분야에서 지난 50년간 뉴욕 타임스와 시카고 트리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 3대 유력 일간지의 1면 기사를 분석, 연대기적인 가치 변화를 추적해 보았다. 데이터 분석 결과, 지난 반세기 동안 미 신문에서 정부 및 정치권에 대한 정보원의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반면, 기업/산업체발 정보원의 등장은 점차 빈번해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뉴스 주제의 분포에 있어서는 사건, 사고 기사의 감소와 군사, 안보기사의 퇴조 속에, 경제, 건강, 교육 등과 같은 주제가 점차 활발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전통적인 비인기 주제였던 빈곤, 노동, 소수자, 사회 갈등 등과 같은 토픽들은 시대를 거듭해도 제자리를 맴돌거나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뉴스주제, 보도량, 보도태도, 미디어 정보원을 중심으로 (Differences of news aspect about Asia and West in Korean newspapers and its reason: Focusing on news topic, amount of news, news tone and media sources)

  • 오대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1권
    • /
    • pp.74-97
    • /
    • 2013
  • 21세기 들어 아시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아시아 국가 사이에 인적, 물적 교류도 크게 늘고,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올바른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신문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4개 신문이 2011년에 보도한 1786개의 국제뉴스 내용을 분석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를 알아봤다. 보도량에서는 아시아(45.7%)보다 서구(54.3%)뉴스가 많았다. 아시아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았으나, 서구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적고 중립적 또는 긍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아 한국신문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국제뉴스를 도덕 정의, 정치, 경제 과학, 사회, 외교 국방, 인간적 흥미, 인물 등 7개의 주제로 분류했다. 주제별 보도량을 보면 아시아에 대해서는 외교 국방, 도덕 정의, 정치 등 경성기사를 많이 보도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경성기사 이외에 인간적 흥미, 인물 등 연성기사도 많이 보도해 아시아보다는 다양한 뉴스를 전달했다. 경성기사에서는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고, 연성기사에서는 긍정 또는 중립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다. 그 결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아시아에 대해 부정적이고,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나타내게 됐다. 미디어, 정부, 민간조직, 개인, 자료 등 5개의 핵심 정보원 가운데 미디어만이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아시아 미디어 정보원은 서구 미디어보다 아시아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서구 미디어 정보원은 아시아에 대해서는 부정적, 서구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그런데 한국신문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의 뉴스에서는 전적으로 서구미디어를 핵심 정보원으로 활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서구중심적이 되고, 아시아에 더 부정적인 보도를 많이 하게 되었다. 한국신문의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은 많이 보도한 주제와 외국 미디어 정보원 의존 형태에 따라 달라졌다. 한국신문은 특파원 등을 활용한 직접 취재, 인터넷을 이용한 아시아 매체활용 확대 등으로 아시아에 대해 다양한 뉴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