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s Program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7초

TV 뉴스 프로그램의 앵커 평판과 브랜드 자산 평가가 지속적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 KBS, JTBC, YTN 뉴스를 중심으로 (Effects of Anchors' Reputation and Brand Equity Evaluation of TV News Program on the Continuous Watching Intention : Focusing on KBS, JTBC, YTN TV News)

  • 하동근;안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91-101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뉴스 채널인 KBS, JTBC, YTN를 대상으로 뉴스의 앵커 평판과 브랜드 자산 평가가 뉴스의 지속적 시청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각 채널별 뉴스를 시청하고 있는 전국 성인남녀 5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앵커 평판과 뉴스 브랜드 자산 평가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KBS는 남성, 저학력, 보수 성향, 시청 빈도가 높을수록, 앵커 인지도와 뉴스 인지도, 뉴스 선호도가 높을수록 뉴스를 지속적으로 시청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JTBC는 진보 성향, 시청 빈도가 높고, 앵커 신뢰도와 뉴스 인지도, 뉴스 선호도, 뉴스 품질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뉴스를 지속적으로 시청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YTN은 시청 빈도가 높고, 앵커 신뢰도와 매력도, 뉴스 선호도와 품질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뉴스를 지속적으로 시청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뉴스 브랜드 자산'이라는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지상파TV와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을 대상으로 앵커 평판과 뉴스 브랜드 자산의 영향력을 평가한 최초의 연구라는 학술적 의미가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청 행위의 가치 사슬 구조 연구 국내 수도권 지역 대학생의 뉴스, 드라마, 코미디 프로그램 시청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Value Chain Structure on TV Programs Focused on Means-End Chain theory on News, Drama, and Comedy)

  • 권상희;차민경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1권
    • /
    • pp.194-223
    • /
    • 2015
  • 이 연구는 TV 프로그램 시청 선택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 단계 요인을 분석(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시청 가치), 시청자의 어떠한 욕구가 시청 행위와 관계를 가지는지 '가치단계도(HVM, Hierarchical Value Map)'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를 적용, 개인적 가치와 시청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측정하였다. 특히 다매체 시대에 태어나 다양한 시청권 활용에 비교적 능숙한 우리나라 20대 대학생들의 TV 시청 행위 가치단계도를 조사하여, 미래 미디어 환경에서 TV의 역할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APT 래더링을 활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25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TV 장르별(뉴스, 드라마, 코미디) 프로그램 선택의 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시청 가치에 이르는 수단-목적 가치 사슬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TV 뉴스는 시청각 요소를 통해 빠르고 쉽게 정보를 습득하여 실생활에 도움을 얻는 데에 활용되고 있었고, 개인적 사회생활을 원활히 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었다. TV 드라마 선택은 '주변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이들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선택 목적이었다. 프로그램의 사회적 명성과 인기가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채널의 신뢰도, 제작사의 브랜드가 드라마 선택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진, 제작진과 프로그램 자체의 명성이 선택의 주요 요인이었다.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선택 요인에는 프로그램 신뢰감이 선택의 중요 기본 요인이며, 시청 가치는 타인과 우호 관계 증진, 소속감, 활기찬 삶이 심리적인 속성과 상관관계를 가졌다.

  • PDF

방송뉴스제작에 있어서 기자.PD 협업의 시너지효과 탐구 - KBS 2TV <뉴스투데이>를 중심으로 - (Study of Synergy Effects of Collaboration in News Program between TV Reporter & Producer - Focusing on KBS 2TV -)

  • 홍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64-176
    • /
    • 2011
  • 기자와 PD 협업의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뉴스투데이>의 시너지 효과 분석을 통하여 기자와 PD 협업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함의를 얻기 위한 연구다. <뉴스투데이>는 PD시스템, 기자시스템, 더블 리포팅시스템, 공동작업 시스템 등 4가지의 대표적인 협업양식을 시도했으며, 각 양식은 현장취재, 반영, 편집, 글쓰기의 주체에 의해 구별되었다. 공동작업 시스템을 제외한 기자시스템과 PD시스템에서는 완성한 꼭지 프로그램의 단순한 합산만으로 엄밀한 의미의 시너지는 적다고 할 수 있다. 협업의 성과로는 기존의 뉴스와는 다른 영상, 길이, 관점, 사운드를 가진 새로운 뉴스가 출현했다는 것과, 새로운 프로그램을 배태시킨 토양을 제공했으며, 8시 뉴스시간대라는 새로운 장르 리터러시를 생성시켰다는 것이다. 협업의 성공 요인으로는 구성원이라는 변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적절한 비율을 가진 시스템의 균형 역시 성공요인으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직종의 벽이라는 한계는 넘기 어려웠고, 협업지향적인 리더가 사라지자, 조직이 와해되었으며, 프로그램은 폐지의 수순을 밟았다.

지상파뉴스의 품질과 시청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Quality and Ratings in the Performances of TV News Programs)

  • 김유정;오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49-258
    • /
    • 2019
  • 미디어 기술의 진화는 지상파방송뉴스프로그램도 다양한 매체 및 플랫폼의 뉴스콘텐츠와 경쟁해야 할 상황에 노출시키고 있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은 지상파뉴스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시청률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전략적 돌파구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상파방송뉴스가 사회의 공론장으로 기능하기 위해 요구되는 두 가지 요건, 즉 뉴스의 품질과 시청자의 선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지상파 종합뉴스의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질적 수준을 측정하고 개별 기사 단위의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여 양 자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뉴스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심층성의 하위 요인과 시청률의 관계성도 검토하였다.

VR뉴스의 이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R News Characteristics on User's Effect: Focused on Recall, Understanding, Enjoyment, Visual Fatigue and Resue Intention)

  • 송민호;이민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39-449
    • /
    • 2018
  • 본 연구는 VR뉴스 속성이 이용자 효과 측면에서 VR뉴스에 대한 기억과 이해도, 즐거움, 눈의 피로도, 그리고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R뉴스 속성 중 실재감과 몰입감은 이용자들의 VR뉴스에 대한 기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재감과 상호작용, 몰입감 모두가 이용자의 VR뉴스 이해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재감과 상호작용, 몰입감 모두 즐거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재감이 눈의 피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재감과 몰입감이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VR뉴스의 속성과 이용자 효과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utomatic Name Line Detection for Person Indexing Based on Overlay Text

  • Lee, Sanghee;Ahn, Jungil;Jo, Kanghy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2권1호
    • /
    • pp.163-170
    • /
    • 2015
  • Many overlay texts are artificially superimposed on the broadcasting videos by humans. These texts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audiovisual content. Especially, the overlay text in news videos contains concise and direct description of the content. Therefore, it is most reliable clue for constructing a news video indexing system. To make the automatic person indexing of interview video in the TV news program,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only detect the name text line among the whole overlay texts in one frame. The experimental results on Korean television news videos show that the proposed framework efficiently detects the overlaid name text line.

TV 뉴스에 보도된 건강관련 정보의 건강성과 해독성 (How Healthy is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s brocated by TV News?)

  • 김신정;이정은;김신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13-531
    • /
    • 2001
  • Television news programs are becoming significant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health coverage of the prime time news program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KBS 9 0'clock news in the period of thirteen months. from December 1. 1998. to November 1. 199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and the reliability degree was 99.7% according to the Holsti's inter-coder reliability test. The current research classified 489 health related news items into 49 sub-categories and five health catego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Some of the bas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according to health category, health maintenance promotion(57.3%) topped followed by disease prevention(23.2%), disease treatment(14.9%), life ethics(4.0%), and growth development(0.6%). 2. According to human developmental age. for the most part(80.1 %) is applicable to the entire range of human developmental age. 3. Health maintennance promotion category take top of health category by the rate of 57.3% and contain 20 sub-categories. 4. News items in the life ethics category, which had six sub-categories. occupied only four percent of the total health related news. News in the growth development category included two sub categories and occupied 0.6% of the total news items. 5. In disease prevention and disease treatment category, infectious disease(33.2%)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ccording to the WHO's international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Disease prevention occupied 23.2% and contained eleven sub-categories while disease treatment occupied 14.9% and included ten sub-categories. Television news coverage on health showed a wide variety of selection in terms that they are reporting various issues. This study, however, found that some news items were confusing and failing in presenting scientific evidences. It is suggested that the television coverage on health could be beneficial to most of viewers in receiving important health information and guidelines, only if they are utilizing their own sound discretion in consuming those news.

  • PDF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Reading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1-9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웹 검색엔진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2013년-2015년까지 운영한 독서프로그램 관련 기사 350개를 표집하여 분석한 결과, 독서프로그램 관련 보도가 수도권(41.4%)은 높은 반면 여타 지역은 낮았다. 둘째, 순수 독서프로그램이 69.9%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으나, 여타의 프로그램이 상당 수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참가대상 중 초등학생과 유아 및 부모가 51.3%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반면, 소외 계층은 9.0%로 낮았다. 넷째, 독서프로그램 운영기간이 28.4%(86개)가 1일로 파악될 만큼 단기 프로그램 비중이 높았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독서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주민에게 홍보하기 위한 홍보팀 또는 전담인력을 도서관이 운영하여 언론과 소통할 것과, 지역 주민의 계층별 요구에 부합하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화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 주민 계층별로 전체 주민을 균형 있게 아우르도록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패싯분석 기법을 적용한 방송자료의 내용 구조화에 관한 연구: 시사보도 뉴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A Faceted Classification Analysis of TV content: Using News and Current Affairs Programs)

  • 심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3-3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방송자료에 대한 지적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뉴스 및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기술을 위한 패싯 분석 기법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랑가나단의 PMEST 기본 패싯에 기반하여, 보도 장르에 적합한 기본 패싯-'누가', '무엇을', '어떻게', '어디서', '언제'-을 생성하였으며, 보도 장르의 형식적 구조와 내용적 요소를 반영하여 패싯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실제 방영한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패싯이 보도 장르의 맥락적 요소를 잘 표현해주고 있었으며, 패싯의 적용은 특정 방송내용에 대한 식별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되었다.

TV뉴스의 카메라워크와 수용자의 관여도가 뉴스 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V news camerawork and viewers' involvement on memory of news)

  • 박덕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97-304
    • /
    • 2013
  •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의 카메라워크와 수용자의 관여도가 뉴스에 대한 장단기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카메라워크의 유무에 따라 2가지 종류의 TV뉴스를 제작하여 관여도를 조작한 2개의 대학생 집단에게 시청하게 하고, 이들의 장단기 기억을 측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TV뉴스 영상의 카메라워크는 수용자의 단기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장기기억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여도가 높은 수용자들은 뉴스 내용에 대한 장단기 기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카메라워크는 주변단서로서 고관여도 수용자보다 저관여도 수용자의 기억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가설은 지지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