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ly developed tissue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Immunocontraceptive Effects in Male Rats Vaccinated wit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I and -II Protein Complex

  • Kim, Yong-Hyun;Park, Byung-Joo;Ahn, Hee-Seop;Han, Sang-Hoon;Go, Hyeon-Jeong;Lee, Joong-Bok;Park, Seung-Yong;Song, Chang-Seon;Lee, Sang-Won;Choi, 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658-664
    • /
    • 2019
  • Immunocontracep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optimal alternative to surgical contraception in animal species. Many immunocontraceptive vaccines have been designed to artificially produce antibodies against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I (GnRH-I) which remove GnRH-I from the vaccinated animals. A deficiency of GnRH-I thereafter leads to a lack of gonadotropins, resulting in immunocontraception. In this study, we initially developed three immunocontraceptive vaccines composed of GnRH-I, GnRH-II, and a GnRH-I and -II (GnRH-I+II) complex, conjugated to the external domain of Salmonella Typhimurium flagellin. As the GnRH-I+II vaccine induced significantly (p < 0.01) higher levels of anti-GnRH-I antibodies than the other two vaccines, we further evaluated its immunocontraceptive effects in male rats. Mean testis weight in rats (n = 6) inoculated twice with the GnRH-I+II vaccine at 2-week intervals was significantly (p < 0.01) lower than in negative control rats at 10 weeks of age. Among the six vaccinated rats, two were non-responders whose testes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mpared to those of negative control rats. Significantly smaller testis weight (p < 0.001), higher anti-GnRH-I antibody levels (p < 0.001), and lower testosterone levels (p < 0.001) were seen in the remaining four responder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rat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s. Furthermore, seminiferous tubule atrophy and spermatogenesis arrest were found in the testis tissues of responders. Therefore, the newly developed GnRH-I+II vaccine efficiently induced immunocontraception in male rats. This vaccine can potentially also be applied for birth control in other animal species.

가을에 시용한 질소의 온주밀감 수체 부위별 분포 (Distribution of Fall-Applied N in Various Parts of Satsuma Mandarins)

  • 강영길;유장걸;김용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5-332
    • /
    • 2000
  • 1998년 11월 18일에 $2.7{\times}2.7m$ 거리로 재식된 11년생 궁천조생온주 4주에 5 atom % 15N를 요소로 19.68 g 주-1의 N, $58kg\;ha^{-1}$$K_2O$을 시용하였고, 1999년 3월 22일에 104, 308, $62kg\;ha^{-1}$의 N, $P_2O_5$, $K_2O$를 6월 12일에 42 and $83kg\;ha^{-1}$의 N와, $K_2O$를 시용하여 재배한 후 1999년 6월 15일과 12월 8일에 각각 2주씩 굴취 해체하여 전질소 및 가을시용질소 함유량을 수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과실, 잎줄기, 뿌리에의 전질소함유량의 분포비율은 6월 굴취 때에 각각 주당 전질소 총함유량(168.2g)의 11.9, 42.1, 29.7, 16.3%이었고, 12월 굴취 때에 각각 주당 전질소 총함유량 (169.8g)의 27.6, 36.4, 22.8. 13.1%이었다. 수체 질소 중 가을시용질소에서 유래된 질소의 비율은 두 굴취 시기 모두 새로 발생된 기관에서 현저히 높았다. 6월 굴취 때의 가을시용질소 회수율은 18.5%(3.63g 주-1)이었고, 주당 가을시용질소 총함유량의 21.1, 50.4, 21.5, 7.9%가 각각 과실 잎, 줄기, 뿌리에 분포되어 있었다. 12월 굴취 때의 가을시용질소 회수율은 17.0%(3.35g 주-1)이었고 가을시용질소 총함유량의 39.6, 40.5, 14.5, 5.3%가 각각 과실, 잎, 줄기, 뿌리에 분포되어 있다. 전질소에 비하여 두 시기 모두 가을시용질소에서 유래된 질소는 대사적으로 활발한 조직에 보다 많이 축적된 반면 오래된 조직에는 보다 적게 축적되었다.

  • PDF

칼라의 무름병 저항성 품종 선발을 위한 검정 방법 개발 (A New Screening Method for the Selection of Calla Lily Zantedeschia aethiopica Cultivars Resistant to Calla Lily Soft Rot)

  • 정향영;최목필;한경숙;김수;구대회;강윤임;최윤정;박상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66-370
    • /
    • 2013
  • 본 연구는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에 의해 발생하는 칼라의 무름병 저항성 품종 선발을 위한 효율적인 검정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Z. aethiopica 4품종에 대하여 $1{\times}10^7cfu/mL$, $1{\times}10^8cfu/mL$, $1{\times}10^9cfu/mL$ 농도의 EccNHRI-21 균주 현탁액을 잎과 엽병에 상처접종하고, 접종 후 4, 18, 26시간 후에 무름병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times}10^9cfu/mL$ 농도의 균주 현탁액을 잎에 접종한 후 18시간 이후에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칼라 무름병 저항성 검정 및 품종 선발을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처접종법을 이용하여 Z. aethiopica 재배품종 10종과 야생종 4종 등 총 14종에 대하여 무름병 저항성 정도를 평가한 결과, 재배품종의 경우 'Crowbrough'와 'White Cutie'가 가장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Mont Blanc'과 'Silky White'도 저항성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또한 'Wedding March'와 'Kiwi blush'는 중도저항성 품종으로 평가되었고, 'Childsiana' 등 4품종은 감수성 품종으로 평가되었다. 야생종의 경우 'Z. aethiopica wildtype 11'이 저항성을 보이는 등 4종 모두 중도저항성 이상의 무름병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금까지 경종적 방제 및 생물학적 방제, 화학적 방제 등 여러 가지 방제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무름병 발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내병성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처접종법을 이용한 무름병 저항성 검정 기술이 칼라의 무름병 저항성 품종 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Human dipeptidylpeptidase-4(DPP-4) 발현 형질전환 돼지의 생산 (Generation of a transgenic pig expressing human dipeptidylpeptidase-4 (DPP-4))

  • 정학재;사수진;백선영;조은석;김영신;홍준기;조규호;김지윤;박미령;김경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06-314
    • /
    • 2019
  • Dipeptidyl peptidase-4 (DPP-4) 저해제는 부작용이 적어 제2형 당뇨병의 2차 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human DPP-4 (hDPP-4) 유전자를 돼지 zygote의 전핵에 주입한 후, 1 세포 단계의 수정란을 외과적 방법으로 이식하였고, 마지막으로 꼬리에서 hDPP-4 유전자가 발현되는 형질 전환 돼지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식한 3두의 임신돈에서 16두의 자돈이 생산되었고, 이들 가운데 1두의 수컷 자돈에서 형질전환 개체가 확인되었다. Western blot과 RT-PCR 분석을 통해 hDPP-4가 형질 전환 돼지의 막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고, hDPP-4 유전자가 다양한 조직과 꼬리에서 각각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발현 벡터가 형질 전환 돼지에서 정상적으로 발현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내분비 기능을 확인하는 모델 동물로, hDPP-4 형질 전환 돼지가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내분비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신약에 대한 검증의 소재로서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