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born mother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2초

영아의 수면/활동 양상에 관한 연구 (Infants' Sleep/Activity Patterns During the Neonatal Period)

  • 김태임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2권
    • /
    • pp.83-11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leep/activity patterns of neonates and to provide a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effective mother-infant relationship.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newborns aged 1-21 days and stayed in Postpartum Care Center in Taejon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28th, 1999 to February 10th, 2000.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NCASA developed by Barnard et al. and were analyzed with SPSS 7.5 for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n average day sleep of neonates was 8.0 hours, night sleep was 3.6 hours, and total sleep was 11.6 hours. A longest period of day sleep was 3.8 hours and a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 was 3.4 hours. The regularity of day sleep was 22.1%, night sleep was 23.3%, and total was 22.1%. 2. The frequency of daytime feeding was 6.9, nighttime fee ding was 3.4, resulting in total of 10.3.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37.4%, and the frequency of night awakening was 2.4. 3. Associations among variables related to neonate's sleep/activity records were as follows : - The regularity of total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ies of day sleep(r=.57, P=.00), night sleep (r=.40, P=.01), and total sleep(r=.65, P=.00). - The frequency of total feed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ies of day sleep(r=-.29, P=.04), night sleep(r=-.39, P=.02), and total sleep(r=-.42, P=.00), as well as longest day sleep(r=-.50, P=.00). -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night sleep(r=-.35, P=.02), longest period of day sleep(r=-.32, P=.04), and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r=-.30. P=.04), where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quencies of daytime feeding (r=.29, P=.02) and nighttime feeding (r=.32, P=.05). - The frequency of night awaken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ount of night sleep(r=-.39, P=.02) and frequency of daytime feeding(r=-.42, P=.01)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quencies of nighttime feeding(r=.68, P=.00) and total feeding(r=.50, P=.00). 4.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leep pattern and infant's age, following tendency was noted: - As baby gets older, total amount of sleep and longest period of day sleep decreased while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 increased. - As baby gets older, the regularity of day sleep decreased while the regularity of night sleep and total sleep slightly increased. - The frequencies of daytime and total feedings increased while the frequency of nighttime feeding decreased. In conclusion, the author found that the neonates of this study showed less amount of sleep, more night awakening, and more night time feedings than NCAST sample. There was a certain sleep/activity pattern existed: If babies were fed more frequently, daytime or nighttime sleeping hours became shorter, and if babies had longer daytime sleep, frequent nighttime awakenings were noted. This pattern illustrat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eeding and sleep periods on each other. Awakening in the night is natural and normal patterns in the newborn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to parents about what to expect their infants.

  • PDF

흰쥐의 연령과 감염과정에 따른 폐포자충에 대한 항체형성 양상 (Immunoblot analysis for serum antibodies to Pneumocystis carinii by age and intensity of infection in rats)

  • 홍성태;이미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87-194
    • /
    • 1995
  • 정상 흰쥐의 출생 후 연령과 면역억제된 흰쥐의 감염강도에 따른 혈청 내 폐포자충(Pneumocystis carinii)에 대한 항체 형성을 관찰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폐포자충을 발현시키고 순수분리하여 수용성 항원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영동과 면역이적법(Immunoblot)과 효소면역법(ELISA)을 시행하여 항체반응을 관찰하였다. SDS-PAGE에 의하여 분리된 항원의 단백 질 분획은 20-200 kDa의 범위에서 20개 이상이 관찰되었다. 이들 분획 중에서 인체 양성표준 혈청에 116 kDa 분획이 강하게, 45-55 kDa 및 100 kDa 분획이 약하게 반응하였고, 흰쥐 양성표준 혈청과는 40-45 kDa 분회과 강하게 그리고 50-55 kDa, 116, 200 kDa 분획과 약하게 반응하였다. 연령 별로 이 네 분획과의 반응을 보면 출생 5일-6주까지 양성률 50-100%이고 8주에는 0% 가 되었고, 10주 이후에는 증가하여 40주에 100%가 되었다. 폐포자충의 감염량이 증가하여 감염 강도가 IV인 흰쥐에서는 면역이적으로 측정할만큼 항체를 가진 개체가 없었다. 이러한 정상과 면역 억제된 흰쥐의 혈청반응 유형은 효소면역법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항원 분획 중 40-45 kDa에 대한 혈청반응이 각 군에서 낮게 관찰되었으나 그 생물학적 의의는 아직 평가하기 어렵다. 이 결과는 흰쥐가 출생하면 모체에서 유래한 혈청 내 항폐포자충 항체를 8주가 경과하면서 모두 소실하고 그 이후에 10주부터 40주에 이르기까지 자연감염에 의해 항체를 서서히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면역 억제에 의하여 흰쥐가 항체를 효과적으로 생산하지 못하게 되면 혈청 내 항체량에 반비례하여 폐포자충의 감염량이 늘어난다. 이는 항체에 의해 매개되는 체액면역이 폐포자충의 감염과 직접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 PDF

Prenatal Diagnosis of the 22q11.2 Duplication Syndrome

  • Lee, Moon-Hee;Park, So-Yeon;Lee, Bom-Yi;Choi, Eun-Young;Kim, Jin-Woo;Park, Ju-Yeon;Lee, Yeon-Woo;Oh, Ah-Rum;Lee, Shin-Young;Yang, Jae-Hyug;Ryu, Hyun-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6권2호
    • /
    • pp.175-178
    • /
    • 2009
  • 22q11.2미세중복 증후군은 학습장애, 선천적 기형에서부터 정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증후군으로써, 22q11.2 미세결실 증후군인 DiGeorge 증후군과 동일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이러한 원인은 유전적 불안정성이 높은 low-copy repeats (LCR) 부위에서 일어나는 유전체의 결손이나 중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array CGH가 임상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22q11.2 미세중복 증후군의 진단이 증가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22q11.2 부위의 미세중복이나 미세결실의 빈도는 동일하게 발생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미세결실에 비해 미세중복의 증례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물며 이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전 보고에서 산전에 발견된 미세중복의 증례는 단1례 만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산전에 진단된 22q11.2 미세중복 증후군 1례의 보고를 통해 유전상담의 중요성과 array CGH의 임상 적용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태아 백서에서 임신 백서의 자궁 내 대동맥 결찰로 유발한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induced by in utero clamping of pregnant rat aorta in fetal rats)

  • 장윤실;성동경;강샘;박수경;정유진;서현주;최서희;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74-878
    • /
    • 2008
  • 목 적 : 본연구의 목적은 자궁 내 태아 백서에서 임신 백서의 대동맥 결찰로 허혈증을 유발하여 뇌실주위 PV) 유발 동물실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 법 : 임신일령 21일 분만 직전 상태의 Sprague-Dawley rat를 진정 및 마취시킨 후 소동물용 하바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하였고 이후 개복술을 실시하여 수술 겸자로 대동맥을 40분 동안 가역적으로 결찰 하였고, 이후 제왕절개술로 태아백서를 분만하고 인공호흡 등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안정화된 후 대리모에서 자라도록 하여 생후 21일에 뇌조직의 검체를 얻었다. 뇌조직의 검체는 관류한 후 고정하여 $10{\mu}m$ 두께의 연속 절편을 만들어서 병리학적 소견과 뇌실확장(ventriculomegaly) 여부를 관찰하였다. 뇌실확장의 정도는 각 연속 절편에서 측정한 전체 뇌 용량에 대한 뇌실용량의 비율로 판단하였다. 결 과 : 임신 백서에서 대동맥 결찰로 자궁 내 허혈증 유발 후 11마리의 태아 백서 중 8마리(73%)의 태아백서가 심폐소생술 시행 후 생존 하였고 정상 대조군은 10마리 모두 생존하였으며 생후 21일에 측정한 체중과 뇌의 중량 모두 허혈군에서 정상 대조군 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병리학적 소견 상 뇌조직의 연속 절편에서 측정한 뇌실용적의 비율은 허혈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여($3.67{\pm}1.21%$ vs. $0.23{\pm}0.06%$) 뇌실 확장이 관찰되었으며 뇌조직의 낭성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뇌조직의 희박화(rarefaction)는 6례에서는 경도로, 2례에서는 중등도로 관찰되었다. 결 론 : 자궁 내 태아백서에서 임신백서의 대동맥 결찰로 허혈증을 유발하여 PVL 유발 동물실험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