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ew and renewable energy

Search Result 4,01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effect of crystallinity of hollow $TiO_2$ spheres on conversion efficiency of DSSC (Hollow $TiO_2$의 결정성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에 미치는 영향)

  • Song, Minkyeong;Kim, Jeonghyun;Yu, Yeont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50.2-50.2
    • /
    • 2011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날씨 조건에서도 태양광과의 반응성이 안정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광전 변환 효율이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과 장기적으로 안정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크게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는 염료, $TiO_2$와 같은 반도체 산화물전극 재료, 전해질이다. 이 중 $TiO_2$의 특성 및 크기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TiO_2$는 넓은 비표면적, 높은 전자의 이동성 및 태양광과의 우수한 반응성을 가져야 한다. Microwave hydrothermal 방법에 의해 제조된 hollow $TiO_2$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시킬 경우 기존의 $TiO_2$의 광흡수 반응이 200~400 nm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면, hollow $TiO_2$의 광흡수 반응은 기존의 UV 영역인 200~400 nm 뿐만 아니라 가시광 영역인 400~460 nm 에서도 광흡수 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광전 변환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microwave hydrothermal법에 의해 제조된 hollow $TiO_2$는 150-200 nm의 크기를 갖으며 20-30 nm 크기의 $TiO_2$ particle들로 이루어져 있다. hollow $TiO_2$ (150-200 nm)를 기존의 $TiO_2$ (10-20 nm) 층 위에 올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electrode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TiO_2$ 단층을 이용한 것보다 우수한 light-scattering 효과를 갖게 되어 광전 변환 효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hollow $TiO_2$의 광학적 특성 및 결정성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ollow $TiO_2$의 광학적 특성 및 결정성의 변화를 위하여 microwave hydrothermal 법의 합성 온도 및 합성시간에 변화를 주었다. hollow $TiO_2$의 광학적 특성은 UV-visi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hollow $TiO_2$의 형상과 결정학적 특성은 TEM과 SEM 그리고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하여 관찰되었고, hollow $TiO_2$의 비표면적 측정은 BET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cell을 제작하여 $100mW/cm^2$(AM 1.5G) 기준에서 광전 변환 효율을 측정하였다.

  • PDF

Research for refining processes to produce high-purity polycrystalline silicon from domestic quartzite mine (국내 규석광으로부터 고순도 실리콘 제조를 위한 정련 공정에 관한 연구)

  • Moon, Byung Moon;Kim, Gangjune;Koo, Hyun Jin;Park, Dong Ho;Yu, Tae 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48-48
    • /
    • 2011
  • 2010년 약 19.5 GWp 의 규모로 성장한 태양광 시장의 주요 소재는 실리콘을 이용한 태양전지이며, 고성능 및 고효율 태양전지 시장이 급성장 하였다. 이러한 고품질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인 9N 급 폴리실리콘은 2008년 4월 $265/kg 까지 상승하였으나, 점차 하향안정세에 있으며, 급속한 가격 경쟁을 통해 당분간 장기공급가가 50$/kg 이하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실리콘 제조기술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은 Trichloro-silane (TCS) 또는 Mono-silane (MS)를 사용하는 기상법인 일명 Siemens 공정이다. 이러한 기상법의 경우 12N 이상의 초고품질 실리콘 제조가 가능하나, 대규모의 설비투자(1억원/폴리실리콘 1톤)와 높은 에너지(120 kWh/kg)가 요구된다. 이에 최근 기상법이 아닌 야금학적인 정련법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금속 실리콘을 슬래그 처리, 편석 분리, 응고 급랭, 전자빔,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정련하는 공정을 말한다. 야금학적 정련법은 순도 면에서 기상법에 비하여 낮은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장점들로 인해 활발히 연구되며 점차 실용화 되고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야금학적 정련법의 주요 장점은 기상법에 비해 약 25% 정도의 설비 투자비로 가능하고, 금속 실리콘을 직접 사용하며, 에너지 payback이 짧다. 또한, 산 및 염화실렌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문제를 적게 야기하고, 생산설비의 확장성도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규석광을 이용하여 일련의 정련 공정을 거쳐 고순도SG(Solar Grade)급 실리콘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리콘 용융 환원로를 개발하고 순도를 높이기 위해 슬래그정련법을 이용하였으며, 생산된 3N 급의 금속 실리콘을 비기상법정련 방식인 일방향 응고와 플라즈마 정련 및 전자기유도 용해법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실리콘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생산을 개시한 외국의 E사와 비교하여 산침출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실리콘회수율 및 환경부하 절감의 장점을 갖고 있으며 최종 순도 실리콘 6N 이상, 보론 함유량 0.2 ppm 이하를 달성하였으며, 기존 기상법 대비 약 20%의 전력 감소와 약 13%의 금속실리콘 원료 절감 효과가 있었다. 저가/고순도 SG급실리콘의 제조기술 개발은 향후 세계 태양광 시장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점유율 상승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산업 확대를 통한 주변 산업으로의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resent Status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in KIER (KIER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 Seo, Dong-Joo;Seo, Yu-Taek;Seo, Yong-Seog;Park, Sang-Ho;Roh, Hyun-Seog;Jeong, Jin-Hyeok;Yoon, Wang-La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21-24
    • /
    • 2006
  • 수소의 소규모 분산 생산 기술은 본격 적 인 수소 인프라가 도입되기 전에 연료전지 자동차의 수소 충전용이나 분산 발전형 연료전지의 수소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 생산 용량은 수소 기준으로 $20{\sim}100 Nm^3/hr$ 정도로 현재로선 천연가스의 수증기 개 질법이 가장 경제적인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소규모 생산에 따른 열효율 저하를 줄이 기 위해 단위 공정들이 통합된 컴팩트 개질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 인프라 조기 구축을 위하여 수소충전소 구축과 국산화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 개발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수소 충전소 구축 부분은 충전소 부지 확보, 건물 건축, 각종 유틸리 티 설치의 토목 부분과 천연가스 개질형 수소 제조 유닛 설치, 수소 압축, 저장, 디스펜싱 시스템 설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압 설비에 대한 인허가 대응 및 안전대책 작업도 진행하였다. 구축된 수소충전소는 향후 연료전지 자동차 연계 실증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다. 국산화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하여 열 및 시스템 통합 설계에 의 해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를 제작하고 내부 열교환 구조에 따른 개질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개질기는 개질온도 $720^{\circ}C$, 수증기 대 카본 비 2.7의 운전조건에서 $23Nm^3/h$ 이상의 수소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73% 이상의 개질 효율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는 향후 수소 정제용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소충전소 국산화 엔지니어링 설계 패키지 개발의 핵심 기 술로 사용할 계획이다.시간 정도 운전한 후 시스템을 정지하였다 메탄 전환율과 일산화 탄소 농도, 열효율을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기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일일시동-정지 운전 시험을 지속하면서 초기 시동 특성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 개선, 그리고 연료전지와의 연계 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다. 단위 전지 운전 온도 $130^{\circ}C$, 상대습도 37%의 운전 조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전지 성능을 보임에 따라 고온/저가습 조건에서 상용 Nafion 112 막보다 우수한 막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소/배후방사능비는 각각 $2.18{\pm}0.03,\;2.56{\pm}0.11,\;3.08{\pm}0.18,\;3.77{\pm}0.17,\;4.70{\pm}0.45$ 그리고 $5.59{\pm}0.40$이었고, $^{67}Ga$-citrate의 경우 2시간, 24시간, 48시간에 $3.06{\pm}0.84,\;4.12{\pm}0.54\;4.55{\pm}0.74 $이었다. 결론 : Transferrin에 $^{99m}Tc$을 이용한 방사성표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99m}Tc$-transferrin의 표지효율은 8시간까지 95% 이상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

  • PDF

A Management Plan of Wastewater Sludge to Reduce the Exposure of Microplastics to the Ecosystem (미세플라스틱의 환경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폐수 슬러지 관리방안)

  • An, Junyeong;Lee, Byung Kwon;Jeon, Byong-Hun;Ji, Min-Kyu
    • Clean Technology
    • /
    • v.27 no.1
    • /
    • pp.1-8
    • /
    • 2021
  • Due to the negative impacts of microplastics (MPs) on the ecosystem, the investigation of its occurrence and its treatment from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the recent years. Most MPs are precipitated and removed with the sludge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Proper sludge management is immensely necessary to avoid MP exposure in the environment. However, the domestic research on this aspect is limited. This study reviews appropriate sludge management approaches to decrease environmental MP exposure.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sludge generation and treatment, regulation laws and government policy trends with an emphasis on WWTPs. The ratio of sludge in sewage treatment plants has been observed to be highest in recycling followed by incineration and landfills. Recycling is the highest in fuel followed by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mposting. For WWTPs, the highest ratio is in recycling followed by fuel and landfills, and recycling is confirmed in the following order: incineration > after composting > after solidification > earthworm breeding. Treatment approaches that can increase the exposure of MPs to the ecosystem are considered to be used in landfills and agricultural fields. However, this method is not appropriate given the insufficient capacity of domestic landfills and the sufficient supply of existing chemical and animal manure fertilizers. Instead, it would be rational in term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to expand the use of fuel and energy in connection with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policy, and to actively seek the use of sub-materials for construction materials. In order to secure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ness of future planning and revision of related laws, it is required to perform an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sludge supply and demand status along with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s.

A Study on the Power Supply and Demand Policy to Minimize Social Cost in Competitive Market (경쟁시장 하에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전력수급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Kwon, Byung-Hun;Song, Byung Gun;Kang, Seung-Ji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4
    • /
    • pp.817-838
    • /
    • 2005
  • In this paper, the resource adequacy as well as the optimum fuel mix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the regulation body, the government agency, determine the reliability index as well as the optimum portfolio of the fuel mix during the planning horizon. Here, the resourc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goods such as demand-side management, renewable resources are assigned in advance. Also, the optimum portfolio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econom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ublic acceptance, regional supply and demand, etc. Second, the government announces the required amount of each fuel-type new resources during the planning horizon and the market participants bid to the government based on their own estimated fixed cost. Here, the government announces the winners of the each auction by plant type and the guaranteed fixed cost is determined by the marginal auction price by plant type. Third, the energy market is run and the surplus of each plant except their cost (guaranteed fixed cost and operating cost) is withdrew by the regulatory body. Here, to induce the generators to reduce their operating cost some incentives for each generator is given based on their performance. The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he mechanism of the performance-based regulation (PBR). Here the free-riding performance should be subtracted to guarantee the transparent competition. Although the suggested mechanism looks like very regulated one, it provides two mechanism of the competition. That is, one is in the resource construction auction and the other is in the energy spot market. Also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it guarantee the proper resource adequacy as well as the desired fuel mix. However, this mechanism should be sustained during the transient period of the deregulation only. Therefore, generation resource planning procedure and market mechanisms are suggested to minimize possible stranded costs.

  • PDF

A Review on Solution Plans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Trend Changes of Cryptocurrency (암호화폐의 트랜드 변화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 Kim, Jeong-hun;Song, Sae-hee;Ko, Lim-hwan;Nam, Hak-hyun;Jang, Jae-hyuck;Jung, Hoi-yun;Choi, Hyuck-jae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5 no.1
    • /
    • pp.91-106
    • /
    • 2022
  • Cryptocurrency, stood out the sharp cost rising of Bitcoin has been spotlighted by means of the solution for stagflation because it is decentralized with an existing currency differently. Especially getting into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using block chain and internet of things have been used in the many fields, and the power of influence is also widespread. Nevertheless like a remark of Elon Musk of Tesla CEO,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or cryptocurrency have been pointed out continuously and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m is an enormous electric usage as the use of fossil fuels. Also the amount generated of carbon dioxide result in the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mainly based on the climate changes of earth if the existing mining method is continued. On the other hand, revi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strictively as the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mining of cryptocurrency. In this study, it intended to review problems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diversification of ecological system of cryptocurrency concretely. Upon investigation existing prior documents on the putting recent data first, the mining of cryptocurrency has affected on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onflicting with carbon neutrality as increasement of the electric usage and electronic wastes. And POS method without the mining process appeared, but it had a demerit collapsing a decentralization and then we met turning point on appearing various environmental-friendly cryptocurrency. Finally the appearance of cryptocurrency using new renewable energy acted on the opportunity of the usage maximization of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the birth of national government interv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mention clearly that hereafter cryptocurrency will regress if not go abreast the value of currency as well as environmental approach.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Grid-Cell Assessment System for the Optimal Location of Offshore Wind Farms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한 Grid-cell 평가 시스템 개념 설계)

  • Lee, Bo-Kyeong;Cho, Ik-Soon;Kim, Dae-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7
    • /
    • pp.848-857
    • /
    • 2018
  • Recently, around the world, active development of new renewable energy sources including solar power, waves, and fuel cells, etc. has taken place. Particularly,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have been developed for saving costs through large scale production, using high-quality wind power and minimizing noise damage in the ocean area. The development of floating wind farms requires an evaluation of the Maritime Safety Audit Scheme under the Maritime Safety Act in Korea. Floating wind farms shall be assessed by applying the line and area concept for systematic developm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sea wate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is also required. In this study, proper standards for marine traffic surveys and assessments were established and a systemic treatment was studied for assessing marine spatial area. First, a marine traffic data collector using AIS or radar was designed to conduct marine traffic surveys. In addition, assessment methods were proposed such as historical tracks, traffic density and marine traffic pattern analysis applying the line and area concept. Marine traffic density can be evaluated by spatial and temporal means, with an adjusted grid-cell scale. Marine traffic pattern analysis was proposed for assessing ship movement patterns for transit or work in sea areas. Finally, conceptual design of a Marine Traffic and Safety Assessment Solution (MaTSAS) was competed that can be analyzed automatically to collect and assess the marine traffic data. It could be possible to minimize inaccurate estimation due to human errors such as data omission or misprints through automated and systematic collection, analysis and retrieval of marine traffic data. This study could provides reliable assessment results, reflecting the line and area concept, according to sea area usage.

State of Health and State of Charge Estimation of Li-ion Battery for Construction Equipment based on Dual Extended Kalman Filter (이중확장칼만필터(DEKF)를 기반한 건설장비용 리튬이온전지의 State of Charge(SOC) 및 State of Health(SOH) 추정)

  • Hong-Ryun Jung;Jun Ho Kim;Seung Woo Kim;Jong Hoon Kim;Eun Jin Kang;Jeong Woo Yu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31 no.1
    • /
    • pp.16-22
    • /
    • 2024
  • Along with the high interest in electric vehicles and new renewable energy, there is a growing demand to apply lithium-ion batteries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dustry. The capacity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that performs various tasks at construction sites is rapidly decreas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ccurately predict the state of batteries such as SOC (State of Charge) and SOH (State of Health). In this paper, the errors between actual electrochemical measurement data and estimated data were compared using the Dual Extended Kalman Filter (DEKF) algorithm that can estimate SOC and SOH at the same time. The prediction of battery charge state was analyzed by measuring OCV at SOC 5% intervals under 0.2C-rate conditions after the battery cell was fully charged, and the degradation state of the battery was predicted after 50 cycles of aging tests under various C-rate (0.2, 0.3, 0.5, 1.0, 1.5C rate)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 and SOH estimation errors using DEKF tended to increase as the C-rate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 estimation using DEKF showed less than 6% at 0.2, 0.5, and 1C-rat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OH estimation results showed good performance within the maximum error of 1.0% and 1.3% at 0.2 and 0.3C-rate, respectively.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imation error also increased from 1.5% to 2% as the C-rate increased from 0.5 to 1.5C-rate. However, this result shows that all SOH estimation results using DEKF were excellent within about 2%.

Silicon thin films and solar cells by HWCVD (열선 화학 기상 증착법에 의한 실리콘 박막 및 태양전지 특성)

  • Kim Sang-Kyun;Lee Jeong Chul;Jeon Sang Won;Lim Chung Hyun;Ahn Sae Jin;Yun Jae Ho;Kim Seok Ki;Song Jinsoo;Park S-J;Yoon Kyung H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205-208
    • /
    • 2005
  • 최근 열선 화학 기상 증착법(HWCVD)은 낮은 온도에서 TFT용 Poly Si 중착을 할 수 있다는 점과 실리콘 박막을 빠른 속도로 증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WCVD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조건에 따른 실리콘 박막의 특성 변화를 알기 위해 corning glass 및 실리콘 wafer에 다양한 조건에서 단위 박막(intrinsic layer)을 증착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p/i/n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Ta 열선 온도는 1700-2000도였고 가스 원료인 $SiH_4$와 수소의 비율을 조절하면서 그 영향을 관찰하였다. 태양전지의 경우 p충과 n충은 PECVD로 증착하였으며 단위박막 및 태양전지 i충 증착시 기판과 열선간의 거리는 7cm, 기판 온도는 $200^{\circ}C$$250^{\circ}C$로 고정하였고 작업압력은 30mTorr였다. 단위 박막 특성 평가를 위해 암/광 전도도, SEM, Raman Scattering, FT-IR등을 사용하였으며 태양전지 특성 평가를 위해 I-V 및 Spectral response를 측정하였다. 열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착속도 및 결정화 분율은 증가하였다. 특히 비정질에서 결정질로 전이되는 구간은 매우 좁았으며 여러 분석 방법에서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다. $SiH_4$ 유량이 늘어날수록 비정질이 결정질로 바뀌는 열선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기판 온도가 낮을 경우 또한 결정으로 바뀌는 열선 온도가 증가하였다. 태양전지의 경우 열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V_{oc}$ 및 W가 낮아졌으며 $J_{sc}$, 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결정질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quantum efficiency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용을 반복하면서 석재 내부와 외부의 암석 및 결정에 균열과 미세열극 등이 생성되어 석재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감은사지 석탑은 지리적 환경 차이로 인해 일반적인 환경의 석조물들과는 다른 형태의 풍화양상을 보이고 있어서 풍화양상 및 풍화형태에 대한 정확한 연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보존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EX>$88\%$)였다.(P=0.063).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C/T & T/T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발생과 그 위치에 대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흡연력, 음주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험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이 및 병기, 종양의 크기, MD-BED $Gy_{10}$ 등의 예후 인자를 보정한 다변

  • PDF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a Heat Pipe for Medium-temperature Solar Thermal Storage System (중온 태양열 축열조용 히트파이프의 열이송 성능)

  • Park, Min Kyu;Lee, Jung Ryun;Boo, Joon H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69-69
    • /
    • 2011
  • 태양열 발전 플랜트에 사용되는 중고온 범위의 축열조에 고체-액체간 상변화를 수행하는 용융염을 축열물질로 사용하면 액체상 또는 고체상만으로 된 열저장 매체에 비해 축열조의 규모를 축소함과 동시에 축열온도의 균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중온인 $250{\sim}400^{\circ}C$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용융염으로는 질산칼륨($KNO_3$), 질산리튬($LiNO_3$)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융염의 가장 큰 단점은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요구되는 열전달률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많은 열접촉면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방법을 도입하지 않고서는 축열시스템의 소규화를 성취하는데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 한편 열수송 성능이 탁월한 히트파이프를 사용하면 열원 및 열침과 축열물질 사이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켜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동시에 소규모화에 기여할 수 있다. 중온 범위 히트파이프의 작동유체로서 다우섬-A(Dowtherm-A)는 $150^{\circ}C$이상 $400^{\circ}C$까지의 범위에서 소수에 불과한 선택적 대안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융염을 사용하는 중온 태양열축열조에 적용 가능한 다우섬-A 히트파이프의 성능을 파악하여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원으로는 고온 고압의 과열증기, 그리고 열침으로는 중온의 포화증기를 고려하였다. 용융염 축열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히트파이프는 하단부에서 열원 증기와 열교환 가능하며, 중앙부에서 축열물질과 열교환하고, 상단부에서는 중온 증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축열모드에서는 히트파이프의 하단부가 증발부로 작동하고, 중앙부가 응축부로 작동하여 용융염으로 열을 방출하면 용융염의 온도가 상승하고 용융점에 도달하면 액상으로의 상변화가 진행되면서 축열이 활성화된다. 축열모드에서 히트파이프의 상단부는 단열부로 작동한다. 방열과정에서는 히트파이프의 하단부가 단열된 상태이고, 중앙부는 용융염으로부터 열을 받아 증발부로 작동하며, 상단부는 중온 증기로 열을 방출하므로 응축부로 작동한다. 즉, 축열시스템의 작동모드에 따라 하나의 히트파이프에서 증발부, 응축부, 단열부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특히, 히트파이프의 중앙 부분이 응축부에서 증발부로 전환될 때에도 작동이 보장되려면 내부 작동유체의 연속적인 재순환이 가능해야 하므로, 일반 히트파이프에서와는 달리 초기 작동액체의 충전량을 증발부 전체의 체적보다 더 많이 과충전해야 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의 성능 파악을 위한 실험에서 고려한 변수들은 열부하, 작동액체의 충전률, 작동온도 등이며, 열수송 성능의 지표로서는 유효열전도율과 열저항을 이용하였다. 중온범위에서 적정한 작동온도를 성취하기 위해 실험에서는 전압 조절기로 열부하를 조절하는 동시에 항온조로 응축부의 냉각수 입구 온도를 제어하였다. 하나의 히트파이프에 대해서 최대 1 kW까지의 열부하에서 냉각수 입구 온도를 $40^{\circ}C$에서 $80^{\circ}C$ 범위로 변화시키면 히트파이프 작동온도를 약 $250^{\circ}C$ 내외로 조절 가능하였다. 히트파이프 작동액체 충전률은 윅구조물의 공극 체적을 기준으로 372%에서 420%까지 변화 시켰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열저항과 유효 열전도율을 각각 입력 열유속, 작동온도, 작동액체 충전률 등의 함수로 제시했다. 동일한 냉각수 온도에서는 충전률이 높을수록 히트파이프의 작동온도가 감소하였다. 열저항 값의 범위는 최소 $0.12^{\circ}C/W$에서 최대 $0.15^{\circ}C/W$까지로 나타났으며 유효 열전도율의 값은 최소 $7,703W/m{\cdot}K$에서 최대 $8,890W/m{\cdot}K$까지 변화했다. 최소 열저항은 충전률 420%인 경우에 나타났는데 이때의 작동온도는 약 $262^{\circ}C$이었다. 히트파이프의 작동한계로서 드라이아웃(dry-out)은 충전률 372%의 경우에 열부하 950 W에서 발생하였으나, 그 이상의 충전률에서는 열부하 1060 W까지 작동한계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의 히트파이프는 중온 태양열 축열조에 적용되어 개당 약 1 kW의 열부하를 이송하면서 축열물질 및 축방열 대상 유동매체와 열교환을 하는데 사용하는데 충분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