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Media Art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3초

미디어 융합에 따른 대체현실게임의 분석 및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Alternate Reality Game by media convergence)

  • 김재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52-759
    • /
    • 2008
  • 최근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미디어와 미디어 사이의 영역의 한계를 모호하게 하고 있다. 매체의 진화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상호작용성을 경험하였다. 특히 불특정 다수의 참가자가 실시간 환경 속에서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몰입 하거나 경쟁 하면서 만족을 추구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 line Role Play Game)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형태의 문화와 만족감을 주고 있다. ARG(Alternative Reality Game)는 미디어의 융합에 의해 새로이 탄생한 대체현실게임으로, ARS, SMS, BLOG, Cafe, Message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간에 보다 더 현실적인 상호작용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ARG를 소개하고, ARG의 구현, 설계, 구축의 방법을 인간의 사고와 미디어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ARG 활성화를 통해 방송의 새로운 방향을 제언한다.

이미지 컬러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한 넷아트 구현 (Netart Implementation Using Visualization of Image Color Data)

  • 김병원;김종서;곽훈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3-61
    • /
    • 2009
  • 새로운 미디어를 통한 예술작품의 속성 중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현재 넷아트(netart)에 있어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예술전반에서 그 영향력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매체로 한 다양한 실험적인 예술작품들이 네트워크 공간 속에서 제작되고 있으며 이는 예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한 시도이다. 본 연구자는 넷아트에 관련된 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작품 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한 색 데이터의 시각화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작업은 이미지에서 추출한 색 데이터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조형 요소에 기초한 유동적 형상을 제작하는 것은 데이터를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실험적 접근이고, 데이터의 미적 시각화 기법에 대한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인공지능 감정분석 기술을 이용한 관객 참여형 공연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생성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ng Realistic Content in Audience-participating Performan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ntiment Analysis Technology)

  • 김지희;오진희;김명진;임양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33-5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예술 중 하나인 진도 북춤을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아트로 재창조하는 과정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언어 분석 기술을 통해 정량화된 관객들의 감정 데이터는 프로젝션 맵핑 공연에서 다양한 오브젝트 형태로 개입하여 큰 스토리에 변화를 주지 않는 선에서 영향을 준다. 대부분의 인터렉티브 아트들이 공연자와 영상 간의 소통을 표현한 것이라면, 본 공연은 인공지능 감정분석 기술을 중심으로 관객이 작품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반응형 공연이 된다. 이는 한국 전통예술에서만 흔히 나타나는 관객이 공연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여 영향을 끼치는 퍼포먼스인 '추임새'에서 시작된다. 공연자의 '프롤로그'에 담긴 감정 정보를 기반으로 관객의 감정 정보와 결합하여, 공연에 쓰이는 이미지와 파티클의 형태로 변환함으로서 공연에 관객이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변화를 줄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관한 고찰 (Study on Mobile Interactive Media Art based on The Interaction of Experiential Communications)

  • 정윤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297-320
    • /
    • 2015
  • 현대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예술의 융합은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매체예술'인 미디어아트의 비약적 발전을 가지고 왔다. 이는 21세기 새로운 창의성의 근간인 커뮤니케이션 예술로서 그 영역과 한계를 확장해 가고 있으며, 현대 디지털 기술의 집결체인 모바일을 통하여 기존의 장르와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인터랙티브 즉,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대중예술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과 예술의 융합인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는 시간과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호작용과 참여의 능동적인 주체로서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으며, 예술과 학문, 문화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유동적인 플랫폼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확장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정의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해 보고, 모바일을 예술적 표현의 매개체로 활용하고 있는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적 효과와 대중예술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융합과 상호작용, 체험을 화두로 하는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는 첨단기술과 예술 그리고 새로운 감성이 만나 우리의 생활과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융합과 통섭의 시대적 트랜드에 걸맞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예술장르로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기대된다.

Media Dependency and Public Skepticism in Authoritarian States: Discursive Trends in Disseminating Information about COVID-19 in Iran

  • Alireza Azeri Mat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1-13
    • /
    • 2023
  • Being one of the first and hardest hit countries by the coronavirus, Iran still continues to preserve its place among nations with the highest rates of infection and COVID-19 related deaths. While on the surface, such worrying status evinces the failure of the authorities in handling the crisis, at deeper levels, it points to the fundamentalist nature of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system of the country. In this view, the current devastating condition in Iran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all-out influence of the Islamic regime's ideologies on officials' decision-making and their political agendas throughout the pandemic. Accordingly, the staterun mainstream media, as the most preeminent institution of power, have been incessantly engaged in disseminating a series of ideology-laden information around the issues concerning the coronavirus, and in line with the developing political discourses during pandemic. Far from being based on factual accounts or scientific facts, these disseminated messages inevitably grew into a source of disinformation, ultimately resulting in overall public confusion and skepticism. Through examining the data gathered from some of the most prominent online news agencies run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identifies five major discursive trends through which the mainstream media propagated ambiguous and manipulative information about COVID-19. These findings are then explained in the light of 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 leading to the argument that within autocratic nation-states, public reliance on media during a national/global crisis brings about new opportunities for state exploitation, and further distressing consequences for the people.

메타버스 아바타 및 K-패션의류 3D 제작 모델링-K 디자이너 아이템을 활용한 스타일링 작업물 개발을 중심으로- (Modeling Metaverse Avatars and K-Fashion Apparel 3D Production -Focus on Developing Styling Work with K-Designer Items-)

  • 김소진;강보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5호
    • /
    • pp.60-77
    • /
    • 2023
  • The scale of the industry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is gradually growing around the world. Fashion brands are also starting to utilize the Metaverse platform as a new market to replace the next e-commerce platform by targeting new consumers, MZ generation, and even Alpha generation. In this study, a real K-fashion designer's outfit was made into a 3D outfit using CLO 3D program to express it in a new market, the Metaverse 3D platform. It was then compared with a real outfit. An avatar prototype was completed using Max program to simulate the 3D digital fashion outfit and produce an avatar through an optimization process. The 3D outfits showed the same level of results as the actual outfits in terms of fabric surface, material texture, drapability, overall outfit, details, and trimmings. In addition, we proposed a 2D work on total styling suggestion and modeling to secure data sets for future AI-based styling servic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ctual outfits and 3D outfits had the same results. It is significant that it can be a sample work to build a styling data set through styling suggestion and content production as a significant amount of styling DB construction will be required before AI styling automation services.

디지털 융합 세대의 미디어 이용과 정치참여의 특징 : SNS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Digital Generation's Media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 Focusing on SNS and Smart Phone Use)

  • 이영수;김성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9-60
    • /
    • 2019
  •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 세대의 뉴미디어를 이용한 새로운 정치참여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령과 다매체 이용 동기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이들 집단 간에 미디어 관련 성향, SNS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정치 관련 특성, 그리고 유형별 정치참여의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세대별 미디어이용 특성은 다매체 이용동기의 높고 낮음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고, 정치 관련 특성과 정치참여 유형에 대한 세대별 차이가 있었다. 디지털 세대는 웹 1.0세대보다 정치관여도와 정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웹 1.0세대에 비해 오프라인 정치참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효능감은 유형별 정치참여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공연 VR 콘텐츠에서 360도 VR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에 따른 사용자 프레즌스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Pres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Height Difference of 360-degree VR Cameras in Exhibition/Performance VR Content)

  • 김상일;이재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08-518
    • /
    • 2021
  •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VR 콘텐츠는 오프라인 활동이 제한된 시각예술, 미디어 아트, 뉴미디어 전시 및 공연 분야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시·공연 VR 콘텐츠와 같은 실사 기반 VR 영상 콘텐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몰입감이나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VR 콘텐츠에 집중되어 있어 실제 적용을 위한 정보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전시, 공연 분야에서 공연장 내 VR카메라의 배치는 관람자의 시점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공연 VR 영상에서 촬영된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가 이용자의 프레즌스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위치와 높이에서 촬영된 융복합 전시·공연 <예/인/선>의 VR 영상 콘텐츠를 HMD로 체험 후 프레즌스 및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카메라는 객석에서 무대 중심으로 이동할수록 프레즌스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이의 차이는 실재 몰입감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전문대학의 K-Pop 전공 개설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ssue of K-Pop Major in Colleges and Opportunity for New Curriculum)

  • 오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91-9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대중음악계의 K-Pop이라는 트렌드 속에서 전문대학이 이 특정한 분야의 학과 또는 전공을 개설하려고 하는 시도에 대한 제안적인 연구이다. 실용음악과와 방송연예과 등 기존의 유관 학과 및 전공과의 유사점과 차별성을 잘 활용하여 교과과정을 만든다면 K-Pop 전공이 대학에 개설되는 것이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다.

  • PDF

콘텐츠 관점에서의 영화문화에 대한 재고찰 (Reconsidering Film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Back Into The Theatres)

  • 박연수;박흥국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114
    • /
    • 2010
  • Mainly through the pervasive emergence of portable devices (laptops, PDAs, now iPods), the screen arts, that is, the cinematic arts has suffered the loss of what constitutes the core of its existence: the theatre and theatre-audience. This paper discusses cinema's distinct place and significance in culture and its difference from television and other forms of mass media. The most pressing question at hand would be, "how do you bring back attention to the medium that is distinctly cinematic?" "How do you bring people back to the theatres?" This paper argues that cinema, and the film industry as a whole must push for a technological leap that is in conjunction with culture. With mentioning of the rapid development of 3D technologies in the moving images, this paper proposes that such technological novelties and innovation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a new kind of film culture to eme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