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science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24초

인간 제대혈액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신경 및 콜린성 분화 (Neural and Cholinerg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the Human Umbilical Cord Blood)

  • 감경윤;강지혜;도병록;김해권;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35-243
    • /
    • 2007
  • 인간 제대혈 세포는 조혈모세포, 중간엽 줄기세포와내피전구세포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인간 제대혈 속의 중간엽 줄기세포는 조혈모세포와는 달리 다능성 줄기세포이며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배양을 통해 제대혈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신경세포와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배양액에 dimethyl sulphoxide(DMSO)와 butylated hydroxyanisole(BHA)를 첨가하여 유도하였으며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retinoic acid(RA), sonic hedgehog(Shh)를 처리하여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시켰다. DMSO와 BHA에 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가 빠르게 신경세포 모양으로 분화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면역조직학적 염색에서 신경세포 특이 표지인 $\beta$-tubulin III, 별아교세포에 대한 특이 표지인 GFAP, 희돌기아교세포에 대한 특이 표지인 Gal-C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그 비율은 각각 $32.3{\pm}2.9%$, $11.0{\pm}0.9%,\;9.4{\pm}1.0%$였다. RT-PCR 분석에서 배양 단계에 따라 신경세포에 특이적인 표지 인자가 발현됨을 통해, 중간엽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간엽 줄기세포에 bFGF, RA, Shh를 처리하여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시켰을 때, 전체 중간엽 세포 중 $31.3{\pm}3.2%$가 신경세포 특이 표지인 $\beta$-tubulin III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이들 세포 중 $70.0{\pm}7.8%$가 콜린성 신경 특이 표지인 ChAT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것은 Woodbury 방법에 의한 신경분화의 경우보다 3배 가량 높은 비율로 콜린성 신경의 분화를 유도한 것이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인간 제대혈의 중간엽 줄기세포가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가 가능하고 이러한 잠재성을 가진 제대혈 중간엽 줄기세포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세포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생발음(生髮飮)-II 피부도포가 C57BL/6 마우스의 육모촉진에 미치는 효과 (Study on Effect of Saengbal-eum-II(Shēngfà-yĭn-II)on Hair Regrowth Promotion in C57BL/6 Mice)

  • 한애리;손낙원;정석희;김성수;송미연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95-113
    • /
    • 2009
  • Objectives :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is a hair care product which is composed of ten plant extracts used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on hair regrowth and cytokine changes in a shaving model of C57BL/6 mice. Materials and Methods : Five-week-old mice were acclimated for 1 week at a temperature between $21-23^{\circ}C$, 40-60% relative humidity, and 12h of a light/dark cycle befor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re were three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50% ethanol (EtOH, control), a positive control of 3% Minoxidil, and 30%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in 50% ethanol in 18 female mice. The test compounds were topically treated once a day over 12 days. The hair regrowth was phot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determin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f 12 days. Revelation of EGF, $TGF-{\beta}1$ and IL-6 in hair follicle were also determin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addition to that, IL-6, $TNF-{\alpha}$, and $IL-1{\beta}$ in skin tissue were determin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Results : Hair regrowth in 3% Minoxidil and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groups was promoted earlier and fast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entrations of hairs and thick-hair ratio in 3% Minoxidil and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groups were promoted than the control group. EGF was moderately positive in hair follicle of 3% Minoxidil and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groups, but negative in the control group. $TGF-{\beta}1$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L-6 in hair follicle of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group was negative, but weakly positive in 3% Minoxidil and control group. IL-6 and $IL-1{\beta}$ in skin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group,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3% Minoxidil and control group. $TNF-{\alpha}$ in skin tiss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3% Minoxidil and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group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engbal-eum-II($Sh{\bar{e}}ngf{\grave{a}}-y{\breve{i}}n-ll$) has hair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it can be used for treatment of alopecia. And these effects relate to EGF revelation of hair follicle and a decrease IL-6, $TNF-{\alpha}$, and $IL-1{\beta}$ in skin tissue.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C[11]-PIB imaging 영상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C[11]-PIB imaging)

  • 김남범;신귀순;안성민
    • 핵의학기술
    • /
    • 제19권1호
    • /
    • pp.12-16
    • /
    • 2015
  •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은 고차원 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상관성 구조를 더 낮은 차원으로 단순화하여 상관성의 구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다변량분석기법으로 뇌영상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주성분분석의 기본개념은 서로 직교하는 변수들의 선형결합을 통해서 원래의 뇌영상 자료가 가지고 있는 전체정보를 최대한 설명할 수 있는 서로 독립적인 새로운 변수들을 유도하는 것이다. 뇌영상분석에서 주성분분석의 효율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C[11]-PIB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으로는 평균나이가 같은 9명의 정상인, 10명의 알츠하이머/경도인지장애환자들의 C[11]-PIB 영상을 이용하였다. PET-CT 장비로는 Biograph 6 Hi-Rez (Siemens-CTI, Knoxville, TN)를 영상을 획득하였고 9.6 MBq/kg C[11]-PIB를 정맥주사 한 후 40분 후에 20분 동안 3D acquisition mode로 방출영상을 얻었다. Attenuation map은 X-ray CT scan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130 kVp, 240 mA). PIB template을 만들기 위해서 정상인에서 3T MRI T1-weighted 영상을 동시에 얻었다. 주성분분석을 위한전처리과정으로서 공간정규화 및 공간편평화를 SPM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주성분분석은 Matlab2012b를 이용하여 분석하다. 결과는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서로 독립적인 주성분영상들을 얻을 수 있었다.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얻어진주성분영상은 C[11]-PIB brain PET 영상의 패턴을 몇 개의 주성분으로 단순화 할 수 있었으며 주로는 neocortex를 변동 나타내는 영상, white matter의 변동을 나타내는 영상 그리고 pons등 deep brain의 변동을 나타내는 영상 등으로 단순화되었다. 결론으로는 주성분분석은 C[11]-PIB brain 영상을 단순화하여 영상의 패턴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이러한 주성분분석은C[11]-PIB영상 분석뿐만 아니라 뇌의 포도당 대사를 측정하는 FDG-PET 또는 뇌기능영상등의 다변량분석 방법으로서 그 적용범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내의 발달성협응장애(DCD)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평가와 중재접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in South Korea: Evaluation and Intervention)

  • 김민주;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82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DCD의 선별이나 중재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향후 관련 종사자들이 연구를 설계하거나 중재결과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여 199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논문들 중 발달성협응장애와 관련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국내의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발달성협응장애', '발달협응', '발달적 협응'으로 선정하였다. 검색원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한국학술정보, 구글학술검색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4,878개의 논문 중 중복되어 검색된 논문과 배제기준에 해당되는 논문을 제외한 총 17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DCD연구 중 평가와 중재접근을 분석하기 위하여 Wilson(2005)이 제시한 개념적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의 질적수준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간의 비무작위 연구인 level II가 70%를 차지하였다. 연구설계 시대상 아동의 DCD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test(MABC)와 MABC Second Edition(MABC-2)(72%)가 운동발달 평가도구로 주로 사용되었다. 중재연구 중 역동체계접근을 적용한 논문은 47%으로 가장 높았으며, 정상발달기술접근의 논문과 인지적 신경과학을 적용한 논문은 각각 18%이었고, 신경발달이론을 적용한 논문은 11%이었다. 정상발달기술접근과 일반적 능력접근을 병행한 논문은 6%로 가장 낮은 사용을 보였다. 이들 논문은 주로 DCD아동들의 운동특성이나 운동(체육)프로그램의 중재효과에 관한 것이었다. 결론 : 국내에서 진행된 DCD관련 연구는 대부분 DCD의 움직임 특성을 설명하거나 운동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설명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향후 DCD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평가도구들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와 재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중재접근의 효과를 입증하여 DCD 아동의 운동협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