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C[11]-PIB imaging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C[11]-PIB imaging 영상분석

  • Kim, Nambeom (Neuroscience Research Institute, Gachon University) ;
  • Shin, Gwi Soon (Department of Radiology, Songho college) ;
  • Ahn, Sung Mi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Gachon University)
  • 김남범 (가천대학교 뇌과학연구원) ;
  • 신귀순 (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안성민 (송호대학교 방사선과)
  • Received : 2015.04.03
  • Accepted : 2015.04.30
  • Published : 2015.05.16

Abstract

Purpo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a method often used in the neuroimagre analysis as a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for describing the structure of high dimensional correlation as the structure of lower dimensional space. PCA is a statistical procedure that uses an orthogonal transformation to convert a set of observations of correlated variables into a set of values of linearly independent variables called principal compon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CA in the brain PET image analysis, we tried to analyze C[11]-PIB PET image as a representative case.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rmal = 9, AD/MCI = 10). For C[11]-PIB, PET scan were acquired for 20 min starting 40 min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9.6 MBq/kg C[11]-PIB. All emission recordings were acquired with the Biograph 6 Hi-Rez (Siemens-CTI, Knoxville, TN) in three-dimensional acquisition mode. Transmission map for attenuation-correction was acquired using the CT emission scans (130 kVp, 240 mA). Standardized uptake values (SUVs) of C[11]-PIB calculated from PET/CT. In normal subjects, 3T MRI T1-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to create a C[11]-PIB template. Spatial normalization and smoothing were conducted as a pre-processing for PCA using SPM8 and PCA was conducted using Matlab2012b. Results Through the PCA, we obtained linearly uncorrelated independent principal component images. Principal component images obtained through the PCA can simplify the variation of whole C[11]-PIB images into several principal components including the variation of neocortex and white matter and the variation of deep brain structure such as pons. Conclusion PCA is useful to analyze and extract the main pattern of C[11]-PIB image. PCA, as a method of multivariate analysis, might be useful for pattern recognition of neuroimages such as FDG-PET or fMRI as well as C[11]-PIB image.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은 고차원 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상관성 구조를 더 낮은 차원으로 단순화하여 상관성의 구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다변량분석기법으로 뇌영상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주성분분석의 기본개념은 서로 직교하는 변수들의 선형결합을 통해서 원래의 뇌영상 자료가 가지고 있는 전체정보를 최대한 설명할 수 있는 서로 독립적인 새로운 변수들을 유도하는 것이다. 뇌영상분석에서 주성분분석의 효율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C[11]-PIB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으로는 평균나이가 같은 9명의 정상인, 10명의 알츠하이머/경도인지장애환자들의 C[11]-PIB 영상을 이용하였다. PET-CT 장비로는 Biograph 6 Hi-Rez (Siemens-CTI, Knoxville, TN)를 영상을 획득하였고 9.6 MBq/kg C[11]-PIB를 정맥주사 한 후 40분 후에 20분 동안 3D acquisition mode로 방출영상을 얻었다. Attenuation map은 X-ray CT scan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130 kVp, 240 mA). PIB template을 만들기 위해서 정상인에서 3T MRI T1-weighted 영상을 동시에 얻었다. 주성분분석을 위한전처리과정으로서 공간정규화 및 공간편평화를 SPM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주성분분석은 Matlab2012b를 이용하여 분석하다. 결과는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서로 독립적인 주성분영상들을 얻을 수 있었다.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얻어진주성분영상은 C[11]-PIB brain PET 영상의 패턴을 몇 개의 주성분으로 단순화 할 수 있었으며 주로는 neocortex를 변동 나타내는 영상, white matter의 변동을 나타내는 영상 그리고 pons등 deep brain의 변동을 나타내는 영상 등으로 단순화되었다. 결론으로는 주성분분석은 C[11]-PIB brain 영상을 단순화하여 영상의 패턴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이러한 주성분분석은C[11]-PIB영상 분석뿐만 아니라 뇌의 포도당 대사를 측정하는 FDG-PET 또는 뇌기능영상등의 다변량분석 방법으로서 그 적용범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