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lymphomatosi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오랜 기간 완전완화 후 말초신경병증으로 재발한 신경림프종증 (Neurolymphomatosis Relapsed as Peripheral Neuropahty after Long-Term Complete Remission)

  • 황준;고판우;서안나;채종민;강병욱;이재혁;서정규;송현석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3권2호
    • /
    • pp.101-105
    • /
    • 2011
  • Neurolymphomatosis, an uncommon manifestation of non-Hodgkin's lymphoma, is lymphomatous infiltration of peripheral nerves. We confirmed the diagnosis of neurolymphomatosis in a 75-year old woman with a history of complete remission of diffuse large B cell type lymphoma on the nasal cavity seven years ago. She complained of painful weakness of left leg and took the electrophysiologic study, extremity ultrasonography, fluorodeoxyglucose PET-CT, and extremity MRI serially. She was diagnosed as neurolymphomatosis by targeted posterior tibial nerve mass biopsy.

Lumbosacral plexopathy due to neurolymphomatosis superimposed on traumatic nerve injury

  • Hyun Jeong Lee;Jae Yoon Kim;Jaewon Beom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5권1호
    • /
    • pp.45-49
    • /
    • 2023
  • Neurolymphomatosis is the direct endoneurial infiltration of lymphoma cells. Bone marrow biopsy is a widely practiced procedure that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relatively safe. However, bone marrow biopsy can also result in pain and long-term consequences such as nerve injury. Here we report a case of a 68-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lumbosacral plexopathy due to neurolymphomatosis that was superimposed on a probable traumatic lumbosacral plexopathy mostly involving the sciatic nerve immediately after a bone marrow biopsy.

통증을 동반한 신경총병증에서 언제 신경림프종증을 고려해야 하는가? (When We Consider Neurolymphomatosis in Patient with Lumbosacral Plexopathy with an Extreme Leg Pain?)

  • 안준영;석현;김상현;김현정;조연희;오백민;이승열
    • Clinical Pain
    • /
    • 제20권1호
    • /
    • pp.53-57
    • /
    • 2021
  • We report a case of neurolymphomatosis of lumbosacral plexus. A 63-year-old man, who had no past history except for diabetes mellitus, complained of severe pain and weakness on left lower extremity. Idiopathic lumbosacral plexopathy was diagnosed by electromyography.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except for FDG-PET/CT and MRI. They showed high uptake and thickening lesion in sciatic nerve and sacral plexus. However, about 7 months later, mass like lesion in left thigh was detected by FDG-PET/CT and MRI. Also, multiple hypermetabolic lesions were found in brain. Through brain biops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was confirmed. When a patient with idiopathic lumbosacral plexopathy complains of severe p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DG-PET/CT and MRI to differentiate neurolymphomatosis, even in patients who have no past history of lymphoma before. Especially, if FDG-PET/CT and MRI show sciatic and/or lumbosacral plexus lesion, neurolymphomatosis of lumbosacral plexus should be considered.

Neurolymphomatosis in patients with mantle cell lymphoma diagnosed by FDG PET-CT

  • Kim, Sooyoung;An, Hakyeu;Choi, Yoon Seok;Park, Kee Hong;Sohn, Eun Hee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2권1호
    • /
    • pp.37-40
    • /
    • 2020
  • Neurolymphomatosis (NL) is characterized by the infiltration of malignant lymphoma cells into peripheral nerves, nerve roots, plexuses, or cranial nerves. This is a very rare complication of mantle-cell lymphoma. Diagnosing NL is made difficult by cerebrospinal fluid cytology and bone-marrow biopsy results often being negative. NL can appear as the only sign of recurrence in a patient with a previous diagnosis of lymphoma. Here we present two cases of NL in patients with mantle-cell lymphoma diagnosed b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deoxy-fluoro-D-glucose integrated with computed tomography.

Neurolymphomatosis presenting as brachial plexopathy with involvement of cranial nerves

  • Lee, Hye Jung;Kim, Keun Soo;Song, Pamela;Lee, Jae-Jung;Sung, Jung-Joon;Choi, Kyomin;Kim, Bohyun;Cho, Joong-Yang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0권1호
    • /
    • pp.44-48
    • /
    • 2018
  • Neurolymphomatosis (NL)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lymphomatous invasion of the cranial or peripheral nerves by lymphoma. A high suspicion is important due to the various presenting symptoms mandating consideration of many differential diagnoses. We report a case of NL of the cranial nerves and plexus presenting as diplopia, facial palsy, and weakness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in sequence.

벨 마비로 오인된 신경림프종증 (Neurolymphomatosis Mimicking Bell's Palsy)

  • 박용식;서범천;김용범;정필욱;문희수;윤원태;김봉제;윤병석;정용균;정하늘;김근현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4권1호
    • /
    • pp.45-48
    • /
    • 2012
  • Neurolymphomatosis is a complication of lymphoma and initial presentation of cranial nerve involvement has been rarely reported. We describe a patient with neurolymphomatosis who presented as facial palsy mimicking steroid responsive Bell's palsy, a common and benign condition. This case shows that even minor neurologic deficit of lymphoma patient should not be absolutely regarded as a benign condition.

Sciatic nerve neurolymphomatosis 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primar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 rare cause of leg weakness

  • Kim, Kyoung Tae;Kim, Se Il;Do, Young Rok;Jung, Hye Ra;Cho, Jang Hyu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258-263
    • /
    • 2021
  • Neurolymphomatosis (NL) is defined as the involvement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lymphocytic invasion. It is a very rare form of lymphoma that may occur as an initial presentation or recurrence. It affects various peripheral nervous structures and can therefore mimic disc-related nerve root pathology or compressive mononeuropathy. NL often occurs in malignant B-cell non-Hodgkin lymphomas. Notwithstanding its aggressiveness or intractability, NL should be discriminated from other neurologic complications of lymphoma. Herein, we present a case of primary NL 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of the sciatic nerve. The patient presented with weakness and pain in his left leg but had no obvious lesion explaining the neurologic deficit on initial lumbosacral and kne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NL of the left sciatic nerve at the greater sciatic foramen was diagnosed based on subsequent hip MRI, electrodiagnostic tes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and nerve biopsy findings. Leg weakness slightly improved after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We report a case wherein NL, a rare cause of leg weakness, manifested 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primary DLBCL involving the sciatic nerve at the greater sciatic foramen.

피부 병변은 닭 마렉병 진단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 조경오;박남용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1-104
    • /
    • 2002
  • 닭의 전신장기에 림프종 발생이 특정인 마렉병(Marek's disease; MD)은 림프구성 백혈병(Lymphoid leukosis; LL)과 병리학적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감별이 요구된다. 마렉병 바이러스(Marek's disease virus; MDV)는 질병초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모낭상피세포에 세포용해성 감염을 지속적으로 일으킨다.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모낭상피세포는 변성내지 괴사되어 있고 핵내봉입체가 관찰된다. 또한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모낭상피세포 바로 밑의 진피와 깃털 수질(feather pulp)내의 혈관주위에 림프구 침윤이 관찰된다. 이러한 피부병변은 MD의 특징적인 병변들로서 LL과 감별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이다. 본 고에서는 MD에 관한 전반적인 것과 특히 MD 진단을 위한 피부병변의 유용성에 대해서 자세히 논하고자 한다. 양계산업에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림프구 증식성 종양은 크게 마렉병(Marek’s disease; MD)과 백혈병(Lymphoid leukosis; LL)이 있다. 이들 질환의 원인체들이 분리되기 전까지는 이들 질병들은 발병부위에 따라 질병명을 붙였다. 즉, 내부장기냐 근육에 발생한 것은 visceral lymphomatosis, 피부에 발생한 것은 skin leukosis, 말초신경의 병변은 poly­n neuritis, neuritis, neurolymphomatosis gallinarum, range paralyis로 불리었다. 또한 눈에 발생한 것은 blindness, gray eye, iritis, uveitis, ocular lymphomatosis라고 불리었다. 1961년에 Biggs는 이러한 림프구 증식성 질병을 마렉병과 백혈병 으로 분류하자는 제안을 하였고, 드디어 1960년대 중반에 림프구 증식성 병변 중의 일부에서 herpesvirus가 분리되어서 Biggs가 제안한 병명인 마렉병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MD는 마렉병 바이러스(Marek’s disease virus; MDV)가 원 인제로서 닭에 전염성이 강한 염증성에서 종양성의 병변을 내부장기, 피부, 근육, 안구,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등에 일 으킨다. MDV는 림프종을 유발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사람에서 림프종을 유발하는 Epstein-Bar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gamma-herpesvirus로 분류되었지만, MDV의 게놈 구조와 세포배양에서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 때문에 지금은 alpha-herpesvirus로 재분류 되었다. MDV는 바이러스 중화시험과 한천 겔 침강법에 의해서 3개의 혈청형으로 분류 된다. 혈청형 1은 종양원성 바이러스와 종양원성 바이러스의 계대배양에 의한 약독주가 있다. 혈청형 2는 자연적으로 발 생하는 비종양원성 닭의 MDV이고, 혈정형 3은 바종양원성 칠면조 herpesvirus (HVT)이다. 림프종을 유발하는 MDV 감염은 4개의 과정, 즉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 잠복감염,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 마지막으로 종양화로 나눌 수 있다. 감염의 경로를 보면, 흡입된 MDV는 폐의 대식세포에 감염한 후 전선 장기로 MDV를 전파 시킨다. 특히, 흉선, F냥, 비장 등의 림프구에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일으키는데, B 림프구가 주로 감염된다. 세포용해성 감염음 방어하기 위해 몰려든 T 림프구가 활성화가 되면, T 세포도 감염되게 된다. 잠복감염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 등 을 포함한 면역반응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 때 잠복감염된 세포는 특히 혈중의 T 세포라고 한다. 혈중 MDV 감염세포 는 피부 모낭상피세포, 선장 등 상피세포 유래의 조직에 MDV를 전파 시켜서 이들 조직에서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이 일어나게 한다.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유발하는 것은 이러한 MDV가 감염된 혈중 림프구라는 증거는 혈중의 세포 외에는 감염성 바이러스가 없기 때문이다.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후 육안적 혹은 현미경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림프종이 여러 장기에서 관찰된다. MDV가 감염되면 병변 발생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임상증상이 발생한다. 즉 내부장기에 병변이 있을 경우는 침울, 체중감소, 산란율 저하 등이 발생하며, 신경계는 발생부위별 신경증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장기나 조직에서는 육안적으로 백색에서 회백색의 종양성 병변이 관찰된다. 말초신경에 병변이 발생한 경우에는 특히 좌골신경 및 신경총에서 호발하는데, 이들 조직은 편측성 혹은 양측성으로 종창되어 있다. 안구는 간혹 육안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홍채 퇴색 및 증식 병변이 관찰된다. 피부형 MD는 특히 육용계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산란계의 내장형 MD가 발생한 경우에도 피부를 자세히 설펴보면 피부형 MD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피부형 MD는 모낭주위에 원형의 결절형태로 발생하는데, 이들 병변이 커지면 바로 옆의 병변과 융합 되어 큰 결절을 형성하기도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