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logical disorder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8초

신생아 후기에 증상을 발현하여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Deficiency 1례 (A Case of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Deficiency with a Relatively Good Prognosis Presented in the Late Neonatal Period)

  • 박에스더;김민선;송아리;임민지;장자현;김지혜;조성윤;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2018
  •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CPS1) 결핍은 고암모니아혈증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회로 이상 질환 중 하나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2q35 염색체에 존재하는 CPS1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된다. CPS1 결핍은 발병 연령에 따라 신생아형과 신생아기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형으로 나뉜다. CPS1 결핍의 임상 양상의 중증도는 주로 효소 활성 결핍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신경 기능 이상 및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본 증례는 생후 25일 즈음 구토, 의식 저하, 고암모니아혈증을 보여 시행한 생화학적, 분자유전학적 검사(targeted gene panel sequencing)를 통해 CPS1 결핍을 진단하였다. 수액 치료, 관장, 소듐 벤조에이트 치료로 고암모니아혈증 및 임상 양상 호전 보여 응급 투석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생후 17개월까지 관찰한 결과 고암모니아혈증의 재발없이 성장과 발달 및 신경학적 예후가 좋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에어로빅스가 청각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Aerobics on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 박상남;김영활;김병원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4-230
    • /
    • 2006
  • Up to now, there have been rare clinical studies on leaders and aerobics athletes. To get the useful data for protecting from auditory disorder, we selected 15 female aerobics leaders (experimental group) and 15 females (control group) unexperienced in aerobics and a without neurological and octolaryngological disorder. The average age was $34.87{\pm}8.80$ (experimental group) and $34.07{\pm}8.45$ (control group) years, and the average career of an aerobics leader (experimental group) was $8.33{\pm}4.73$ years. We measured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AEP) of the two groups treated with 70, 75 and 85 dB intensity from January 2006 to May 2006 and analyzed the absolute latency (AL) and interpeak latency (IPL) by the SPSS/pc+ 12.0 program. In the comparison of the A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intensity, both ears treated with 70 and 75 dB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I, III, V wave and in the I, V wave respective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85 dB showed a difference in the I, III, V wave (left ear) and in the I wave (right ear) respectively. The IPL of the two groups treated with various intensities had no prolongation. In the comparison of the A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ages,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ir 20s treated with 70 d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V wave (left ear) and in the I, III, V wave (right ear),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ir 20s treated with 75 dB in the I, III wave (left ear) and in I, III, V wave (right ear), and experimental group in their 20s treated with 85 dB in the V wave (left ear) and in the III, V wave (right ea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ir 30s treated with 70 dB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only in the V wave (right ear). Only in the IPL of subjects in their 20s treated with 85 dB, III-V and I-V of both ears was extended. In the comparison of the AL and IPL according to care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is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lower sound intensity (70 dB)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e concluded that the leader of aerobics exposed to louder sounds than normal people are affected by auditory neurological and octolaryngological disorders. So we think that the leaders of aerobics need to control the noise level for protecting themselves against a disease.

  • PDF

항-NMDA 수용체 뇌염의 정신증상: 증례보고 (Psychiatric Manifestations of Anti-NMDA Receptor Encephalitis: A Case Report)

  • 김현석;이해영;이상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207-212
    • /
    • 2021
  • 항-N-methyl-D-aspartate 수용체 뇌염(Anti-NMDAR encephalitis)은 NMDA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로 매개되는 신경 염증성 질환으로 초기에 뚜렷한 신경학 증상 없이 망상, 지각이상, 와해된 행동, 심한 불안, 인지기능저하 등의 정신증상이 두드러질 수 있다. 면역치료 혹은 종양제거와 같은 조기치료가 좋은 예후 인자이므로 질병초기에 정신질환과 구분하여 항-NMDAR 뇌염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간질과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26세 여성 A씨를 조기에 항-NMDAR 뇌염으로 확진한 뒤 양성 및 음성증상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A씨의 항-NMDAR 뇌염 초기의 정신증상으로 PANSS에서 양성하위척도 보다 음성하위척도 점수가 더 높았다. 정신장애와 비교하여 항-NMDAR 뇌염 초기에 음성증상과 인지장애가 더욱 두드러질 가능성이 있다. A씨의 치료로는 rituximab과 난소 기형종의 제거가 효과적이었고 항정신병제로는 quetiapine을 사용하였다. 특히 젊은 여성에서 망상, 행동장애와 함께 음성증상, 인지장애, 긴장증, 의식수준의 변화, 운동이상증상 등이 관찰될 때 항-NMDAR 뇌염에 대한 평가를 고려해야 한다.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Diet Home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Sensory Defensiveness: Case Report)

  • 허소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63-73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감각방어를 가진 만 12세의 자폐 범주성 아동 1명이었다. 보호자 인터뷰와 평가를 통해 대상 아동에게 맞는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만들었고, 보호자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가정에서 총 23일간 하루에 3번 30분씩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전 후에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과 사회성숙도검사가 시행되었고 아동의 감각증상목록이 작성되었다. 결과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후,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검사의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영역이 정상범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사회성숙도검사 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감각방어가 완화되었으며 감각조절과 감정의 조절이 향상되었지만 한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효과 : 개별 실험 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Increasing Attention and Impulsivity Control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강재원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45-54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들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M) 훈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 아동 1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개별 실험 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디자인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총 21회기로 기초선 3회기, 중재기 15회기, 추적기 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IM 훈련이었으며 매 회기마다 IM의 SFA(Short Form Assessment)와 집중력 측정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선, 중재기, 추적기 때 각 한번씩 IM의 LFA(Long Form Assessment)와 자기통제력 검사(SCRS) 평가를 진행하였다. 매회기 SFA와 집중력 측정과제의 결과를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LFA와 SCRS의 값은 표로 제시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IM 훈련 중재 후에 대상자의 집중력은 향상되었으며 충동성은 감소하였다. 중재가 끝나고 한 달 후인 추적기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거나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M이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ADHD 아동의 중재방법으로써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공황장애 환자에서 $^{99m}Tc-ECD$ 뇌관류 SPECT를 이용한 인지행동치료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using Serial $^{99m}Tc-ECD$ Brain Perfusion)

  • 김정희;송호천;양종철;이병일;허영준;범희승;박태진;민정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302-308
    • /
    • 2006
  • 목적: 공황장애에 대한 다양한 신경해부학적 모델들이 제안되었으나, 인지행동치료와 관련된 뇌 신경학적 기전에 대한 해석은 불명확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에서 CBT 전과 후에 뇌관류 변화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신경해부학적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DSM-IV 기준으로 진단된 공황장애 환자 7명(남자 5명, 여자 2명, 평균연령 $45{\pm}11.0$세)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인지행동치료를 했으며, 건강한 정상인 12명(남자6명, 여자 6명, 평균연령 $42{\pm}9.5$세)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 인지행동치료 전과후에 $^{99m}Tc-ECD$ 뇌관류 SPECT, PDSS-SR과 ACQ점수를 각각 평가하였다. 인지행동치료 도중에는 약물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모든 영상은 공간적으로 평준화와 편평화를 하여 SPM2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공황장애 환자에서 인지행동치료 후 자각적인 증상들이 개선되고, 인지행동 평가 척도와 인지적 불안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CBT치료 전에 띠이랑, 시상, 중간뇌와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뇌관류가 증가하고, 우측 아래 전두엽에서 뇌관류가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8주간의 CBT후 임상 소견의 호전과 함께 좌반구의 해마이랑, 우반구의 띠이랑와 도, 그리고 좌우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뇌관류가 감소를 하였고 후두엽, 두정엽과 전두엽 일부에서 뇌관류가 증가한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공황장애 환자에서 약물치료 없이 인지행동치료만으로도 그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고, 이는 공포와 관련된 뇌영역에서 뇌활성도의 완화 및 안정화로 인해 치료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Attention to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Single Case Study)

  • 조선영;주유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57-6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이하 IM)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1명을 대상으로 ABA' 설계를 통한 단일대상연구이다. 회기 별 구성은 기초선(A) 3회기, 중재기(B) 14회기, 기초선 2(A') 3회로로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동안에는 IM 훈련을 하였으며, 기초선(A), 중재기(B), 기초선 2(A') 기간 모두 종속변인으로 부주의 행동과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IM 훈련 중재기에 대상자의 부주의 행동은 감소하였고, 주의 집중 행동은 증가하였다. 기초선 2 기간에도 중재 효과는 유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M 훈련이 주의력 결핍 증상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중재로써 IM 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수면장애와 보행장애를 호소하는 올리브교소뇌위축증 환자 증례보고 1례 (A Case Report of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ultiple Systemic Atrophy-Cerebellum) Patient Complicating Sleep Disorders and Gait Disturbance)

  • 이수영;김두리;이현승;채한나;윤종민;문병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02-813
    • /
    • 2018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accompanied by sleep disorder and gait disturbance whose condition was improved by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The 61-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ultiple Systemic Atrophy-Cerebellum), was admitted to hospital twice and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The Korean medicine was Gwibiondam-tang-gami and Jaeumgeonbi-tang-gami. Clinical symptoms were assessed by the Modified Ba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ment, Berg balance scale, and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A brain MRI at the one-year follow up after onset showed similar progress but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and the evaluation index score increased. Multiple system atrophy, a type of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has no targeted treatment. In this situation, although this report describes a single case, Korean medicine treatment could provide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leep disturbance and gait disorder symptoms of patients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작업대 높이가 승모근의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Tension Trapezius Muscle of the Height Keyboard Computer)

  • 안창식;안윤희;이명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8권6호
    • /
    • pp.67-75
    • /
    • 2006
  • Purpose: Many kinds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symptom are caused by the longtime computer works. However, trapezius muscle tonu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regarding to keyboard height during typing. Therefor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pezius muscle tonus and the height of keyboard while typing, controling for the postures of neck, Lumbar, cervical vertebra. Methods: The experimental height of keyboard was set at elbow height, 3cm higher, 6cm higher, 9cm higher, than elbow. We studied trapezius tonus with the mean value for 2 minutes by EMG in 15 males and 15 females worker of hospital in seoul, who did not have a history of muscle disease, neurological signs, nerve damage. Results: In this experimental, as the height of the keyboard went up, the trapezius tonu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shoulder abduction of brachium. Second, right and left trapezius tonus appeared similar while typing. Third, the best height that release the trapezius tonus the was as high as elbow and 3cm higher than elbow. Conclusion: With thes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height of keyboard during typing to release the trapezius tonus most is the height of the elbow and 3cm higher than elbow. The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ocusing on the height of VDT worktable and complaining of a pain by oneself which are useful to establish a method of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 in work in the future.

  • PDF

감각통합기능장애 아동에게 적용한 단기집중치료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Short-term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Case Report)

  • 최현애;강은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3
    • /
    • 2008
  • 서론: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주최 2008년 치료과정에 참여한 감각통합기능장애 아동의 적응반응의 변화를 통하여 단기집중 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아동의 평가결과를 기초로 개별 치료를 실시하였고, 각 치료회기에서 보인 아동의 적응반응에 따라 회기별 목표와 활동계획을 수정하여 다음 회기에 적용하였다. 또한 가정연계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과: 치료회기 동안 아동은 자세조절 능력이 향상되었고, 구강방어증상이 완화되었으며 또래와의 상호작용면에서 적응반응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좀 더 효과적인 치료향상을 위하여 집중감각통합치료와 가정연계 프로그램이 지속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부모가 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 행동양상의 변화를 이해하고, 아동이 감각통합 발달단계에 맞춰 적절한 감각활동을 탐색하는 것을 돕기 위한 지속적인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