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kinin-2 recepto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Allopregnanolone suppresses mechanical allodynia and internalization of neurokinin-1 receptors at the spinal dorsal horn in a rat postoperative pain model

  • Fujita, Masahide;Fukuda, Taeko;Sato, Yasuhiro;Takasusuki, Toshifumi;Tanaka, Makoto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1권1호
    • /
    • pp.10-15
    • /
    • 2018
  • Background: To identify a new strategy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we investigated the analgesic effects of allopregnanolone (Allo) in an incisional pain model, and also assessed its effects on the activities of the primary afferent fibers at the dorsal horn. Methods: In experiment 1, 45 rats were assigned to Control, Allo small-dose (0.16 mg/kg), and Allo large-dose (1.6 mg/kg) groups (n = 15 in each). The weight bearing and mechanical withdrawal thresholds of the hind limb were measured before and at 2, 24, 48, and 168 h after Brennan's surgery. In experiment 2, 16 rats were assigned to Control and Allo (0.16 mg/kg) groups (n = 8 in each). The degree of spontaneous pain was measured using the grimace scale after the surgery. Activities of the primary afferent fibers in the spinal cord (L6) were evaluated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In experiment 1, the withdrawal threshold of the Allo small-do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2 h after surgery. Intergroup differences in weight bearing were not significant. In experiment 2,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grimace scale scores were not significant. Substance P release in the Allo (0.16 mg/k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Systemic administration of Allo inhibited mechanical allodynia and activities of the primary afferent fibers at the dorsal horn in a rat postoperative pain model. Allo was proposed as a candidate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Excitatory effect of KR-25018 and capsaicin on the isolated guinea pig bronchi

  • 정이숙;신화섭;박노상;문창현;조태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252
    • /
    • 1996
  • We Investigated the peripheral excitatory effect of capsaicin and KR-25018, a newly synthesized capsaicin derivative which was demonstrated to have a potent analgesic activity. KR-25018 and capsaicin were found to be both potent efficacious contractors of isolated guinea pig bronchial smooth muscle. KR-25018 was equipotent with capsaicin and [Sar$\^$9/,Met(O$_2$)$\^$11/]-substance P, 10-fold more potent than histamine and 10-fold less potent than (${\beta}$ -Ala$\^$8/)-neurokinin A(4-10), and their -log(M)EC$\_$50/ values were 6.94${\pm}$0.08, 6.86${\pm}$0.05, 6.96${\pm}$0.07, 5.64${\pm}$0.04, 7.96${\pm}$0.02, respectively. Contractile responses to KR-25018 and capsaicin were potentiated by phosphoramidon (1 ${\mu}$M), an inhibitor of neuropeptide-inactivating endopeptidase, but completely abolished in a calcium-free medium. These responses to KR-25018 and capsaicin were unaffected by the NK-1 antagonist CP96345 (1${\mu}$M), partially inhibited by the NK-2 antagonist SR48968 (1 ${\mu}$M) but almost completely abo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antagonists. A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capsazepine competitively antagonized the responses to both KR-25018 and capsaicin (pA$_2$: aganst KR-25018, 5.98${\pm}$0.47; against capsaicin, 5.80${\pm}$0.31), and a capsaicin-sensitive cation channel antagonist ruthenium red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aximum responses to KR-25018 and capsaicin (pD'$_2$: against KR-25018, 4.61${\pm}$0.33; against capsaicin 4.96${\pm}$0.21).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KR-25018 and cpasaicin act on the same vanilloid receptor inducing the influx of calcium through ruthenium red-sensitive cation channel and produce contractile responses via the release of tachykinins that act on both NK-1 and NK-2 receptor subtypes.

  • PDF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creases PKCβI isoform expression via activation of substance P and bradykinin receptors in cultured astrocytes of mice

  • Jae-Gyun Choi;Sheu-Ran Choi;Dong-Wook Kang;Hyun Jin Shin;Miae Lee;Jungmo Hwang;Hyun-Woo Kim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6.1-26.11
    • /
    • 2023
  • Backgrou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inhibits the catalysis of angiotensin I to angiotensin II and the degradation of substance P (SP) and bradykinin (BK). While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ACEi and SP in nociceptive mice was recently suggested, the effect of ACEi on signal transduction in astrocytes remains unclea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CE inhibition with captopril or enalapril modulates the levels of SP and BK in primary cultured astrocytes and whether this change modulates PKC isoforms (PKCα, PKCβI, and PKCε) expression in cultured astrocytes. Methods: Immunocy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SP and BK and the expression of the PKC isoforms in primary cultured astrocytes, respectively. Results: The treatment of captopril or enalapril increased the immunoreactivity of SP and BK significantly in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positive cultured astrocytes. These increases were suppressed by a pretreatment with 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 addition, treatment with captopri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PKCβI isoform in cultured astrocytes, while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the PKCα and PKCε isoforms after the captopril treatment. The captopril-induced increased expression of the PKCβI isoform was inhibited by a pretreatment with the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L-733,060, the BK B1 receptor antagonist, R 715, or the BK B2 receptor antagonist, HOE 140.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 inhibition with captopril or enalapril increases the levels of SP and BK in cultured astrocytes and that the activation of SP and BK receptors mediates the captopril-induced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the PKCβI isoform.

Aprepitant Regimen의 고용량 Cisplatin 유발 오심 및 구토 예방 효과 (The Effect of Aprepitant Regimen on the Prevention of High-Dose Cisplatin-Induced Nausea and Vomiting)

  • 박수진;최지선;안진석;신가영;민경아;정선영;인용원;손기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3
    • /
    • 2010
  • Aprepitant is a substance P/neurokinin-1 (NK1)-receptor antagonist that was approved in 2003 for prevention of CINV. In addition, updated anti-emetic guidelines that include the aprepitant regimen have been published by NCCN and ASCO. However there is scarce clinical data in Korea. The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ention of high dose cisplatin induced nausea and vomiting in all patients who started high-dose cisplatin-based chemotherapy at our hospital. We checked the nausea severity and vomiting episodes by calling patients within 4 to 5 days after chemotherapy.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vention of CINV in solid tumor patients who switched their anti-emesis regimen from the standard regimen to the aprepitant regimen. In aprepitant regimen, aprepitant was added to the same anti-emetic regimen used during previous cycles. We checked the nausea, vomiting grades and adverse events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In prospective study, 19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88.2% of patients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no emesis and no rescue therapy). In retrospective study, 54 patients were reviewed. With aprepitant regimen, nausea and vomiting grades were improved in 22 patients (40.7%) and in 9 patients (16.7%), respectively. Compared with standard regimen, addition of aprepitant provided superior prevention against CINV in Korean patients receiving highly emetogenic cisplatin-based chemotherapy. Moreover, aprepitant significantly prevented CINV in patients who received the standard regimen to prevent CINV in previous chemotherapy cycles.

Efficacy of Aprepitant for Nausea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Receiving Daily Cisplatin Therapy

  • Ishimaru, Kotaro;Takano, Atsushi;Katsura, Motoyasu;Yamaguchi, Nimpei;Kaneko, Ken-ichi;Takahashi, Haru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627-9630
    • /
    • 2014
  • Background: Although efficacy of aprepitant for suppressing emesis associated with single-dose cisplatin has been demonstrated, there are limited data on the antiemetic effect of this oral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during daily administration of cisplatin. Accordingl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aprepitant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HNC) receiving combination therapy with cisplatin and 5-FU (FP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HNC were prospectively studied who received a triple antiemetic regimen comprising granisetron ($40{\mu}g/kg$ on Days 1-4), dexamethasone (8 mg on Days 1-4), and aprepitant (125 mg on day 1 and 80mg on days 2-5) with FP therapy (cisplatin $20mg/m^2$ on days 1-4; 5-FU $400mg/m^2$ on days 1-5) (aprepitant group). We also retrospectively studied another 20 HNC patients who received the same regimen except for aprepitant (control group). Results: For efficacy endpoints based on nausea, the aprepita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including a higher rate of complete response (no vomiting and no salvage therapy) for the acute phase (p=0.0342), although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percentage of patients in whom vomiting was suppressed. There were no clinically relevant adverse reactions to aprepitan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a triple antiemetic regimen containing aprepitant is safe and effective for HNC patients receiving daily cisplatin therapy.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 정경원;박무인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서의 기도 선경성 염증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의 역할과 분포 (The Role and Localiz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Neurogenic Inflammation of the Rat Airways)

  • 심재정;이상엽;이상화;서정경;김철환;조재연;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420-433
    • /
    • 1996
  • 연구 배경 : 기도의 신경성 염증에서 산화질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는 기도 신경성 염증에 관여하는 산화질소의 역할을 보다 명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150-350gm의 백서를 이용하여 기도의 신경성 염증에서 신경단백질 수용체 차단제인 FK224와 산화질소 합성효소 억제제인 $N^{\omega}$-nitro-L-arginine (L-NNA) 의 혈장유출에 대한 효과를 먼저 확인하고, 기도 신경성 염증에 관여하는 산화질소가 기도의 신경말단에서만 유리되는 지 또는 신경성 염증에서 유리된 신경 단백질로 인하여 다른 폐장 조직 세포에서도 산화질소가 유리되는 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종류와 그 분포를 polyclonal anti-NOS antibody에 대한 면역화학효소법으로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백서의 기도 신경성 염증에서 신경단백질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는 혈장유출을 억제시키며 산화질소 합성효소 억제제인 L-NNA는 혈장유출을 증가시켰다(P<0.05). 기도 신경성 염증유발시 조직내 염증세포의 침윤은 증가되었으며, FK224로 전처치시 조직내의 염증세포의 침윤을 억제시켰다(P<0.05).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도형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의 활성도는 침착된 염증세포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구성형 산화질소 합성효소(cNOS)인 eNOS의 활성노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증가하였으나 의미는 없었고, bNOS의 활성도는 신경성 염증에서 신경세포에서만 증가되었으며, FK224에 의해서도 bNOS의 활성도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 기도의 신경성 염증에서 조직내 염증세포가 증가되며 iNOS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가 주로 혈장유출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K224의 전처치는 염증세포의 조직내 침윤을 억제시키며, iNOS 의 활성도도 감소시켜 기도 혈장유출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도의 신경성 염증에서 NANC신경에서도 산화질소가 유리됨을 알 수 있었으며, 기도 신경성 염증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 억제제인 L-NNA로 혈장유출이 증가되는 것은 bNOS에서 유리되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L-NNA가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산화질소 합성효소 억제제가 기도 신경성 염증의 혈장유출을 증가시키는 데에 bNOS가 일부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