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IS

검색결과 991건 처리시간 0.028초

뇌혈관 중재적시술에 있어 측방향 차폐체를 이용한 시술자 피폭 선량 저감화 방법 연구 (Reducing Radiation Exposure Dose on Operator by Using Lateral Protection in Neuro-Intervention)

  • 김종덕;안병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14
  • 양방향 뇌혈관촬영기는 하나의 선원에서 방사선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정방향과 측방향에서 방사선 피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피폭이 더욱 많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환자가 받는 선량도 중요하겠지만 시술을 시행하고 있는 방사선 관계종사자 역시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방향 뇌혈관촬영기의 혈관검사 및 중재적방사선시술에 있어 X-선 관구에서 직접 조사되는 1차 방사선, 정방향관구와 측방향 검출기사이에서 발생하는 1차 산란방사선, 상대적으로 적지만 촬영실 벽이나 바닥에서 반사되는 2차 산란방사선 발생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기에 기존의 일반적인 차폐방법인 천정형 차폐, 테이블형 차폐방법에서 보다 더 적극적인 차폐방법인 측방향 차폐체의 방어용구를 설치하여 시술자가 받는 직접방사선 및 산란방사선에 의한 피폭선량을 최대한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투시측정에서는 생식샘 약 3.64배, 갑상샘 약 3.13배, 눈 약 4.42배 정도 더 감소하였고,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측정에서는 생식샘 약 4.98배, 갑상샘 약 3.00배, 눈 약1.67배의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얻어내었다. 결론적으로 양방향 뇌혈관촬영기의 혈관검사 및 중재적방사선시술시 설치하였던 측방향 차폐체의 방어용구는 일반적인 차폐방법보다 시술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는데 많은 효과를 주었다고 사료된다.

Deriv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 Kim Sehee;Hong Ji Young;Joo So Yeon;Kim Jae Hwan;Moon Shin Yong;Yoon Hyun Soo;Kim Doo Han;Chung Hyung Min;Choi Seong-Ju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247-252
    • /
    • 2004
  • Human embryonic stem (ES) cells are derived from the inner cell mass of the preimplantation embryo. Human ES cells have the capacit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types of cells in the body. Human ES cells are indefinite source of cells for cell therapy in various degenerative disorders including neuronal disorders. Directed differentiation of human ES cells is a prerequisite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lture condition for the deriv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from human ES cells. Neural precursor cells were derived from human ES cells in a stepwise culture condition. Neural precursor cells in the form of neural rosette structures developed into neurospheres when cultured in suspension. Suspension culture of neurospheres has been maintained over 4 months. Expressions of nestin, soxl, sox2, pax3 and pax6 transcripts were upregulated during differentiation into neural precursor cells by RT-PCR analysis. In contrast, expression of oct4 was dramatically downregulated in neural precursor cells. Immunocytochemical analyses of neural precursor cells demonstrated expression of nestin and SOX1. When induced to differentiate on an adhesive substrate, neuro-spheres were able to differentiate into three lineages of neural systems, including neurons, astrocytes and oligo-dendrocytes. Transcripts of sox1 and pax6 were downregulated during differenti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into neurons. In contrast, expression of map2ab was elevated in the differentiated cells, relative to those in neural precursor cells. Neurons derived from neural precursor cells expressed NCAM, Tuj1, MAP2ab, NeuN and NF200 in immunocytochemical analyses. Presence of astrocytes was confirmed by expression of GFAP immuno-cytochemically. Oligodendrocytes were also observed by positive immuno-reactivities against oligodendrocyte marker O1.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 stepwise culture condition is developed for the deriv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from human ES cells.

한국의 신경병성 동통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Epidemiology Study of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in Korea)

  • 원정연;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53-374
    • /
    • 2008
  • 비록 신경병성 동통이 환자에게 주는 심리적 부담에 대하여 잘 알고 있지만 동통의 역학조사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신경병성 동통의 정확한 발병률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데, 이는 여러가지 새로운 의료기기가 개발되었지만 정확한 진단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내 모든 종류의 병원에서 치료한 몇 가지 특정 신경병성 동통에 대하여 역학조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전산에 입력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신경병성 동통 환자와 치료 받은 과 및 치료기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신경병성 동통 환자의 수와 유병률을 살펴보면 삼차신경통 77,053명(27.6%), 비정형적 안면통 12,382명(4.4%), 설인후 신경통 1,319명(0.5%), 포진후 신경통 84,598명(30.3명), 당뇨병성 신경통 85,989명(30.8%), 비정형적 치통 16,001명(5.7%), 설통 2,133명(0.8%) 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진후 신경통과 당뇨병성 신경통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외 신경통은 대부분 증가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57.6-72.8% 에 이르도록 1차 의료기관인 개인의원에서 치료받았으나 비정형적 치통의 경우에만 10.3% 정도로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받는 비율이 낮았다. 치과의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은 삼차신경통 3.2%, 비정형적 치통 35.4%, 설통 15.4%이며 그 외 나머지 신경병성 동통은 대부분 의원에서 치료받았다.

두개부 혈관조영실에서 공간산란선량의 분포와 관리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Dose Rate in Neuro Angio Room)

  • 이미화;정홍량;임청환;홍동희;김기정;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27-435
    • /
    • 2014
  • 본 연구는 두개부 혈관조영실에서 시행되는 중재적시술 시 거리 및 방향 별로 공간산란선량의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산란선 노출범위를 알고, 방사선관계종사자에게 적절한 작업위치와 거리 등을 인지하여 스스로 산란선으로 부터 최소의 피폭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팬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45^{\circ}$ 각도로 분류하여 7방향의 구획 방향(A, B, C, D, E, F, G)을 설정하고, 팬텀의 중심에서부터 길이를 측정하여 각 방향마다 50cm, 100cm, 150cm, 200cm로 분류하였다. 총 28곳에서 투시의 정면, 측면, 양방향의 공간선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된 선량은 거리 별로는 50cm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200cm로 거리가 증가할수록 선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동일한 구역에서라면 저격촬영의 공간선량이 거리와 방향에 따라 크게는 9배 이상 차이가 나타났다. 방호용 칸막이 설치만으로 약 84.52%~93.54% 이상의 피폭선량이 감쇄되었다.

청각장애 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저항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g on the hearing impairments Student about Resistance Stress)

  • 백기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18-3324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S시 M동에 위치한 A청각장애인학교 학생 16명(초등학생 6명, 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저항 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하였다. 뇌파 측정 후 뉴로소프트에 포함되어 있는 그림 색칠하기로 휴식, 주의력, 집중력을 각기 1분씩 측정하여 자기조절능력을 분석하였다. 피검자가 피드백한 뇌파 중 상대적 비율이 가장 적은 주파수가 피검자의 훈련모드가 된다. 훈련장소는 A청 각장애인학교 훈련실, 1회 훈련시간은 40분이었으며 일 주일에 최소 2회로 방학을 제외한 8개월 정도 훈련을 실시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훈련 후의 항스트레스지수, 긴장도(육체적 스트레스), 산만도(정신적 스트레스)의 비교는 뇌파측정을 통한 정량적인 뇌기능분석을 적용하였다. 첫째, 청각장애학생들의 스트레스저항 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항스트레스(좌 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청각장애학생들의 육체적 정신적 긴장 저항 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긴장도(좌 우)와 산만도(좌 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각장애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저항 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효과적인 중재임이 검증되었다.

Tethered Cord Syndrome; Surgical Indication, Technique and Outcome

  • Kang, Joon-Ki;Lee, Kwan-Sung;Jeun, Sin-Soo;Kang, Seok-Gu;Lee, Il-Woo;Yoon, Kang-Jun;Ha, Sang-S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2호
    • /
    • pp.77-82
    • /
    • 2007
  • Objective : The authors tried to reveal some unique features of lipomeningomyelocele (LMMC), including clinical presentation, factors precipitating onset of symptoms, pathologic entities of LMMC associated with tethered cord syndrome, and surgical outcome in LMMC patients. Methods : Seventy-five patients with LMMC were enrolled in this study. Neuro-imaging and intraoperative findings allowed classification of LMMC into three Type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ge : A (51 patients), from birth to 3 years, and B (24 patients), from 3 to 24 years. For prevention of retethering of the cord, a mega-dural sac rebuilding procedure was performed in 15 patients. Results : During a mean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of 4 years, the surgical outcome was satisfactory in terms of improved pain and motor weakness, but disappointing with reference to the resolution of bowel and bladder dysfunction. Among these 75 patients with LMMC, preoperative deficit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in 29 (39%), remained stable in 28 (37%), changed slightly in 13 (17%), and worsened in 5 (7%). Patients in group A achieved better outcomes than those in group B. Depending on the type of lesion, patients with types I and II LMMC have better outcomes than those with type III LMMC. Finally, retethering of the cord with neurological deterioration occurred in 4 (5.3%) of the 75 patients, but no retethering was found in the 15 patients who were recently treated with a mega-dural sac rebuilding procedure. Conclusion : Our data continue to support the opinion that early diagnosis and optimal surgery are still essential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MMC, since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residual neurological functions that can be preserved. Based on our surgical experience of untethering and decompression of lipomas, a mega-dural sac repair is useful to prevent retethering of the cord.

Gaucher병에서 resveratrol의 세포주기 조절자 p21을 통한 세포보호 효과 연구 (Resveratrol Upregulates p21, Cell Cycle Regulator, in Gaucher Disease Cells)

  • 김동현;허태회;김준범;김성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81-1286
    • /
    • 2010
  • 고셔병은 세포내의 글루코세레브로시데이즈의 결핍으로 인하여 리소좀 내의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가 분해되지 못하고 축적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형의 종류에 따라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항산화 효과 및 신경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레스베라트롤을 고셔병 환자의 fibroblast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 생존율 변화 여부 및 세포주기 조절에 관하여 분자 생물학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셔병 세포의 p21의 mRNA 발현 수준과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mRNA 상의 정량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단백질 발현수준은 레스베라트롤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사멸의 표지 인자 단백질로 알려진 PARP의 변화양상을 확인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폴리페놀계 천연물인 레스베라트롤이 고셔병에서 세포 손상을 치유하며, 궁극적으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본 질환에서 병증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on Reasoning and Functional Prefrontal Lob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영신;권용주;배윤주;정진수;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7-428
    • /
    • 2004
  • 보존 논리는 조작적 사고를 가능케 하는 도구적 역할로서 과학, 수학, 물리학 등의 분야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필수적인 개념이다. 보존 논리의 형성 여하에 따라 수리문제의 해결 능력과 과학적 유추 능력, 추상적 사고능력이 결정되며, 인지 발달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존 논리 형성과 전두엽연합령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사고력 향상과 과학개념 시기를 앞당기는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의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는 약 50% 정도였으며, 수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가 가장 높았고, 부피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가 가장 낮았다. 보존 논리의 형성은 비선형적으로 일어났으며,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에 따라서, 추론 능력과 설계능력, 보속적 오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존 논리와 전두엽연합령 기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보존 논리 형성에 대한 예측 변인으로는 추론 능력과 설계 능력이였으며, 이들 변인이 보존 논리에 대한 설명력은 약 20% 정도이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보존 논리가 미형성 단계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지만, 이들 학생들의 보존 논리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보존 논리 형성에 전두엽연합령이 깊은 관계가 있어 전두엽연합령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효율적인 환자간호를 위한 간호전달체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eveloping Care Delivery System of Providing Efficient Patient Care)

  • 김정자;황경자;김숙현;이계숙;이정숙;김인영;조윤희
    • 대한간호
    • /
    • 제35권3호
    • /
    • pp.61-7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care delivery system which can provide patient focused care and increase satisfaction for both patients and nurse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direct / indirect nursing care hours, patient satisfacti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 length of stay between model and control group.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patients who had lumbar disease in the neuro-surgical unit and model group data were from 66 patients who didn't have family residents from August 21, 1995 to February 29, 1996. Model unit was operated by modified PPM(Professional Practical Model) system for 3 months from December 1, 1995 to February 29, 1996. Working committee empowered nurses to make a decision to provide increased opportunities for autonomy, accountability, and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deliver care. Satisfaction survey was done twice and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direct nursing care hours of the model group was 90.47 minutes as it was 28.04 in the control group which show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t=-18.0, P=0.000). 2. Patient satisfaction to nursing care of in the mode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6. 77, P=0.000) and it apples to the all subcategories, too. 3. Nurse's job satisfaction shows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ode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Z=-3.0405, p=0.0024). 4.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2 groups in average length of stay except for the post-op patient which shows 5.4 days less in the model group. This study shows that patient satisfaction and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increased and length of stay was decreased in the model group. Even though this new developed Patient - Nurse Oriented Model can provide nursing with the opportunity to improve patient care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highly valued, it is very difficult to practice due to the limited nursing resources, higher acuity levels and nursing care cos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look at the unreasonable reimbursement system and recognize the nursing care costs to the high acuity level patients. Otherwise, make the patient responsible for the nursing care cost so that we can provide more efficient and patient focused care.

  • PDF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에서 의료보장형태와 천공률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Type of Insurance and Acute Appendicitis Rupture Rate)

  • 홍지영;김건엽;이무식;남해성;임정수;이정애;나백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67-273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medical service utilization pattern of patients who use public medical aid compared to those who have health insurance. Methods : We selected every patient between the age of 18 and 69 who used public medical aid from January 1, 1999, to December 31, 2001,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For comparison, a list of patients with health insurance was gathered for same period. Then the medical records of those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acute appendicitis were selected among both groups. Of those records, we compared the number of cases of ruptured appendicitis to cases of whole acute appendicitis in both groups. Regarding coding for ruptured appendiciti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 10 (ICD-10) was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as a statistical tool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isk factors. Results : Even after adjusting for risk factors, such as age and sex, the proportion of perforation of acute appendicitis among public medical aid pati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among insured patients. Conclusions : This comparative study on ruptured appendicitis among public medical aid patients and insured patients, indicates that the proportion of perforation of acute appendicitis could be an index showing that these types of patients utilize medical services differently than insured patients. We know that when abdominal pain is not properly treated at the outset, it easily develops into ruptured appendicitis complicated with peritonitis. Considering this data analysis, we guess the public medical aid system to have significant problem with medical accessibility. So additional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pattern of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of public medical aid patients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