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mobility (NEMO)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43초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에서 경로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ute Optimization in Nested Mobile Network)

  • 최지형;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65-68
    • /
    • 2008
  • Mobile IP는 이동 노드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할 뿐 네트워크의 이동성은 제공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IETF에서는 NEMO(Network Mobility)를 제안하였다. 이동 네트워크에서는 경로 최적화가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NEMO WG에서는 주로 중첩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경로를 최적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에서 경로 최적화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향상된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NEMO와 PMIPv6의 상호 운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operability of NEMO and PMIPv6 for Enhanced IP Mobility Support)

  • 김성철;이호선;조용범;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886-889
    • /
    • 2008
  • 향후 보다 향상된 이동성 지원을 위한 표준으로 IETF의 Proxy Mobile IPv6와 Network Mobility Basic Support Protocol이 있다. 이들은 모두 망 인프라 수준에서 단말이 이동할 시에도 끊김 없는 IP 이동성을 지원해준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하나의 단말의 이동성만을 관리하는 PMIPv6와는 달리 NEMO에서는 다수의 단말을 가진 망 전체의 이동성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이동성 관리 기법간의 상호 운용성 보장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 PDF

Scalability Analysis of Cost Essence for a HA entity in Diff-FH NEMO Scheme

  • Hussein, Loay F.;Abass, Islam Abdalla Mohamed;Aissa, Anis Be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236-244
    • /
    • 2022
  • Network Mobility Basic Support (NEMO BS) protocol has been accredited and approved by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working group for mobility of sub-networks. Trains, aircrafts and buses are three examples of typical applications for this protocol. The NEMO BS protocol was designed to offer Internet access for a group of passengers in a roaming vehicle in an adequate fashion. Furthermore, in NEMO BS protocol, specific gateways referred to Mobile Routers (MRs) are responsible for carrying out the mobility management operations. Unfortunately, the main limitations of this basic solution are pinball suboptimal routing, excessive signaling cost, scalability, packet delivery overhead and handoff latency. In order to tackle shortcomings of triangular routing and Quality of Service (QoS) deterioration, the proposed scheme (Diff-FH NEMO) has previously evolved for end-users in moving network. In this sense, the article focuses on an exhaustive analytic evaluation at Home Agent (HA) entity of the proposed solutions. An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signaling cost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Diff-FH NEMO)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NEMO BS protocol and MIPv6 based Route Optimization (MIRON) scheme. The obtained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Diff-FH NEMO) significantly improves the signaling cost at the HA entity in terms of the subnet residence time, number of mobile nodes, the number of DMRs, the number of LFNs and the number of CNs.

6LoWPAN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MIPv6와 NEMO Protocol의 최적 헤더 압축 (Optimal Header Compression of MIPv6 and NEMO Protocol for Mobility Support in 6LoWPAN)

  • 하민근;홍성민;김영주;김대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55-59
    • /
    • 2010
  • 현재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연구에 있어서 이동성 지원은 중요한 기술로써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성 기술 중에서 Mobile IPv6(MIPv6)와 Network Mobility(NEMO) Basic Support Protocol은 IETF의 표준화된 프로토콜로써, 인터넷상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그러나 USN에 MIPv6와 NEMO Protocol을 수정 없이 적용할 경우에는 바인딩 메시지의 크기로 인해 Handoff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NEMO Protocol의 경량화에 대한 기존 연구는 Sequence Num.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며, 바인딩 메시지의 압축을 6LoWPAN 네트워크 구성과 주소 할당 방식에 최적화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의 노드 기반 이동성과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을 고려한 최적의 압축기법을 제안한다. 노드 기반 이동성은 32bytes Binding Update(BU)와 12bytes Binding ACK(BA) 메시지를 13bytes와 3bytes로 압축하였으며,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은 40bytes BU와 12bytes BA를 13bytes와 3bytes로 압축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보다 각각 15bytes(NEMO-BU)와 1bytes(NEMO-BA)만큼 더 압축시킨 성능으로써, 센서 이동성의 Handoff 성능을 8.72% 향상시켰다.

중첩 NEMO 환경에서 이동 패턴 분류 및 분석에 대한 연구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Mobility Patterns in Nested NEMO Network)

  • 임형진;정태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9-41
    • /
    • 2008
  • 현재 IETF MANEMO (Mobile Adhoc for NEMO) 워킹 그룹에서는 중첩 NEMO의 내부 라우팅 지원 방안에 관한 표준을 준비중이다. 그러나 중첩 NEMO에서는 MIPv6나 기본 NEMO 프로토콜에서 발생하지 않는 중첩 토폴로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예외적인 이동 특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동 특성은 네트워크 재설정에 대한 각기 다른 타입을 유발한다. 본 논문은 중첩 NEMO에서 발생 가능한 새로운 이동 패턴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토폴로지 특성과 주소 설정 방안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이동 타입과 재설정 패턴을 정의하고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 PDF

QoS-aware Cross Layer Handover Scheme for High-Speed vehicles

  • Nashaat, Heb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호
    • /
    • pp.135-158
    • /
    • 2018
  • High-Speed vehicles can be considered as multiple mobile nodes that move together in a large-scale mobile network. High-speed makes the time allowed for a mobile node to complete a handover procedure shorter and more frequently. Hence, several protocols are used to manage the mobility of mobile nodes such as Network Mobility (NEMO).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such as high handover latency and packet loss. So efficient handover management is needed to meet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for real-time applications. This paper utilizes the cross-layer seamless handover technique for network mobility presented in cellular networks. It extends this technique to propose QoS-aware NEMO protocol which considers QoS requirements for real-time applications. A novel analytical framework is develop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tocol with basic NEMO using cost functions for realistic city mobility model.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QoS-aware NEMO protocol improves the performance in terms of handover latency, packet delivery cost, location update cost, and total cost.

중첩된 NEMO에서의 경로 최적화를 위한 개선된 계층적 프리픽스 할당 프로토콜 (Improved Hierarchical Prefix Delegation Protocol for route optimization in nested NEMO)

  • 노경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47-155
    • /
    • 2006
  • 네트워크 이동성 기본 솔루션(NEMO basic solution)의 비 경로 최적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HPD(Hierarchical Prefix Delegation) 프로토콜이 있다. 그러나 HPD는 미시적 이동성에 대한 지원을 하지 못하므로 이동네트워크노드(MNN)가 접촉점을 변경할 때마다 MIPv6 프로토콜에서와 같이 HA(Home Agent)와 통신노드(CNs)로 BU(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내야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은 HPD에 HMIPv6 프로토콜 개념을 적용하여 nested NEMO에서의 미시적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동네트워크노드는 MAP(Mobility Anchor Point) 영역 안에서 위치변경 시 가까운 곳에 위치한 MAP으로만 BU를 보냄으로써 핸드오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이나 신호 부하를 감소시켜 HPD에서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 PDF

NEMO 환경에서 RMTP를 지원하기 위한 개선된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 (An Improved Route Optimization Algorithm for RMTP Support in the NEMO Environment)

  • 조인휘;김재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A호
    • /
    • pp.67-72
    • /
    • 2011
  • All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위해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특히 NEMO(NEtwork MObility)는 이동 단말 각각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이 아닌 이동 단말 그룹, 즉 이동 네트워크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유선 기반의 기존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이라는 제약을 극복하고 마치 유선 통신처럼 성능을 유지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NEMO 환경에서 기존의 멀티캐스트 방식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신뢰성을 가진 멀티캐스트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EMO 환경에서 기존 멀티캐스트에 보다 높은 신뢰성을 기반으로 제안된 RMTP(Reliable Multicast Transport Protocol)를 적용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기존 NEMO 환경에 RMTP를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기존의 NEMO 환경에서 RMTP를 그대로 적용했을 때와 제안된 알고리즘을 Delay 측면에서 AR(Access Router)과 TLMR(Top-Level Mobile Router)간의 전송 성공확률과 NEMO 레벨에 따른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우수함을 증명한다.

항만 내 네트워크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PMIPv6망의 NEMO 지원 기법 (NEMO Support Scheme within PMIPv6 for Supporting Network Mobility in Harbor Area)

  • 민상원;한경일;정민아;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674-680
    • /
    • 2014
  • 본 논문은 해양과 IT 기술 융합의 하나로써 PMIPv6(proxy mobile IPv6) 네트워크가 구성된 항만에서 NEMO(network mobility) 지원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항만 네트워크에 접속해있는 승객, 물류 등의 이동성 지원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해당 네트워크로 handover하는 MN(mobile node)에 대한 연결 방안을 제안한다. PMIPv6 망의 항만에서 NEMO를 지원할때 LMA(local mobile anchor)와 HA(home agent)의 터널과 BCE(binding cache entry)가 중복되어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위한 방안인 프로세싱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PMIPv6망의 NEMO 지원을 위한 메시지 형식 보완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MN 및 MR의 네트워크 초기접속간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에 옵션필드를 추가하여 초기접속 혹은 handover임을 LMA/HA에 통보하고 바인딩 절차를 줄인다. 이에 따라 PMIPv6 기반의 항만 네트워크에서 NEMO를 지원할 때 발생하는 지연 시간 감소와 자원 절약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이동성을 고려한 NeMRI 기반의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On NeMRI-Based Multicasting for Network Mobility)

  • 김문성;박정훈;추현승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5-42
    • /
    • 2008
  • Mobile IP는 MN(Mobile Node)에 대한 이동성의 해결책을 제시할 뿐 네트워크 이동성(NEMO: NEtwork MObility)에 대해서는 해법이 될 수 없다. NBS(NEMO Basic Support) 프로토콜은 이동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들에게 세션 지속성을 보장한다. NEMO에서 멀티캐스트를 지원할 경우 Mobile IP에 기반을 둔 프로토콜들은 Mobile IP가 지닌 터널 중첩 문제(Tunnel Convergence Problem)와 같은 태생적인 문제들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NEMO에서의 멀티캐스트 경로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MR(Mobile Router)이 멀티캐스트 기능과 NeMRI(Nested Mobile Router Information)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NeMRI는 MR의 하위 모든 MR들의 CoA(Care of Address) 리스트와 MR들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여부를 저장한다. 또한 핀볼 라우팅(Pinball Routing) 문제를 위한 어떠한 경로최적화 기법이라도 여기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캐스트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 환경에서 경로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적절한 수학적 비용분석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NEMO 환경에서 우리가 제안한 기법은 NBS에 기반을 둔 Bi-directional Tunneling, Remote Subscription 등과 같은 이동 멀티캐스트 기법들에 비하여 매우 뛰어난 비용절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