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etherlands architects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Validation of time domain seakeeping codes for a destroyer hull form operating in steep stern-quartering seas

  • Van Walree, Frans;Carette, Nicolas F.A.J.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v.3 no.1
    • /
    • pp.9-19
    • /
    • 2011
  • The paper describes the validation of two time domain methods to simulate the behaviour of a destroyer operating in steep, stern-quartering seas. The significance of deck-edge immersion and water on deck on the capsize risk is shown as well as the necessity to account for the wave disturbances caused by the ship. A method is described to reconstruct experimental wave trains and finally two deterministic validation cases are shown.

The Netherlands Government Policy on Architecture Examples and recent developments (네덜란드 건축정책-모범적 사례와 최근 개발을 중심으로)

  • Rob, Doctor
    • Korean Architects
    • /
    • no.12 s.464
    • /
    • pp.53-59
    • /
    • 2007
  • 최근 네덜란드의 건축은 세계 건축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대 건축사에 일 획을 긋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Rem Koolhaas나 MVRDV등은 국내의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진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네덜란드 건축계와의 건축문화교류를 통해 그들이 일궈놓을 수 있는 독창성과 건축문화의 배경을 이해하고 우리의 건축문화를 위한 초석을 놓고저, 우리 협회는 지난 8월에 3명의 대표단을 보내 사전 조사를 시행한 바 있다. 그결과, Berlage Institute와 네덜란드 건축문화원과는 공감이 갈수 있는 건축적 이슈들을 국제토론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데 공조하기로 합의하고, 이의 후속 작업으로 Berlage Institute의 학장인 Rob Doctor교수와 네덜란드 건축문화원(Netherlands Architecture Institute, NAI)의 원장인 Ole Bouman 이 네덜란드의 건축정책을 소개하는 글을 게재하기로 했다. 이는 한국 건축사로서 현재 네덜란드에 유학중인 이은경씨의 도움에 의해 준비 되었고, 번역까지 도움을 주었다. 이은경씨의 도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09-(완)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3 s.431
    • /
    • pp.62-75
    • /
    • 2005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4)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0 s.426
    • /
    • pp.65-71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5)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1 s.427
    • /
    • pp.100-108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1)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7 s.423
    • /
    • pp.86-92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Donald I. Grinberg)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6)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2 s.428
    • /
    • pp.82-92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