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sted Factor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9초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요인 구명을 위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Risk Factors for Cerebrovascular Disorders in Koreans)

  • 박종구;김기순;이태용;이덕희;고광욱;이강숙;지선하;서일;류소연;박기호;김춘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57-165
    • /
    • 2001
  • Objectives :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cerebrovascular disorders(CVD) in Koreans using a nested case-control study. Methods : The cohort consisted of beneficiaries who had taken health examinations of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KMIC cohort: 115,600 persons) in 1990 and 1992 consecutively. Four hundred and twenty five (425) cases were selected following the validation of diagnosis among 2,026 reported CVD (160-168) inpatients during the year from 1993 to 1997. Controls were matched (1:1) with age and gender of the cases among inpatients without CVD during the same period. The source of data in this study were the files of the 1990 health examinations and the 1992 health questionnaires, as well as an additional telephone survey undertaken from March to November 1999. Results : In a b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isk factors for total CVD were hyperglycemia and hypertension. Unrespectively, the odds ratio of ex-smok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ever smoked. The risk factors for ischemic CVD also were hyperglycemia and hypertension. However, only blood pressure was found to be a risk factor for hemorrhagic CVD. Hypercholesterolemia was not a risk factor for total CVD, ischemic CVD, and hemorrhagic CVD.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CVD (including subtype) in Koreans was hypertension.

  • PDF

사회문화적 요인이 미국 고령층의 복지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rofessional's Perspectives on the Roles of Socio-cultural Factors and Welfare 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in the US)

  • 강석영;김정근;제프리 윈탈;로즈마리 렌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15-2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미국 고령층의 복지기술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추출하고 각 요인과 복지기술 수용성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고령자의 삶의 잘향상을 위한 사회문화적 기반복지기술 수용성 증진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10명의 노인분야 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두 차례에 걸친 개방형 코딩 프로세스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7개의 주 코드와 주 코드에 중첩된 22개의 2차 코드 등 총 29개의 코드를 통해 사회문화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주의, 가족중심문화, 실용주의, 저맥락 문화, 프라이버시, 재미추구와 수평적문화 등이 미국 고령층의 복지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고령층의 복지 기술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가별 문화적 차이를 정의하고, 각 요인과 복지기술 수용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연구에는 한 국가 또는 국가 간 사회문화적 차이를 설명하는 척도개발이 필요하다.

에너지 효율적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새로운 모바일 단말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개발 (Development of a Novel Mobile Terminal Software Architecture supporting Energy Efficient Vertical Handover)

  • 박승민;김원태;김대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1호
    • /
    • pp.10-23
    • /
    • 2009
  • 본 논문에서 에너지 효율적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새로운 모바일 단말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L3 핸드오버를 IETF Mobile IP에 의존하고 있어 Mobile IP가 가지는 이동성 검출 방식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며 동시에 이종의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없으므로 중첩된 다중망 상황에서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자주 수행하게 되어 네트워크와 단말에 심각한 오버로드를 유발시킨다. 이에 반해 제안하는 방식은 단말기반의 망선택 및 전환을 수행하는 구조로서 단말에서 망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결정된 망으로의 L3 핸드오버 명령을 Mobile IP에 지시하는 형태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망선택 방식은 단말의 속도 기반 망선택 및 전력소모 예측 등을 통해 핸드오버 대상이 될 망들을 선별한 후 단말이 요구하는 QoS,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의 선호도 및 단말의 배터리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최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식을 취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에너지 효율적 이종망간 핸드오버 아키텍쳐를 실제 단말에 적용하여 그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한다.

Maternal Plasma Hepatocyte Growth Factor Concentrations in Women Who Subsequently Developed Preeclampsia

  • Kim, Shin Young;Park, So Yeon;Kim, Mi Jin;Kim, Moon Young;Choi, Kyu Hong;Kwak, Dong Wook;Han, Yoo Jung;Ryu, Hyun 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9권2호
    • /
    • pp.78-83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nested case-contro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concentrations in maternal plasma and the risk of developing preeclampsia. Materials and Methods: Plasma HGF concentration were measured in 52 women who subsequently developed preeclampsia and 104 normal pregnant women at the time of genetic amniocentesis (15-20 week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Maternal plasma HGF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subsequent preeclampsia (median: 737.8 ng/mL vs. 670.4 ng/mL, P=0.003) than in normal controls. However, HGF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ubgroups by preeclamptic complication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women with HGF concentrations ${\geq}702.5ng/mL$ had a 3.2-fold increased risk (95% CI 2.7-5.4, P<0.001) of subsequent development of preeclampsia compared with women with HGF concentrations <702.5 ng/mL. Conclusion: Elevated maternal plasma HGF concentrations in the early second-trimester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preeclampsia.

PISA 2009에서 ICT 활용능력과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 영향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Multi-level Analysis on the Using ICT Ability and Using Computers for Learning through PISA 2009 Data)

  • 허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1-61
    • /
    • 2013
  • 본 연구는 ICT 활용능력과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PISA 2009 한국자료 141개 학교의 학생 4,298명을 대상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ICT 활용능력은 여학생, 사회경제문화적지위, 온라인 자료읽기, 컴퓨터 태도 하위항목의 중요성과 관심은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재미 및 시간왜곡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학교수준에서는 사회경제문화적지위만이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에서 학습목적의 컴퓨터 사용은 ICT 활용능력의 학생수준 영향변인들의 결과와 같았으나 컴퓨터 태도 하위항목의 중요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수준에서는 사회경제문화적지위가 정적 영향, 지역규모는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교에서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은 성별 차이가 없었고, 온라인자료읽기는 정적 영향, 재미와 시간왜곡은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교수준에서는 사회경제문화적지위와 컴퓨터 비율은 정적 영향, 지역규모와 학생-교사비율은 부적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는 다층적 접근을 통해 개인차와 학교 간 차이를 고려한 정보교육 정책이 이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 PDF

IPv6 기반의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새로운 동적 이동형 네트워크 아키텍쳐 (A Novel Architecture for Dynamic Mobile Networks with IPv6-based Multiple Network Interfaces)

  • 김원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8호
    • /
    • pp.25-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중첩된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들로 구성된 IPv6기반 멀티홈드된 이동형 네트워크 아키텍쳐로서 DynaMoNET을 제안한다. 각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는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를 통해서 동적으로 구성된다. 고정된 모바일 라우터 대신에 각 에드혹 네트워크는 DynaMoNET 내에서 루트 모바일 라우터로서 동작할 수 있는 모바일 라우터를 보유하며 루트 모바일 라우터는 전체 이동형 네트워크를 위하여 외부 인터넷과의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멀티홈드 이동형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핸드오버 프로토콜, 다중 판단요소를 고려한 망 전환 판단 알고리즘, 토큰 기반의 루트 모바일 라우터 선출 알고리즘, 고속 모바일 라우터 경로 탐색 알고리즘 및 안정적인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장애 회피 메카니즘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라우터의 시스템 아키텍쳐를 자세히 소개한다.

도시 여가활동의 참여행태 및 요인분석 (Analysis of Participation Behavior and Factors of Urban Leisure Activity)

  • 김상황;윤대식;김갑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1-4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가활동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비통근통행에 대한 연구가 통근통행에 대한 연구에 비해 극히 부진하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도시민의 여가활동을 위한 통행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가활동 유형을 6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도시민의 여가활동 유형별 참여요일과 참여시간대에 대한 선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3년 4월에 대구 및 포항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를 실시하였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민의 여가유형별 참여요일 및 참여시간대 선택행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여시간대 선택모형(조건부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성별, 소득, 여가 유형별 1회 평균 소요시간, 여가활동 소요시간(1주일), 주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가가 도시민의 여가활동 참여시간대 선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요일 선택모형(한계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주중에 여가시간이 많을수록 주중에, 그리고 남성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레저스포츠 활동은 제외), 여가 유형별 1회 평균 소요시간이 많을수록 주말에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타당성을 입증케 한다. 즉 도시민의 여가활동 참여시간대 선택은 참여요일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Eicosapentaenoic Acid (EPA) Biosynthetic Gene Cluster of Shewanella oneidensis MR-1: Cloning, Heterologous Expression,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Glucose on the Production of EPA in Escherichia coli

  • Lee, Su-Jin;Jeong, Young-Su;Kim, Dong-Uk;Seo, Jeong-Woo;Hur, Byung-K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510-515
    • /
    • 2006
  • The putative EPA synthesis gene cluster was mined from the entire genome sequence of Shewanella oneidensis MR-1. The gene cluster encodes a PKS-like pathway that consists of six open reading frames (ORFs): ORFSO1602 (multi-domain beta-ketoacyl synthase, KS-MAT-4ACPs-KR), ORFSO1600 (acyl transferase, AT), ORFSO1599 (multi-domain beta-ketoacyl synthase, KS-CLF-DH-DH), ORFSO1597 (enoyl reductase, ER), ORFSO1604 (phosphopentetheine transferase, PPT), and ORFSO1603 (transcriptional regulator). In order to prove involvement of the PKS-like machinery in EPA synthesis, a 20.195-kb DNA fragment containing the genes was amplified from S. oneidensis MR-1 by the long-PCR method. Its identity was confirmed by the methods of restriction enzyme site mapping and nested PCR of internal genes orfSO1597 and orfSO1604. The DNA fragment was cloned into Escherichia coli using cosmid vector SuperCos1 to form pCosEPA. Synthesis of EPA was observed in four E. coli clones harboring pCosEPA, of which the maximum yield was 0.689% of the total fatty acids in a clone designated 9704-23. The production yield of EPA in the E. coli clone was affected by cultivation temperature, showing maximum yield at $20^{\circ}C$ and no production at $30^{\circ}C$ or higher. In addition, production yield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glucose concentration of the cultivation medium.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KS-like modules catalyze the synthesis of EPA. The synthetic process appears to be subject to regulatory mechanisms trigger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is most likely occurs via the control of gene expression, protein stability, or enzyme activity.

Nail DNA and Possible Biomarkers: A Pilot Study

  • Park, Joshua;Liang, Debbie;Kim, Jung-Woo;Luo, Yongjun;Huang, Taesheng;Kim, Soo-Young;Chang, Seong-Si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5권4호
    • /
    • pp.235-243
    • /
    • 2012
  • Objectives: Nail has been a substitute DNA source for genotyping. To investigate the integrity and consistency of nail DNA amplification for biomarker study, nail clippings from 12 subjects were collected at monthly intervals. The possibility of longer amplification and existence of GAPDH RNA/protein, were also investigated with three nail samples. Methods: Three primer sets were designed for quantitative amplification of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s and analysis of their consistency. The mean threshold cycles in amplification of the target genes were compared to test the consistenc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erformance among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age groups, sex, family, the nail source, and by the size of the amplification segments. Results: The amplification of the target genes from nail DNA showed similar integrity and consistency between the nail sources, and among the serial collections. However, nail DNA from those in their forties showed earlier threshold cycles in amplification than those in their teens or seventies. Mitochondrial DNA (mtDNA) showed better DNA integrity and consistency in amplification of all three targets than did nuclear DNA (nucDNA). Over 9 kb of mtDNA was successfully amplified, and nested quantitative PCR showed reliable copy numbers (%) between the two loci. Reverse transcription PCR for mRNA and immunoblotting for GAPDH protein successfully reflected their corresponding amounts. Regarding the existence of RNA and protein in nails, more effective extraction and detection methods need to be set up to validate the feasibility in biomarker study. Conclusions: Nail DNA might be a feasible intra-individual monitoring biomarker. Considering integrity and consistency in target amplification, mtDNA would be a better target for biomarker research than nucDNA.

A Systematic Analysis on Default Risk Based on Delinquency Probability

  • 김경선;신승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3호
    • /
    • pp.21-35
    • /
    • 2018
  • 최근 주택담보대출 이행이력에 대한 연구는 중도상환 위험과 분리하여 채무불이행 위험의 작용을 연구할 필요성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한다. 본 연구는 미국 연방주택모기지회사(Freddie Mac)의 유동화된 주택담보 대출 자료를 이용하여 차입자의 채무불이행 의사결정을 다룬다. 자료는 2011년 1월에서 2013년 9월이다. 추정 모델은 Cox의 비례적 위험 모델이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연체 모형을 내포한 채무불이행 모델을 제안한다. 하나는 연체와 이행 더미변수이고, 다른 모형은 연체확률 모델이다. 본 연구는 Vuong (1989) 논문의 예에 따라, 설명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는 내포모델과 중첩모델로 나누어 두 차례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체확률 모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체와 이행 더미변수보다 우월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Shumway (2001)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론에 따라 예측력 테스트를 수행한바, 연체확률 모델이 연체와 이행 더미변수 모델보다 우월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