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esiohelix samarangae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Ultrastructure of the Spermatheca of the Pulmonate Snail Nesiohelix samarangae (동양 달팽이의 정자낭 (Spermatheca)의 미세구조)

  • Jeong, Kye-Heon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9 no.2
    • /
    • pp.94-102
    • /
    • 1993
  •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의 자성생식기 중 정자낭(spermatheca)의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성체의 정자낭의 내강에서는 정자와 이와 관련된 물질들 또는 상피로부터의 분비물질들이 관찰되었다. 정자낭의 내강을 둘러싸고 있는 벽의 상피는 단층원주상피로서 내강과 연한 세포의 원형질막은 미세융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섬모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 미세융모들의 기부에서는 고배율 하에서 pinocytotic vesicle들이 관찰되었고 때로 세포의 분비물을 세포 밖으로 방출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세포들의 상부세포질에는 많은 수의 mitochondria가 있었고, 때로 분비과립과 lysosomd들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이들보다 아래에는 잘 발달한 골지체와 과립소포체(RER)들이 있었다. 이 부위에서 분비과립들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이 세포에 따라 관찰되었고, 그 아래에 즉, 각 세포의 하반부 세포질에 상하로 긴 핵이 관찰되었다. 세포의 기부 원형질막은 상부 세포질 내로 깊게 그리고 수없이 많이 주름을 이루고 있어 인접한 세포와의 경계를 구분할 수 없을 정도였다. 기저막의 아래에는 근육다발과 색소세포들이 결합조직 내에서 관찰되었고, 정자낭의 외막은 큰 액포로 인하여 세포질들이 원형질막 주변으로 밀려나 있는 특이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정자낭의 기능은 정자를 일시 저장하며 정자낭 상피에서 분비되는 소화액들로 정자를 일차적으로 세포외 소화하고 소화되지 않은 물질들을 흡수하여 이차적으로 세포내소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le Genital Organs of a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동양달팽이의 웅성 생식기관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 이훈섭;정계헌;박종안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8 no.1
    • /
    • pp.61-71
    • /
    • 1992
  •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는 동양달팽이속(Nesiohelix)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에서 동양?팽이속으로는 유일하게 발견되는 종이다. 본 실험에서는 동양달팽이의 웅성생식기관의 각 부분 즉, 난정소(ovotestis), 양성관(hermaphrodite duct), 수정실(fertilization chamber), 전립선(prostate), 수정관(vas deferens), 상음경(epiphallus), 음경(penis)등의 배열 상태를 관찰하고 이들에 대한 광학현미경적 관찰을 위해 Hematoxylin- Eosin염색과 Mallory 염색을 실시하였다. 난정소(ovotestis)는 많은 수의 선포(acini)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선포는 배상피세포층(germinal epithelial cell layer)과 영양세포(nurse cell), 생식세포(gamete cell)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선포(acini)는 원주상피로 덮여있었다. 양성관(hermaphrodite duct)은 가늘고 긴 관으로 내벽은 섬모입방상피세포와 얇은 결합조직층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내강은 농축된 정자로 가득 차 있었다 . 수정관(fertilization chamber)은 3개의 도관이 결합조직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도관의 상피세포는 뚜렷한 위중층섬모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전립선(prostaoe)은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되는 세포들과 실제 분비가 일어나는 실(chamber)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다른 염색법 또는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 다른 구조들의 존재유무를 확인 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chamber)은 분비포로 보이는 세포들과 접해 있었다. 수정관(vas deferens)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근육질의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강은 돌출부위에 의해 4부분으로 갈라져 있었다. 내강에 연한 상피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상음경(epiphallus)의 벽은 근섬유 다발은 벽의 외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아졌다. 상부에 내강과 연결되는 함입구조(groove)를 가지며, 내강에 연한 상피는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음경(penis)은 근섬유가 산재된 두꺼운 벽을 가졌으며 상음경보다 굵은 원통형이었다. 내강은 많은 돌출부에 의해 복잡하게 나뉘어 있으며 상피세포는 원주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섬모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강 내의 분비물과 세포의 형태로 보아 내강상피세포는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Nesiohelix samarangae Based on Metallothionein Gene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의 metallothionein 유전자를 기초로 한 분자계통 분류학적 연구)

  • Lee, Jun-Seo;Min, Byung-Jun;Kang, Se-Won;Lee, Jae-Bong;Baek, Moon-Ki;Hwang, Seung-Young;Kim, So-Hee;Kho, Weong-Gyu;Choi, Sang-Haeng;Chae, Sung-Hwa;Park, Hong-Seog;Han, Yeon-Soo;Lee, Jun-Sang;Jeong, Kye-Heon;Lee, Y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4 no.1
    • /
    • pp.73-80
    • /
    • 2008
  • Numerous morphological studies on N. samarangae have been well conducted over the last ten years. In this context, we have attemtped to do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y using metallothionein (MT) gene from N. samarangae. To this end, we cloned the full length cDNA of MT from cDNA library of N. samarangae. The complete cDNA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ing project of N. samarangae, The coding region of 195 bp gives an amino acid sequence of 65 residues including methionine. There are 5' (61 bp) and 3' (48 bp) untranslated region at both ends of the Ns-MT cDNA sequence. The combined results from BLAST analyses,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nd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Ns-MT cDNA indicate that N. samarangae has similarity to land snails such as Helix pomatia, Helix aspersa and Arianta arbustorum.

  • PDF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Accessory Glands of the Digestive System of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 Jeong, Kye-Heon;Lee, Young-Seok;Shim, Yun-Bo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5 no.2
    • /
    • pp.81-92
    • /
    • 1999
  • The histochemical,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accessory glands of the digestive system of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under the LM, SEM, and TEM. The cellulase activity was shown in the epithelium of th digestive gland by labelling with the immunogold (protein-A gold) particles. The epithelial cells showing the cellulase activity were Type 1 and Type 3 cells out of five types of the epithelial cells of the digestive gland. None of epithelial cells of the mucus gland and the salivary gland and the salivary gland were not labeled with the immunogold particles.

  • PDF

Morphological Analyses of 15 Species of Bradybaenidae in Korea (한국산 달팽이과 15종의 외부형태 분석)

  • 이준상;권오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9 no.2
    • /
    • pp.44-56
    • /
    • 1993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xternal morphologies of 15 species of land snails in 8 genera of family Bradybaenidae in Ko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of 15 species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result of cluster analyses were in accord wit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The morphological intraspecific similarity of Nesiohelix samarangae of Mitan and Cheju population(S=0.999) proved to be highest. The degree of interspecific similarity between Aegista(Plectotropis)divesa and Aegista(plectotropis)quelpartensis(S=0.970)were more similar than the other interspecies.

  • PDF

Chromosomal Studies of Eight Species of Bradybaenidae in Korea (한국산 달팽이과 (Bradybaenidae) 8종의 염색채 연구)

  • 이준상;권오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9 no.2
    • /
    • pp.30-43
    • /
    • 1993
  • The number of chronosomes and karyotypes in eight species of the family Bradybaenidae were analyzed by air-drying method using gonad. The mitotic haploid chromosome numbers of Acusta despecta sieboldiana were 29 and conisisted of 12 pairs metacentric, 17 pairs submetacentric chromosomes. The mitotic haploid chromosomes were 29 and 11 pairs metacentric and 17 pairs submetacentric and 1 pair telocentric chromosomes in Koreanohadra kurodana; 29 and 10 pairs metacentric chromosomes in K. koreana' 29 and 10 pairs metacentric and 18 pairs submetacentric, and 1 pair acrocentric chromosomes in Karaftohelix adamsi; 28and 10 pairs metacentric, and 18 pairs submetacintric chromosomes in Aegista chosenica; 28 and 14 pairs metacentric and 14 pairs submetacentric chromosomes in A.(Plectotropis) diversa; 28 and 15 pairs metacentric, 10 pairs submetacentric and 3 pairs acrocentric chromosomes in A. (p.)quelpartinsis; 29 and 12 pairs metacentric and 9 pairs submetacentric and 2 pairs telocentric chromosomes in Nesiohelix samarangae.

  • PDF

Current Status of Genome Research in Phylum Mollusks (연체동물 유전체 연구현황)

  • Bang, In-Seok;Han, Yeon-Soo;Lee, Jun-Sang;Lee, Y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6 no.4
    • /
    • pp.317-326
    • /
    • 2010
  • The availability of fast and inexpensive sequencing technology has enabled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to conduct many genome sequencing and expressed sequence tag (EST) projects of diverse organisms. In recent years, whole genome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to sequence ten species from the phylum Mollusca. These include Aplysia californica, Lottia gigantea, Crassostrea virginica, Spisula solidissima, Mytilus californianus, Biomphalaria glabrata, Crepidula fornicata, Elysia chlorotica, Lottia scutum and Radix balthica. Additionally,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of 91 mollusk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EST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nine mollusk species that include Nesiohelix samarangae,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Physa acuta, Incilaria fruhstorferi, Meretrix lusoria, Ruditapes philippinarum, Nordotis gigantea, Crassostrea gigas and Laternula elliptica. Finally, the mitochondrial genome projects from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the rock shell (Thais clavigera)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However, no systemic mollusk genome project has so far been conducted in Korea. In this report,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s in mollusk genome study in Korea will b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