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Nesiohelix samarangae Based on Metallothionein Gene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의 metallothionein 유전자를 기초로 한 분자계통 분류학적 연구

  • Lee, Jun-Seo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Min, Byung-Jun (Lee Gil Ya Cancer and Diabetes Institut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ang, Se-Won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Lee, Jae-B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Baek, Moon-Ki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Hwang, Seung-You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Kim, So-Hee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Kho, Weong-Gyu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 Choi, Sang-Haeng (Genome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Chae, Sung-Hwa (Research Institute of GnC BIO Co., LTD.) ;
  • Park, Hong-Seog (Genome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Han, Yeon-Soo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Sang (Division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ne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Kye-Heon (Department of Life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 Lee, Yong-Seok (Department of Parasit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Malariology, PICR)
  • 이준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민병준 (가천의과대학교 이길여암당뇨연구소) ;
  • 강세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이재봉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백문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황승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김소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고원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 최상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연구센터) ;
  • 채성화 ((주)지앤시바이오 부설연구소) ;
  • 박홍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연구센터) ;
  • 한연수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부) ;
  • 이준상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정계헌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용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백인제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Numerous morphological studies on N. samarangae have been well conducted over the last ten years. In this context, we have attemtped to do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y using metallothionein (MT) gene from N. samarangae. To this end, we cloned the full length cDNA of MT from cDNA library of N. samarangae. The complete cDNA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ing project of N. samarangae, The coding region of 195 bp gives an amino acid sequence of 65 residues including methionine. There are 5' (61 bp) and 3' (48 bp) untranslated region at both ends of the Ns-MT cDNA sequence. The combined results from BLAST analyses,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nd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Ns-MT cDNA indicate that N. samarangae has similarity to land snails such as Helix pomatia, Helix aspersa and Arianta arbustorum.

동양달팽이의 metallothionein 유전자는 염기서열 195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6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연체동물의 metallothionein 서열의 공식인 C-x-C-x (3) -C-T-G-x (3) -C-x-C-x (3) -C-x-C-K에 맞춰본 결과 알려진 공식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미노산의 조성도 시스테인 (Cys) 이 30% 이상 함유하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LAST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72개의 참고 서열 중 아미노산 레벨에서 가장 높은 스코어로 align 되는 서열은 Helix pomatia의 CD-MT 서열이었다. Clustalx를 통해 multiple align 한 후 Neighbor-Joining method 방법에 따라 phylodendrogram을 그려본 결과 Helix pomatia, Helix aspersa, Arianta arbustorum, Megathura crenulata 등과 같은 복족류 육산패들과 같은 그룹으로 묶여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sipred 소프트웨어를 통해 2D 구조를 비교 분석 한 결과도 multiplealignment 및 phylodendrogram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ST를 통해 밝혀진 동양달팽이의 MT서열은 근연종들과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MT 서열이 분류에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