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rve: block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1초

Comparative evaluation of photobiomodulation therapy at 660 and 810 nm wavelengths on the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reversal in pediatric dentistry: an in-vivo study

  • Ankita Annu;Sujatha Paranna;Anil T. Patil;Sandhyarani B.;Adhithi Prakash;Renuka Rajesh Bhurke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4호
    • /
    • pp.229-236
    • /
    • 2023
  • Background: Local anesthesia has been reliably used to control pain during dental procedures and is important in pediatric dentistry. However, children occasionally complain of prolonged numbness after dental treatment, leading to several problems. Studies conducted to reverse the effect of local anesthesia using phentolamine mesylate and photobiomodulation therapy (PBM) are encouraging but limited. PBM is a type of light therapy that utilizes visible and near-infrared non-ionizing electromagnetic spectral light sources. Hence, this study used this modality to compare the reversal of local anesthesia at two different wavelengths.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PBM at 660 and 810 nm wavelengths on the reversal of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using a diode LASER in pediatric dentistry. Method: Informed consent and assent were obtained, and the participants were then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of 20 children each: control group-without LASER irradiation, LASER irradiation at 660 nm, and LASER irradiation at 810 nm. Sixty children aged 4-8 years with deciduous mandibular molars indicated for pulp therapy were administered a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fter 45 min of injection, a duration that was similar to the approximate duration of treatment, they were exposed to 660- and 810-nm LASER irradiation according to their groups until reversal of local anesthesia was achieved. The control group did not undergo LASER irradiation. The reversal of the soft tissue local anesthetic effect was evaluated using palpation and pin prick tests every 15 min, and the LASER irradiation cycle continued until reversal of the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was achieved. Results: A significant reduction of 55.5 min (27.6%) in the mean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reversal time was observed after the application of 810 nm wavelength PBM and 69 min (34.7%) after 660 nm wavelength LASER irradiation. Conclusion: PBM with a 660 nm wavelength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mean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reversal duration, and thus can be used as a reversal agent for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in pediatric dentistry.

The effect of perineural injection therapy on neuropathic pain: a retrospective study

  • Haekyu Kim;Hyae Jin Kim;Young-Hoon Jung;Wangseok Do;Eun-Jung Kim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47-56
    • /
    • 2024
  • Background: Among the various pain-related diseases that can be encountered at the clinic, there is a neuropathic pain that is difficult to treat. Numer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treat neuropathic pain, such as taking medication, nerve block with lidocaine, or neurolysis with alcohol or phenol. Recently, a method of perineural injection using dextrose instead of lidocaine was propos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rineural injection therapy (PIT) with buffered 5% dextrose or 0.5% lidocaine on neuropathic pai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 of pain clinic from August 1st, 2019 to December 31st, 2022 without any personal information.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diagnosed with postherpetic neuralgia (PHN), trigeminal neuralgia (T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or peripheral neuropathy (PN), and patients who had undergone PIT with buffered 5% dextrose (Dextrose group) or 0.5% lidocaine (Lidocaine group) for pain control. The data of patients, namely sex, age, and pain score (numerical rating scale, NRS) were collected before PIT. The data of NRS, side effects, and satisfaction grade (excellent, good, fair, or poor) were collected one week after each of the four PIT, and two weeks after the last PIT. Results: Overall, 112 subjects were enrolled. The Dextrose group included 89 and Lidocaine group included 23 patients. Because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Lidocaine group was too small to allow statistical analysis, the trend in Lidocaine group was just observed in each disease. There were no significant side effects except for a few bruise cases on the site of injection in all groups. The NRS in most Dextrose groups except CRPS were reduced significantly; however, the Lidocaine group showed a trend of pain reduction only in PHN. The Dextrose group except CRPS showed increased satisfaction two weeks after the final PIT. Conclusion: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IT with buffered 5% dextrose may have a good effect for neuropathic pain without any side effect except for patients with CRPS. This may offer a window into a new tool that practitioners can employ in their quest to help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다한증 환자에서 클립을 이용한 교감신경 교통가지 차단술 -사체 연구 및 임상적용-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ympathetic Ramus Clipping in Essential Hyperhidrosis -Cadaver Fitting Test and Clinical Application)

  • 이성호;조성준;정재승;김태식;손호성;선경;김광택;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95-601
    • /
    • 2003
  • 다한증 환자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흉강경 최소절개를 이용한 교감신경 차단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술 후 발생하는 보상성 다한증과 무한증이 수술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환자에게 적극적인 수술 적응을 하기가 어렵다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교감신경의 선택적인 교통가지 차단술을 시행하였으나 시술의 어려움과 혈관 손상으로 인한 출혈의 위험성으로 보편화되지 못하였다. 본원에서는 사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수술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포르말린 처리를 하기 전 사체 3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앙와위에서 전흉부를 모두 절제한 후 양측 흉부 교감신경을 노출시켰다. 교감신경의 분지와 교통가지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2번째와 3번째 교통가지에 클립을 이용한차단술을 시행하였다. 교통가지 차단술 후 교감신경절을 포함한 교감신경을 절제하여 교통가지의 차단 정도를 관찰하였다. 임상적용은 25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1세였다. 수술은 전신마취와 양측 페 환기를 하고 반 좌위 자세에서 시행하였다 4번째 늑간에 2 mm 흉강경을 삽입하였고 겨드랑이에 5 mm 트로카를 삽입하고 내시경용 클립을 이용하여 2번째와 3번째 교감 신경절 교통가지를 차단하였다. 수술 후 전화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합병증의 유무, 만족도,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사체 3구에서 모두 교감신경 교통가지의 차단을 완벽하게 시행할 수 있었다 임상환자에서 모두 수술로 증세의 호전이 있었으며 기존의 교통가지 절제술에 비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고 수술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모든 환자에서 호전되었으나 4명의 환자는 수술의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보상성 다한증은 15명의 환자(60%)에서 중증 이상으로 발생하였고 6명의 환자는 없거나 잘 느끼지 못하는 정도로 발생하였다. 미각다한증은 2명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나 정도는 심하지 않았다 걸론: 본 연구의 수술방법은 2개의 피부 절개와 하모닉 스칼펠, 클립을 사용하여 쉽게 교감신경의 교통가지를 차단할 수 있었고 교통가지 절제술에 비하여 수술시간 및 출혈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감신경 절제술에 비하여 비슷한 정도의 수술 성공률을 보이면서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나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어 우수한 수술 방법이라 생각한다.

개흉술 후 동통억제에 대한 신경차단법 및 환자자가 치료법의 비교연구 (The study of Intercostal Nerve Block an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ost-Thoracotomy Pain)

  • 김우종;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20-926
    • /
    • 1997
  • 개흉술후 동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술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인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으로 술후 괄목할만한 진통효과를 보았다. 총 30명의 후측방 개흉술 및 늑골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진통제의 근주를 시행한 환자 10명을 I 군으로, 경막외 신경차단을 시행한 환자 10명을 II군으로 그리고 환자 자가조절에 의한 지속적 정주 요법을 시행한 환자 10명 III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혈압,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가스 분석상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II군과 III 군이 I군보다 기침 및.심호흡을 현저하게 잘하였다. 술후 2시간 후의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의 회복률은 I군이 58.2$\pm$5.9%, II군이 77.9$\pm$ 11.7%, III군이 84.1 :5.8%로, III군은 II군보다, II군은 I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술후 2,8시간 후에 실시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의 회복률은 II군 및 III군 은 비슷하였으나, 각각 I군보다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 0.05). 수술후의 통증은 II, III군 이 I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술측 부위의 운동도 원할하였고, 진통제 투여량에서도 I군보 다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후 회복도 보다 용이 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약성 진통제의 지속적 정주요법 은 술후 폐기능 회복과 동통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경막외 신경차단법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수 술직후 2시간째의 폐기능 회복률에 있어서는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이 경막외 신경차단법 보다 다소 효과가 좋았다..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직형별 5년 생존율은 편평상피세포암이 43.1%, 선암이 23.3%, 거대세포암이 30.3%였다(p>0.05).치료법이며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icuspid valve pouch 19례), 우심실 유출로폐쇄(4례), 아급성심내막염(1례) 및 동반질환을 부가적인 수술적응으로 삼았다. 6. 수술후 관찰결과 사망률은 없었고, 잔존 심실중격결손증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경삼첨판륜 절개방법(TATV)은 삼침판맹낭을 가지고 있는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 (PMVSD) 수술시 좋은 방법이며, 또한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PMVSD)에서 수술시 시야를 좋게하고 수술후 삼첨판폐쇄부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량치가 뜻하는 의 미는 서로 달랐으며, 암조직내에서 대조조직내보다 CYFRA 21-1 치가 더 낮게 나온 것은 암세포내 에서는 세 포질 성분의 고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암세포의 활동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EGF-R은 세포벽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암세포의 증식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조조직보다는 암세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은 종양 증식과 암표지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것이 수술 결과를 좋게 하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료의 축적을 통한 신생대동맥근위부 확쏭 진행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하겠다.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