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al sepsi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The Optimal Time for Initiating Probiotics for Preterm and Very-Low-Birth-Weight Infants: A 10-Year Experience in a Sing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JeongHoon Park;Jae Young, Cho;Jung Sook Yeom;Jin Su Jun;Ji Sook Park;Eun Sil Park;Ji Hyun Seo;Jae Young Lim;Chan-Hoo Park;Hyang-Ok W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6권3호
    • /
    • pp.146-155
    • /
    • 2023
  • Purpose: The starting time for probiotic supplementation in preterm infants after birth varies wide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time for initiating probiotics to reduce adverse outcomes in preterm or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reterm infants born at a gestational age (GA) of <32 weeks or VLBW infants in 2011-2020 were reviewed respectively. The infants who received Saccharomyces boulardii probiotics within 7 days of birth were grouped into an early introduction (EI) group, and those who received supplemented probiotics after 7 days of birth were part of the late introduction (LI)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A total of 370 infants were included. The mean GA (29.1 weeks vs. 31.2 weeks, p<0.001) and birth weight (1,235.9 g vs. 1491.4 g, p<0.001) were lower in the LI group (n=223) than in the EI group. The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s affecting the LI of probiotics were GA at birth (odds ratio [OR], 1.52; p<0.001) and the enteral nutrition start day (OR, 1.47; p<0.001). The late probiotic introduction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late-onset sepsis (OR, 2.85; p=0.020), delayed full enteral nutrition (OR, 5.44; p<0.001), and ex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OR, 1.67; p=0.033) on multivariate analyses after adjusting for GA. Conclusion: Earl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within a week after birth may reduce adverse outcomes among preterm or VLBW infants.

Molecular Epidemiologic Study of 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utbreak at a Newborn Nursery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Kang, Hyun Mi;Park, Ki Cheol;Lee, Kyung-Yil;Park, Joonhong;Park, Sun Hee;Lee, Dong-Gun;Kim, Jong-H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3호
    • /
    • pp.148-160
    • /
    • 2019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유행에서 환자와 보균자에서 분리된 MRSA의 분자역학적 연관성을 조사하여 유행의 감염원과 전파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MRSA 유행기간인 2017년 8월부터 9월까지 피부감염 및 패혈증 환자들과 보균자로부터 분리된 MRSA 균주를 대상으로 유전형 및 병원성 인자를 분석하고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신생아실(n=27)과 신생아 중환자실(n=14)에 총 41명의 신생아들이 입원하였다. 그 중, 7명(피부감염[n=6], 패혈증[n=1])에서 MRSA 감염이 확진되었고, 보균자 4명이 발견되었다. 신생아와 접촉이 있는 의료진 32명 중 3명이 MRSA를 비강에 보균하였다. 피부감염 유행 원인 균주는 Staphylococcal chromosomal cassette mec (SCCmec) type II, sequence type (ST) 89, spa type t375였고, 뮤피로신 저농도 내성을 포함하여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였다. 패혈증을 일으킨 균주는 SCCmec type IVa, ST 72, 새로운 spa type인 t17879였다. 신생아 4명에게 집락된 MRSA 균주들은 다양하였으나 SCCmec type IVa, ST 72, spa type t664가 의료진과 신생아 2명에서 공통적으로 분리되었다.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toxin 유전자가 신생아에게 집락된 모든 균주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피부감염 유행을 일으킨 MRSA 균주는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이는 균주였다. 신생아 MRSA 보균자에게서 분리된 균주는 모두 PVL 독소 유전자를 보유하였다. 유행기간 동안 다양한 MRSA 균주가 신생아들에게서 분리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감염 관리 및 추가 환자발생의 차단을 위하여 분자역학조사를 통하여 원인균을 확인하고 전파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관련 폐렴의 임상양상과 기관내 삽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linical Manifestations, Ddiagnostic Availability of Endotracheal Tip Culture)

  • 김남영;성태정;신선희;김성구;이건희;윤혜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67-74
    • /
    • 2005
  • 목 적 : 최근 신생아학의 발달과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달로 기관내 삽관 후 인공 환기요법 치료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호흡곤란증이 있는 신생아의 사망률은 감소된 반면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병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에서 VAP의 발생빈도와 위험요인 및 주된 균주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까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입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VAP의 진단은 기관내 삽관 당시에는 폐렴이 보이지 않으나 기관내 삽관 후 최소 48시간 경과 후 흉부 방사선상 새롭게 침윤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상기 조건에 만족하는 환아 13명을 VAP군으로, 만족하지 않는 환아 37명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했던 환아 50명 중 VAP의 발생빈도는 26.0%(13명)였다. 동맥관 개존증과 뇌실내 출혈이 VAP 발생과 연관이 있었고 재태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및 호흡곤란 증후군,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패혈증, 급성 신부전, 폐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등과는 연관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균주가 동정되었는데 MR-CNS 4례(33.3%), E. cloacae 3례(25.0%), P. aeruginosa 2례(16.7%), MRSA 1례(8.3%), Acinetobacter baumanii 1례(8.3%), K. pneumoniae 1례(8.3%)로 MR-CNS가 가장 많았다. 결 론 : 본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치료 후 발생한 폐렴의 빈도는 26.0%이며 MR-CNS가 가장 많이 배양되였다. 기관삽관 말단의 배양은 VAP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적절치 않을 수 있으나 신생아에게 필요한 침습적이지 않고 정확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Analysis of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amo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Single Center Study

  • Kim, Minhye;Choi, Sujin;Jung, Young Hwa;Choi, Chang Won;Shin, Myoung-jin;Kim, Eu Suk;Lee, Hyunju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33-143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을 확인하고, 이러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원인균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신생아중환자실 내 혈류감염 예방 및 치료 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결과: 5년의 연구 기간동안 총 45명의 환자에게서 53례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확인되었고, 18,622 카테터-일 동안 발생률은 1,000 카테터-일 당 2.85건이었다. 가장 흔한 중심정맥관 종류는 말초 혈관 삽입형 중심정맥관이었다. 총 57균주가 분리되었고, 이 중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7.9% (n=33), 36.8% (n=21), 5.3% (n=3)이었다. 가장 흔한 균은 Staphylococcus aureus (n=12, 21%) 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n=12, 21%)였고, 그 다음으로는 Klebsiella aerogenes (n=8, 14%)였다. 균혈증 평균 지속시간은 2일이었고, 19건에서는 3일 이상 균혈증이 지속되었다. 균혈증 발생으로부터 14일 이내에 사망한 사례는 총 6건(13.3%)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 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의 발생률과 원인균 분포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경험적 항생제 사용 지침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감염예방 지침 실행의 필요성 및 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Risk Factors and Effects of Severe Late-Onset Hyponatremia on Long-Term Growth of Prematurely Born Infants

  • Park, Ji Sook;Jeong, Seul-Ah;Cho, Jae Young;Seo, Ji-Hyun;Lim, Jae Young;Woo, Hyang Ok;Youn, Hee-Shang;Park, Chan-H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5호
    • /
    • pp.472-483
    • /
    • 2020
  • Purpose: Sodium is an essential nutritional electrolyte that affects growth. A low serum sodium concentration in healthy premature infants beyond 2 weeks of life is called late-onset hyponatremia (LOH). Her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LOH severity and growth outcomes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born at ≤32 weeks of gestation were reviewed. LOH was defined as a serum sodium level <135 mEq/L regardless of sodium replacement after 14 days of life.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30 mEq/L (severe) and ≥130 mEq/L (mild).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02 premature infants with LOH were included. Gestational age ([GA] 27.7 vs. 29.5 weeks, p<0.001) and birth weight (1.04 vs. 1.34 kg, 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vere group. GA was a risk factor of severe LOH (odds ratio [OR], 1.328, p=0.022), and severe LOH affected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2.950, p=0.039) and led to a poor developmental outcome (OR, 9.339, p=0.049). Growth parameters at birth were lower in the severe group, and a lower GA and sepsis negatively affected changes in growth for 3 years after adjustment for time. However, severe LOH was not related to growth changes in premature infants. Conclusion: Severe LO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developmental outcomes. However, LOH severity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premature infants beyond the neonatal period.

산모의 모유를 통하여 감염된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an extremely premature infant transmitted via breast milk: A case report)

  • 김지혜;정은진;박현경;문수지;최수미;오성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53-1058
    • /
    • 2009
  • 거대세포바이러스(CMV)는 신생아에서 가장 흔한 선천성 감염의 원인 중 하나이며, 모든 정상 출산아 중 약 0.3-2.4%에서 감염되어 있다. 혈청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양성인 모체 중 40-96%에서 모유를 통한 바이러스의 배출이 증명되었으며, 거대세포바이러스에 감염된 모유를 통한 감염은 전체 영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약 1/3을 차지한다. 본 증례에서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모유를 통하여 발생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기술하였다. 환아는 생후 7일 경부터 모유 수유를 하였으며, 심한 혈소판감소증, 빈혈, 그리고 패혈증과 유사한 임상 양상에 대하여 반복되는 혈소판 수혈, 적혈구 수혈, 면역 글로불린 요법을 시행받았다.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생후 2개월 경 혈청 CMV IgM 양성 및 소변 CMV 배양 검사 양성 소견을 통하여 진단하였다. 출생 당시 혈청 CMV IgM 및 소변 CMV 배양 검사가 음성이었으므로 선천성 감염은 배제할 수 있었다. 환아의 혈청과 모유의 핵산 배열 순서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임을 증명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nucleotide sequencing 방법을 이용, 모유 수유를 통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Surgical Ligation on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Ligations

  • Lee, Jun Ho;Ro, Sun Kyun;Lee, Hyun Ju;Park, Hyun Kyung;Chung, Won-Sang;Kim, Young Hak;Kang, Jeong Ho;Kim, Hyuc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44-450
    • /
    • 2014
  • Background: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early surgical ligation (within 15 days of age) over late surgical ligation (after 15 days of age)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undergoing surgical correction for symptomatic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over the course of 6 years in our hospital.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the medical record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rom March 2007 to May 2013, to identify VLBW infants (<1,500 g) who underwent surgical PDA ligation. Results: The gestational age (GA) in the late ligation (LL)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than in the early ligation (EL) group (p=0.010). The other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preoperative condi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tubation period before surgery (p<0.001) and the age at surgery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of the study patients, including major morbidity and mortality, are summari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onchopulmonary dysplasia, sepsis, or mortality between the EL and the LL groups. However, the LL gro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p=0.037) and with a prolonged duration of the total parenteral nutrition (p=0.046) after adjusting for GA. Conclusion: Early surgical ligation for the treatment of PDA that failed to close after medical treatment or in cases contraindicated for medical treatment might be desira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to alleviate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인민역 글로불린 제재를 투여받은 환아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 항체(anti-HCV) 검출의 의의 (Meaning of Anti Hepatitis C Virus Antibody Dete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

  • 이명균;이영환;신손문;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306-312
    • /
    • 1993
  • IVIG 제재 투여시 HCV 전파 여부와 anti-HCV 검사의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IVIG를 투여 받았던 36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례에서 IVIG 투여 후 1주일에 anti-HCV 양성을 보였으나 3개월 후까지 양성이었던 경우는 8례이었다. 이들에 대한 PCR검사를 실시한 결과 한 례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는 않았다. 이것으로 보아 anti-HCV 양성 반응은 단순한 항체의 전이로 생각되며 HCV의 전파로 인한 감염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IVIG 투여 후 HCV 감염의 례가 보고되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시기에 제조된 IVIG 제품으로 장기간 조사해 보지 않았으므로 IVIG 제재의 제조 과정에서의 HCV 불활성화가 완전하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리고 IVIG 제작을 위한 공혈자의 HCV screening은 철저하게 해야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IVIG 제재 투여시 약제의 Lot No.를 기록하여 문제점의 발생을 신중히 살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된다.

  • PDF

A novel PRF1 gene mutation in a fatal neonate case with type 2 familial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 Kim, Jae Yeon;Shin, Jeong Hee;Sung, Se In;Kim, Jin Kyu;Jung, Ji Mi;Ahn, So Yoon;Kim, Eun Sun;Seo, Ja-Young;Kang, Eun-Sook;Kim, Sun-Hee;Kim, Hee-Jin;Chang, Yun Sil;Park, Won S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1호
    • /
    • pp.50-53
    • /
    • 2014
  •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HLH) occurs in the primary form (genetic or familial) or secondary form (acquired). The familial form of HLH (FHL) is a potentially fatal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that occurs because of constitutional defects in cell-mediated cytotoxicity. Here, we report a fatal neonatal case of type 2 FHL (FHL2) that involved a novel frameshift mutation. Clinically, the newborn presented with severe sepsis-like features and required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tinuous venovenous hemodiafiltration.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marked HLH and complete absence of intracytoplasmic perforin expression in cytotoxic cells; therefore, we performed molecular genetic analyses for PRF1 mutations, which showed that the patient had a compound heterozygous mutation in PRF1, that is, c.65delC ($p.Pro22Argfs^*2$) and c.1090_1091delCT ($p.Leu364Glufs^*93$). Clinical and genetic assessments for FHL are required for neonates with refractory fever and progressive multiple organ failure, particularly when there is no evidence of microbiological or metabolic cause.

7-dehydrocholesterol reductase (DHCR7) 변이로 진단된 Smith-Lemli-Opitz 증후군 1예 (A case of Smith-Lemli-Opitz syndrome diagnosed by identification of mutations in the 7-dehydrocholesterol reductase (DHCR7) gene)

  • 박미림;고정민;전종근;김구환;유한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236-1240
    • /
    • 2008
  • Smith-Lemli-Opitz 증후군은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의 장애로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드문 질환으로 다양한 기형을 동반한다. 이는 DHCR7 유전자 변이로 인한 활성도 저하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7DHC, 8DHC의 증가 및 체내 콜레스테롤의 감소에 따른 임상상을 특징으로 한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SLO 증후군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진단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