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al infection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4초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감염 진단에서 효소면역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과의 비교 (Comparison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ith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Identification of Rotavirus in Neonates)

  • 김성은;김미옥;박선영;정원조;마상혁;김윤정;김선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113-119
    • /
    • 2000
  • Purpose : Rotavirus is a most common etiologic agent of pediatric gastroenteritis. The standard method to diagnose rotavirus infection was the detection of viral particles in specimens through electron microscopy. But it was complex. Enzyme immunoassay and latex agglutinin are preferred because they are relatively handy, inexpensive and take a short time, in comparison with electron microscopy. However, several reports have shown that the use of ELISA to diagnose rotavirus infection in neonates can result in false positive reac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LISA and RT-PCR in the diagnosis of neonatal rotavirus infection. Methods :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orm 123 newborn babies in the nursery of the Fatima Hospital, Masan, Korea, form Jury to December, 1997. We obtained two samples of stool from each of the newborn babies and then performed the Rotazyme test and the RT-PCR. In the Rotazyme test,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ccording to visual findings. The samples were used for the RT-PCR test after at stock $-30^{\circ}C$ to identify rotavirus group A. The result of the two tests were compared. Results : The informations are divided into 73 males and females. Out of the total informations 15 were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s. Their average gestational age was $38.5{\pm}1.6$ weeks. The average birth weight was $3134.8{\pm}539gm$. In the Rotazyme test, 75 samples turned out to be positive. Out of them, 55 samples(75.3%) were positive and 18 samples(24.7%) were negative in the RT-PCR. On the other hand, in the Rotazyme test, 50 samples turned out be negative. Out of them, 27 samples(54%) were positive and 23 samples(46%) were negative in the RT-PCR. Conclusion : Rotavirus infection in uncommon in neonates. The diagnosis based on visual findings using Rotazyme test has a disadvantage in the sense that it can result in false positive reactions and false negative reactions in the diagnosis of neonatal rotavirus infection.

  • PDF

Prognostic Factors of Neonatal Sepsis Mortality in Developing Country

  • Iffa Ahsanur Rasyida;Danny Chandra Pratama;Fatia Murni Chamid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1호
    • /
    • pp.12-19
    • /
    • 2023
  • 목적: 패혈증은 개발도상국에서 연간 사망률의 30-50%를 차지하는 신생아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본 연구는 신생아 패혈증 사망률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21년 4월부터 2021년 9월까지 R. Sosodoro Djatikoesoemo 주지사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패혈증을 진단받은 121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패혈증을 진단받은 생후 0-28일된신생아였다. 임상 기록이 불완전한 경우와 선천적 기형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성별, 재태주령, 분만방식, 출생체중, APGAR 점수, 출생지, 혈액배양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고 백혈구, 림프구, 호중구, 혈소판, C반응단백 (C-reactive protein, CRP) 및 체류 기간에 대하여서는 정규성 검정을 한 후 Mann-Whitney 테스트로 분석하였다. 결과: 출생체중 (P=0.038), 임신주수 (P=0.009), 혈액배양 (P=0.014)은 신생아 패혈증 결과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Mann-Whitney 검사는 혈소판 (P=0.018), CRP (P=0.002) 및 재원기간 (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 신생아 패혈증 사망률과 관련된 세 가지 예후 인자는 미숙아 (오즈비 [odds ratio, OR], 3.906; 95%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CI], 1.344-11.356; P=0.012), 저체중 출생 (OR, 2.833; 95% CI, 1.030-7.790; P=0.044), 그람 음성 박테리아 (OR, 4.821; 95% CI, 1.018-22.842; P=0.04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숙아, 저체중아, 그람 음성균 감염이 신생아 패혈증의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Evaluation of the role of ischemia modified albumin in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 Talat, Mohamed A.;Saleh, Rabab M.;Shehab, Mohammed M.;Khalifa, Naglaa A.;Sakr, Maha Mahmoud Hamed;Elmesalamy, Walaa M.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8호
    • /
    • pp.329-334
    • /
    • 2020
  • Background: Birth asphyxia is a leading cause of neonatal mortality. Ischemia-modified albumin (IMA) levels may have a predictive role in the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hypoxic disorders, as they increase in cases of ischemia of the liver, heart, brain, bowel, and kidne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value of IMA levels as a diagnostic marker for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Methods: Sixty newborns who fulfilled 3 or more of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riteria and developed HIE as defined by Levene staging were included in our study as the asphyxia group. Neonates with congenital malformation, systemic infect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low-birth weight, cardiac or hemolytic disease, family history of neurological diseases, congenital or perinatal infections, preeclampsia, diabetes, and renal diseas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Sixty healthy neonates matched for gestational age and with no maternal history of illness, established respiration at birth, and an Apgar score ≥7 at 1 and 5 minutes were included as the control group. IMA was determined by double-antibod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f a cord blood sample collected within 30 minutes after birth. Results: Cord blood IMA levels were higher in asphyxiated newborns than in controls (250.83±36.07 pmol/mL vs. 120.24±38.9 pmol/mL). Comparison of IMA levels by HIE stage reveal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207.3±26.65, 259.28±11.68, 294.99±4.41 pmol/mL for mild, moderate, and severe, respectively). At a cutoff of 197.6 pmol/mL, the sensitivity was 84.5%, specificity was 86%,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82.8%,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8.3%, and area under the curve was 0.963 (P<0.001). Conclusion: IMA levels can be a reliable marker for the early diagnosis of neonatal HIE and can be a predictor of injury severity.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in an Infant with Neonatal Hemochromatosis

  • Choi, Shin Jie;Choi, Jong Sub;Chun, Peter;Yoo, Jung Kyung;Moon, Jin Soo;Ko, Jae Sung;Kim, Woo Sun;Kang, Gyeong Hoon;Yi, Nam-Joo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2호
    • /
    • pp.147-151
    • /
    • 2016
  • Neonatal hemochromatosis (NH) is a severe neonatal liver injury that is confirmed by extra-hepatic iron accumulation. Although a recent study described treating NH with exchange transfusions and intravenous immunoglobulin, liver 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with severe liver failure that does not respond to other medical treatment.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 two-month-old female infant who presented with persistent ascites and hyperbilirubinemia. Her laboratory findings demonstrated severe coagulopathy, high indirect and direct bilirubin levels, and high ferritin levels. Abdom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esented low signal intensity in the liver on T2-weighted images, suggesting iron deposition. The infant was diagnosed with NH as a result of the clinical findings and after congenital infection and metabolic diseases were excluded. The infa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ption for NH in infants.

신생아황달 환아에서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에 관한 연구 (Carriage Rate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with Neonatal Jaundice)

  • 나동천;서재민;이정현;이원욱;김은령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43-153
    • /
    • 2011
  • 목 적 :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은 신생아에서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고,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은 곧 그 균주에 의한 감염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황달로 입원한 환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과 MRSA의 보균율을 조사하였고, 신생아황달의 대부분이 모유황달이나 생리적황달임을 감안하여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한 신생아의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율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성애병원과 광명성애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황달로 입원한 환아 5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첫날 멸균된 면봉으로 비강과 서혜부를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세균배양을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하고 다시 항생제감수성 검사를 통해 메티실린내성 여부를 판정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총 545명의 환아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중 318명의 비강과 서혜부에서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보균율은 58.3%였고 214명의 환아에서는 MRSA가 분리되어 MRSA 보균율은39.3%였다. 또한 분리된 MRSA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을 때, CA-MRSA로 추정되는 균주는 65.7% (142/216), HA-MRSA로 추정되는 균주는 34.3% (74/216)였다. 결 론: 39.3%의 MRSA 보균율로 미루어볼 때, 외부에서 전원되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MRSA 감시배양검사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MRSA 균주 중 CA-MRSA 가능성 균주가 65.7%로 높게 나와 이미 지역내산부인과 및 분만실 등에 CA-MRSA 균주가 정착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정기적인 MRSA 감시배양검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경험한 10년간의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 변화 (Causative Agents and Antimicrobial Sensitivity of Neonatal Sepsis : Ten-year Experience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박혜원;임진아;구소은;이병섭;김기수;피수영;김애란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72-181
    • /
    • 2009
  • 목 적 : 신생아 사망 및 이환의주요 원인인 패혈증의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항생제의 선택은 항생제 내성을 줄이고 다약제 내성 균주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저자들은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경험한 신생아 패혈증 빈도와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 변화를 지난 10년간에 걸쳐 조사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 혈액 배양 검사상 균이 동정되었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1998년부터 2002년까지를 전반기, 2003년부터 2007년까지를 후반기로 구분하여 각 발생 시기에 따른 패혈증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315명의 환아가 총 350례의 패혈증을 경험하였으며, 조기 패혈증의 원인균으로는 전반기는 S. epidermidis, S.aureus, P. aeruginosa, Enterobacter cloacae, 후반기에는 S. epidermidis, E. cloacae가 흔하게 검출되었다. 후기 패혈증의 경우는 전반기에는 coagulase negative S. epidermidis, S. aureus, K. pneumoniae가 전반기와 후반기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배양되었다. 다약제 내성균에 의한 패혈증은 엄격한 감염관리를 시행한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람 양성균의 경우 penicillin, ampicillin, 그리고 cefotaxime에 대해 전후반기 모두에서 0-20%의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그람 음성균의 경우는 Enterobacter spp의 amikacin에 대한 감수성이 전반기(15.8%)에 비해 후반기(37.5%)에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P. aeruginosa는 amikacin에 대해 전반기 33.3%에서 후반기 20%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 P. aeruginosa를 제외한 그람 음성균은 cefotaxime에 대해 50-60% 정도의 항생제 감수성을 보였다. P. aeruginosa를 제외한 그람 음성균의 경우 imipenem과 ciprofloxacin에 대해 8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지난 10년간의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경험적 항생제 사용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는 엄격한 감염관리를 통해 다약제 내성균에 의한 패혈증 및 전체 신생아 패혈증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신생아 패혈증의 발생과 감염에 의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항생제 선택과 더불어 지속적인 감염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erinatal Varicella Infection 1례 (A Case of Perinatal Varicella Infection)

  • 노정아;노영일;김은영;박상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0호
    • /
    • pp.1047-1050
    • /
    • 2003
  • 저자들은 분만 10일 전 herpes zoster 진단받은 산모에서 출생한 환아에서 피부 병변 없이 신경학적 이상 증세만을 보이는 perinatal varicella infection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신생아 중환자실의 원내 감염 추이 (Nosocomial Infectio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권혜정;김소연;조창이;최영륜;신종희;서순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19-726
    • /
    • 2002
  • 목 적: 신생아 집중 치료술의 발달로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적극적인 침습적 시술의 증가로 신생아 사망과 이환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신생아 감염의 발생은 오히려 높아졌다.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원내 감염의 분포 양상, 원인균, 발생 빈도 및 변화 양상 등 5년간의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혈액, 피부, 기관내 튜우브, 카테테르, 눈, 소변, 대변, 뇌 척수액에서 시행한 균 배양 검사 상 양성으로 나온 환아들 중 선천성 감염을 제외하고 임상 증상으로 원내 감염이 의심되었던 환아들에서 원내 감염의 분포 양상과 원인균 및 혈중 감염의 빈도, 원인균, 사망률 추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5년 동안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의 원내 감염률은 입원 환아 100명당 9.0례이었고, 감염소로는 혈중 감염이 32.3%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18.4%), 기관내 튜우브(17.2%), 카테테르(10.6%), 눈(10.0%), 소변(6.1%), 대변(3.0%), 뇌 척수액(2.4%) 순이었다. 원인균은 S. aureus가 29.9%로 가장 많았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ONS), Enterobacter,Candida 순이었다. 감염소별 원인균은 혈중과 카테테르는 S. aureus와 CONS, 피부와 눈은 S. aureus, 기관내 튜우브는 Enterobacter, 소변은 Candida와 enterococci, 그리고 대변은 Pseudomonas와 S. aureus가 흔하였고, 다병소 감염율은 26.1%이었다. 원내 감염률은 입원 환아 100명당 1995년 9.5례에서 1999년 11.6례로 증가하였으며, 원인균으로 S. aureus 는 감소하고 CONS, Candida, Klebsiella, Acinetobacter baumannii는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동기간 동안 혈중 감염률은 입원 환아 100명당 3.6례였으며, CONS와 S. aureus가 가장 많았다. 혈중 감염률은 입원 환아 100명당 1995년 2.1례에서 1999년 5.2례로 증가하였는데 원인균으로 S. aureus는 감소하고 CONS, Candida, Klebsiella, Acinetobacter baumannii는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고, 패혈증에 의한 사망률은 11.9%이었다. 결 론 : 신생아 원내 감염의 가장 흔한 감염소는 혈중 감염이고 원인균으로는 S. aureus가 가장 흔하며, CONS, Candida, Klebsiella, Acinetobacter baumannii에 의한 감염은 증가하는 추이이므로,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reast Milk-Transmitted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Preterm Infants

  • Gang, Mi Hyeon;Chang, Mea-you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58-6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rate of cytomegalovirus (CMV) virolactia, and the prevalence of breast milk (BM)-transmitted postnatal CMV infection among premature infants after freeze-thawing (FT) and Holder pasteurization (HP) of breast milk. Methods: This i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312 infants born at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 or with a birth weight less than 1,500 g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7. All infants were screened for CMV-specific immunoglobulin (Ig) G and IgM at birth. Initial CMV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CMV culture were performed on mothers' BM and babies' urine within the first 21 days of life. FT and HP of BM was used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MV. For the surveillance of postnatal CMV infection, CMV culture and CMV specific PCR of urine from babies were repeated one to two months after the initial screening. Screening for viremia and viruria was performed if postnatal CMV infection was suspected. Results: Among 178 BM samples obtained from mothers of CMV-IgG-seropositive infants, 80 (44.9%) were CMV PCR positive. CMV deoxyribonucleic acid (DNA) was detected in five of the 22 BM samples (22.7%) obtained from the mothers of CMV-IgG seronegative infants. When CMV DNA load in BM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HP, various results were shown. Sixty-three infants out of 232 (27.2%) were evaluated for postnatal CMV infection and four infants out of 63 (6.3%) were infected. Conclusion: Interventions to prevent BM-transmitted CMV infection can reduce the chance of postnatal CMV infection, but not completely eliminate it.

단일기관에서의 소아 세균성 수막염 원인균 분포 (1996~2005) (The Causative Organisms of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1996 to 2005)

  • 이택진;전진경;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24-129
    • /
    • 2006
  • 목 적 :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단일기관에서 발생한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의 연령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세균성 수막염이나 신생아 수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아들 중 뇌척수액 배양검사 및 라텍스응집반응검사에서 원인균이 확인된 증례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원인균이 확인된 46례 중 신생아 수막염은 미숙아 4례를 포함하여 27례였고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은 19례였다. 신생아 수막염 환아 중 원인균이 혈액배양검사에서도 동정된 경우는 모두 15례(55.6%)였다. 신생아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B군 연쇄상 구균이었다(44.4%). 또한 B군 연쇄상 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75.0%가 지발형 감염이었다.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 환아들의 84.2%가 5세 미만에서 발생하여, 이들의 연령 중앙값은 23개월이었다.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균으로는 폐구균 8례(42.1%), 인플루엔자균 8례, 수막구균 3례 등이 있었으며, 이 중 인플루엔자균는 2001년 이후 최근 5년간 검출되지 않았다. 결 론 : 신생아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B군 연쇄상 구균이고 신생아기 이후에는 폐구균과 인플루엔자균이 세균성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이 중 단백결합 백신의 도입으로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세균성 수막염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