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al infection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4초

Delta neutrophil index as a predictor of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Kim, Jae Eun;Oh, Jun Suk;Yoon, Jung Min;Ko, Kyung Ok;Cheon, Eun Jung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46-51
    • /
    • 2022
  • Purpose: Delta neutrophil index (DNI) indicates immature granulocytes in peripheral blood and has been confirmed to be effective as a prognostic factor for neonatal sepsis. Also, it has been reported to have diagnostic value in acute pyelonephritis and in predicting vesicoureteral reflux (VUR) in the infant. We conducted the study to verify whether DNI is also helpful in the entire pediatric age group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Methods: Medical records of children hospitalized for febrile UT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subjects underwent kidney ultrasound and voiding cystourethrography. In the group with and without VUR, we compared sex and age, and the following laboratory values: the white blood cell count, neutrophil, polymorphonuclear leucocyte, eosinophil, hemoglobin, platelet count, C-reactive protein, DNI value, and the finding of ultrasound. Results: A total of 315 patients (163 males and 152 females; range, 0-127 months) were eligible, and 41 patients (13%) had VUR.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white blood cell count, neutrophil, DNI, and ultrasonic abnormalities were high in the reflux group, and the hemoglobin and lymphocyte fraction values were low. The value of DNI and the abnormal ultrasou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flux group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area under the curve value of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was higher in DNI (0.640; 95% confidence interval, 0.536-0.744; P=0.004), and the DNI cutoff value for VUR prediction was 1.85%. Conclusions: We identified that ultrasound findings and DNI values were helpful predictors of VUR in pediatric febrile UTIs.

IL-17A Secreted by Th17 Cells Is Essential for the Host against Streptococcus agalactiae Infections

  • Chen, Jing;Yang, Siyu;Li, Wanyu;Yu, Wei;Fan, Zhaowei;Wang, Mengyao;Feng, Zhenyue;Tong, Chunyu;Song, Baifen;Ma, Jinzhu;Cui, Yu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667-675
    • /
    • 2021
  • Streptococcus agalactiae is an important bacterial pathogen and causative agent of diseases including neonatal sepsis and meningitis, as well as infections in healthy adults and pregnant women. Although antibiotic treatments effectively relieve symptoms, the emergence and transmission of multidrug-resistant strains indicate the need for an effective immunotherapy. Effector T helper (Th) 17 cells are a relatively newly discovered subpopulation of helper CD4+ T lymphocytes, and which, by expressing interleukin (IL)-17A, play crucial roles in host defenses against a variety of pathogens, including bacteria and viruses. However, whether S. agalactiae infection can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CD4+ T cells into Th17 cells, and whether IL-17A can play an effective role against S. agalactiae infections, are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CD4+ T cells and their defensive effects after S. agalactiae inf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 agalactiae infection induces not only the formation of Th1 cells expressing interferon (IFN)-γ, but also the differentiation of mouse splenic CD4+ T cells into Th17 cells, which highly express IL-17A. In addition, the bacterial load of S. agalactia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ecreased in organs as determined by antibody neutralization and IL-17A addition experim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confirmed that IL-17A is required by the host to defend against S. agalactiae and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ly eliminating S. agalactiae. Our findings therefore prompt us to adopt effective methods to regulate the expression of IL-17A as a potent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 agalactiae infection.

Effective Ways of Performing Surveillance Surface Culture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Lee, Ju-Young;Kim, Ee-Kyung;Lee, Jin-A;Choi, Chang-Won;Kim, Han-Suk;Kim, Beyong-Il;Choi, Jung-Hwan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40-247
    • /
    • 2011
  • 목적: 미숙아에서 피부상재균 배양 검사를 하는 것은 세균의 집락화가 침습성 감염에 선행되며 이런 집락화된 세균을 알고있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전신 감염의 원인균을 예측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시행하고 있는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4년 동안 113명에게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시행한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를 분석하였다.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는 겨드랑이, 외이도, 비강, 인후(삽관한 경우 기관흡입액), 항문, 이렇게 다섯 군데에서 일주일에 한번씩 총 4주간 시행하였다. 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패혈증 당시의 혈액균 배양 검사와 이전 13일 동안 시행되었던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를 각각 비교하여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을 계산하였다. 총 1,894쌍이 비교되었고,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와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은 각 배양 장소와 배양된 균, 그리고 양성 혈액 배양 검사와의 시간 간격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는 45.9%, 특이도는 22.4%, 양성예측률은 6.8%였다. 양성예측률은 인후/기관의 배양 검사에서 11.0%로 가장 높았고, 항문 배양 검사에서 2.3%로 가장 낮았다.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 모두 패혈증 시점과 가까워질수록 혈액 배양 검사와의 관련성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재균 배양 검사의 장소에 따른 분석에서는 겨드랑이와 인후/기관의 배양 검사만이 패혈증 원인균의 예측에 유용하였고, 비강과 외이도 및 항문의 배양 검사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결론: 상재균의 감시 배양 검사는 패혈증 원인균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염 감시 검사를 현재의 다섯군데에서 겨드랑이와 인후/기관, 두 군데로 줄여서 지속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에서 알코올 솜 및 포비돈 솜의 피부 소독효과 비교 (Effects of Cotton Balls of Alcohol and Povidone for Disinfectoin of Skin in Newborns)

  • 박규창;김창렬;김은아;오재원;염명걸;오성희;문수지;강정옥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1호
    • /
    • pp.116-122
    • /
    • 1999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에 대한 치료법이 급속도로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감염은 여전히 큰 문제이다. 특히 정맥천자나 여러 침습적 처치가 많은 신생아 중환자에서 이를 통해 피부 상주균에 의한 패혈증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술상의 문제로 야기될 수 있지만 처치 전 소독제의 소독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병원에서 희석하여 사용하고 있는 알코올 솜은 공기중에 자주 노출되어 알코올 성분이 증발되기 쉬워 소독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포비돈 소독제가 알코올 소독제보다 소독력이 좋은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 연구를 시행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및 신생아중 정맥 수액요법이 필요하였던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정맥 천자가 주로 시행되는 부위의 피부에서 멸균된 면봉으로 멸균 생리 식염수를 묻혀 피부를 문질러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고 피부가 마른 후 무작위로 알코올군은 병원에서 희석하여 만든 70% 알코올 솜으로 닦고 마른 후 같은 방법으로 피부를 닦아 배양검사를 하였고(20례), 포비돈군은 10% 포비돈(1% iodine) 솜으로 닦고 마른 후 70% 알코올 솜으로 다시 닦아 마른 후 피부 배양검사를 하였다(20례).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 솜으로 닦은 후 배양검사를 하였다(10례). 결 과 : 소독 전 알코올 군과 포비돈군 각각 20례중 9례에서 균이 자랐고, 대조군은 10례중 8례에서 균이 검출되었다. 소독후 알코올 군은 3례, 포비돈군 2례, 대조군은 8례에서 균이 계속 자라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87). 포비돈군의 소독효과는 알코올군과 비슷하였고, 대조군보다는 높았지만(p=0.0156), 알코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포비돈 솜의 소독효과는 알코올 솜과 비슷하였지만, 생리식염수 솜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알코올 솜의 소독효과는 생리식염수 솜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병원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의 순도, 알코올 솜의 정도관리, 소독방법 등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를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 집단 보균 발생의 분자 역학적 조사 및 추적관찰 (Molecular-epidemiologic study on outbreak of colonization by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전누리;김미나;정재심;김양수;김애란;김기수;피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50-156
    • /
    • 2006
  • 목 적 : 2000년 6월과 7월에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ESBL 생성 K. pneumoniae에 의한 패혈증이 집단 발생하여 전체 환아에 대한 보균 상태를 파악하고 감염관리를 위해 감시배양을 실시하였다. 당시 집단 보균 상태임을 발견하여 보균자에 대한 격리를 실시한 결과 집단보균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대부분의 환아가 보균 상태로 퇴원하였다. ESBL 생성 K. pneumoniae는 대변 내 균이 장착되어서 입원 환아들간에 집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균주에 의한 집단감염은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집단보균 발생시 분리된 ESBL 생성 K. pneumoniae의 분자 역학적 특징과 보균환아들의 추적관찰 결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7월 28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입원환아를 대상으로 직장내 도말법으로 감시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감시배양검사는 재원환아들에서 1주 간격으로 시행하였고, 신환은 입원 당일에 시행하였다. 균주의 형별 검사를 위해서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PFGE)를 시행하였고, 보균 상태로 퇴원했던 환아들은 외래에서 대변 배양검사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감시 배양기간 중 총 80명(28.5%)의 환아에서 보균이 확인되었고, 퇴원시 5명(6.3%)에서 음성이 확인되었다. PFGE를 시행한 65명의 타이핑 결과, 일회의 PFGE를 시행한 53명에서 분리된 균주의 염색체 유전자 분획양상은 집단클론 6가지, 단독클론 10가지형으로 분류되었고, 집단 클론 중 A형이 28명(52.8%)으로 가장 많았고, B형이 11명(20.8%), C, D, F, G형이 각각 1명(1.9%)이었다. 2회 이상 검사를 시행한 12명 중 초기검사에서는 A형이 10명(83.3%)으로 월등히 많았고 B형은 2명(16.7%)이었으며, 추적검사에서 분획 양상이 변화된 경우는 6명(50%)이었고, 이들은 A나 B로 변화된 경우가 각각 2명(33.3%)이었다. 변화되지 않은 6명(50%)은 모두 A형으로 남아 있었다. 월별 PFGE 양상은 처음 배양시 집단클론 A, B, C, D형 4가지와 단독클론 세 가지형이었으나 감염 관리를 하면서 11월부터 집단클론 A, B 두 가지형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고, A형이 더 우세하였다. 보균된 상태로 퇴원한 75명 중 외래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30명을 대상으로 대변 배양검사를 시행한 결과 모두 음성이 확인되었다. 결 론 : 다양한 클론의 균주에 의한 집단보균 상태는 감염 관리를 하면서 단일 클론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고, A형이 우세한 것으로 보아 집단 보균을 일으킨 유형 중 주 집단 클론은 A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ESBL 생성 K. pneumoniae 보균 상태는 중환자실내에 입원기간 중에는 거의 지속되지만, 지역사회로 복귀하면 전부 해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임신기 치주질환과 자간전증 발생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Preeclampsia: a Systematic Review)

  • 하정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62
    • /
    • 2018
  • Purpose : Preeclampsia(PE) is a pregnancy-specific dise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hypertension and proteinuria. This disease occurs in about 2-8 % of pregna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and remains among the major causes of maternal and neo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throughout the world. Although the causes of PE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infection has been considered as the main risk factor for this diseases. Periodontal disease may provide a chronic burden of endotoxin and 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disease has been considered as risk factors of systemic illnes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therosclerosis, and cerebrovascular ischemia. So, studies performed over the last 15 years have suggested that periodontal disease may be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such as PE. However, this association has not been found in all populations. The aim of this review article was to evaluate whether periodontal status and the presence of specific periodontal pathogens may influence the incidence of PE. Methods : Many research articles searched at the electronic databases(MEDLINE; 2000 to July 2017) including search term as periodontal disease and preeclampsia. Result : There were 10 case-control studies and 5 cohort studies meeting our inclusion criteria.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eriodontitis (adjusted odds ratio: 1.5 to 9.3) was associated with preeclampsia in 15 epidemiological studies. Conclusion : It is clear that maternal periodontitis is a risk factor associated with preeclampsi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eriodontal care in prenatal programs.

Enterovirus 감염 돼지의 간에서 virus의 형태학적 관찰 (Ultrastructure of virus particles in the liver of piglets infected with porcine enterovirus serotype 3)

  • 신태균;이차수;허민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7-210
    • /
    • 1992
  • Enterovirus감염 돼지의 감염초기 virus의 동태를 규명하고자 초유를 섭취하지 않는 1~2일령의 돼지에 돼지 enterovirus 3형을 경구감염시킨후 간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감염후 3일째 부검한 돼지의 간에서 간세포의 심한 공포변성이 인정되었고 간 동양혈관 내피세포 및 Kupffer세포에서 picornavirus의 특징적인 virus결정이 출현하였으며 확장된 ER은 virus 결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동양혈관 세포와 간세포에서는 미숙한 virus모양의 입자들로 구성된 세포질내 봉입체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돼지 enterovirus 3형은 신경친화성 뿐만 아니라 감염초기 간에 친화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Norwogonin, Oroxylin A, and Mosloflavone on Enterovirus 71

  • Choi, Hwa Jung;Song, Hyuk-Hwan;Lee, Jae-Sug;Ko, Hyun-Jeong;Song, Jae-H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5호
    • /
    • pp.552-558
    • /
    • 2016
  • Sever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V71 infections are a common cause of neonatal death. Lack of effective therapeutic agents for these infections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viral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EV71 activity of norwogonin, oroxylin A, and mosloflavone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was evaluated using a cytopathic effect (CPE) reduction method, which demonstrated that all three compounds possessed strong anti-EV71 activity and decreased the formation of visible CPEs. Norwogonin, oroxylin A, and mosloflavone also inhibited virus replication during the initial stage of virus infection, and they inhibited viral VP2 protein expression, thereby inhibiting viral capsid protein synthesis. However, ribavirin has a relatively weaker efficacy compared to the other drugs. Therefore,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hat will aid in the utilization of norwogonin, oroxylin A, and mosloflavone for EV71 treatment.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난치성 칸디다혈증에서 고용량 Caspofungin 구제요법 (High-dose caspofungin salvage in a very-low-birth-weight infant with refractory candidemia)

  • 서은선;박근화;김성미;정혜안;김병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39-243
    • /
    • 2010
  • 저자들은 고식적인 항진균제에 반응하지 않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발생한 지속적인 전신 칸디다증에서 이들 고식적인 항진균제에 고용량의 caspofungin을 병용 투여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특별한 약물 부작용 없이 치유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산전 진찰에서 발견된 흉막액을 동반한 폐격리증 1례 (A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Pleural Effusion)

  • 구혜진;박지애;박수은;김영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221-223
    • /
    • 2005
  •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은 매우 드문 선천성 폐기형으로 아직까지 국내에서의 보고는 없다. 저자들은 재태 기간 27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좌측 흉막액이 발견되었고, 출생 후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및 전산화 단층 혈관 촬영술상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으로 진단하였으며, 생후 80일경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여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