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ghbor genera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초

5G Cloud RAN에서 네트워크 공평성 향상을 위한 계층적 적응 스펙트럼 관리 방법 (Hierarchical Dynamic Spectrum Management for Providing Network-wise Fairness in 5G Cloud RAN)

  • 조오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셀 간 정보의 공유를 통한 협력이 가능한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5G Cloud RAN 네트워크에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자원 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협력의 이점을 활용하여 공정성과 처리량을 동시에 증가시킨다. 이러한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는 허용이 가능한 양의 신호 처리 오버헤드 및 계산 복잡도 내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는 셀 외곽 사용자에 대한 네트워크 용량이 기존의 방법 대비 40% 가량 향상되었으며 사용자간 공정성 또한 Jain의 공평성 지수를 기준으로 약 23%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21 microsatellite markers in Daphne kiusiana,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emic to Korea and Japan

  • Lee, Jung-Hyun;Cho, Won-Bum;Yang, Sungyu;Han, Eun-Kyeong;Lyu, Eun-Seo;Kim, Wook Jin;Moon, Byeong Cheol;Choi, Goy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10
    • /
    • 2017
  • Microsatellite markers were isolated for Daphne kiusiana var. kiusiana (Thymelaeaceae),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emic to Korea and Japan. Because its populations in Jeju Island are morphologically controversial, and consistently threatened by anthropogenic pressures, taxonomic delimitation and conservation effort are required at the genetic level. We developed 21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from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The primer set included di-, tri-, and tetra-nucleotide repeats. Variability in the markers was tested for 80 individuals of D. kiusiana from three natural populations in Jeju Island and Japan. Among the 21 loci, three were unavailable for population JKJU of Japan. The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described here classified the three population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geographical or morphological traits. These will be a powerful genetics tool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boundary and establishing suitabl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D. kiusiana in Jeju Island.

재가노인의 일상생활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Home Residents)

  • 문명자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6-57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and quality of life and their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50 elderly home resi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st to December 20th, 2000. Structur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awton & Brody and by Ro were adopted to measure IADL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for percentage, means, t-test, ANOVA and P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level of IADL was $20.68{\pm}2.98$ ($M{\pm}SD$) with a range of 7-26. 2. The average score of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2. $96{\pm}0.25$ ($M{\pm}SD$). In the average score of each lower area, highest score was 3.22 for neighbor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and then 3.00 for self-esteem, 2.95 for economic status, 2.86 for emotional status, and 2.85, lowest score, for physical condition and function. 3. Comparing IADL and Quality of lif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ADL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t=2.927, p=0.036) and separated children contact frequency(t=2.482, p=0.046), while Quality of lif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use existence(t=2.334, p=0.021), religion(t=4.089, p=0.008), family style(t=3.285, p=0.040), children number living together(t=5.332, p=0.006), communication with separated children frequency(t=4.129, p=0.003), and separated children contact frequency(t=3.908, p=0.005). 4. There wa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ADL and Quality of lif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neighbor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which have greatly an influence on IADL and Quality of life are very important. The elderly should be helped to satisfy their basic desire and show their potential living together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terdependently without being isolated from family and society. Therefore, the nursing strategy that enhance IADL and Quality of life are needed and the nursing strategy that can improve IADL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Home Residents should be developed.

  • PDF

심카빙 기반 가려짐 영역 보상 기법 (Seam Carving based Occlusion Region Compensation Algorithm)

  • 안재우;유지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73-58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가상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려짐 영역(occlusion region)을 보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되었던 가려짐 영역 보상 기법들이 가려짐 영역이 발생한 주변 화소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이용하여 보상하기 때문에 시차의 분포 특성을 고려하기 어렵고 따라서 보상된 영역에서 시차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편향치 또는 특징점 기반의 영상 크기 조절 방법인 심카빙(seam carving)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응용하여 가려짐 영역을 보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먼저 소벨 마스크(Sobel mask)를 사용해 영상의 에지 맵을 검출하고, 이진화 과정과 세선화 과정을 거친 후 심카빙 기법을 응용하여 원 영상과 세선화 된 에지 맵의 에너지 패턴을 구한다. 구한 에너지 패턴으로 가려짐 영역을 보상하게 된다. 다양한 영상에 적용하여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실험하였고, 그 결과 기존의 보상 방법에 비해 영상의 중요 정보를 손상시키지 않고 가려짐 영역을 비교적 정확하게 보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세대 이종망에서 커버리지 최적화를 위한 자율적 펨토셀 전송 전력 조절 기법 연구 (An Autonomous Downlink Power Adjustment Method of Femtocell for Coverage Optimization in Next Generation Heterogeneous Networks)

  • 조상익;임재찬;홍대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1호
    • /
    • pp.18-2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종망 환경에서 펨토셀이 자율적으로 커버리지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펨토셀의 커버리지가 펨토셀이 설치된 실내 영역보다 큰 경우 펨토셀 커버리지를 통과하는 실외 단말에 의해 핸드오버 요청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signaling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overhead가 커지게 된다. 펨토셀의 커버리지가 펨토셀이 설치된 실내 영역보다 작은 경우 실내에 위치한 단말이 펨토셀에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펨토셀 커버리지가 실내영역과 일치하도록 자율적으로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펨토셀이 스스로 얻을 수 있는 정보인 핸드오버 요청 및 단말의 펨토셀에 대한 결합등록(membership) 여부를 이용함으로써 자율적인 커버리지 조절을 가능 하게 한다. 제안 기법의 성능 분석을 위해 먼저 커버리지를 실내영역과 일치시키는 펨토셀 전송 전력의 이론값을 도출한다. 이후 제안 기법을 모의실험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펨토셀의 전송 전력이 자율적으로 조절되어 이론값으로 수렴함을 보인다.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간 세션키 생성을 위한 개선된 프로토콜 (An Improved Protocol for Establishing A Session Key in Sensor Networks)

  • 김종은;조경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2호
    • /
    • pp.137-146
    • /
    • 2006
  • 제한된 연산 및 통신 능력을 갖는 센서 노드에서는 전통적인 공개키 기반의 보안 기법들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두 센서 노드 사이의 안전한 통신이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으며 두 센서 노드 사이의 안전한 직접 통신을 위한 다양한 세션키 설정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세션키 설정 프로토콜들을 세션키 설정 방법, 세션키의 유일성, 연결성, 통신 및 연산 과부하, 공격 취약성 등의 기준 측도에 의해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위한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기준안을 만족시키는 개선된 세션키 생성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제안 프로토콜의 성능적 우수성을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컬러와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시점 일치 영상 생성 기법 (Generation of an eye-contacted view using color and depth cameras)

  • 현지호;한재영;원종필;유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642-1652
    • /
    • 2012
  • 일반적인 화상회의 시스템에서는 카메라의 위치가 모니터 중앙에 위치하여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자간의 시점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대화 시 현장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이용하여 획득한 컬러 영상과 깊이 정보를 가지고 DIBR(Depth image based rendering) 기반의 시점 일치(eye-contacted)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생성된 시점 일치 영상에서 발생하는 홀(hole)을 인접 화소 값의 산술평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는 홀 채움 기법과 객체 경계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깊이 정보에서 획득된 객체의 경계를 확장하여 보정하는 기법이 포함되어 있다. 제안하는 기법으로 생성된 시점 일치 영상은 매우 좋은 화질을 갖는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보였다.

PMIPv6 기반의 완전 분산형 이동성 관리 기법의 설계 및 성능 비교 분석 (Design and Comparative Performance Analysis of Fully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on PMIPv6)

  • 이한빈;이종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0-223
    • /
    • 2016
  •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단말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또한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면서 동시에 이동단말의 이동시에도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한 여러 이동성 관리 방안들이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및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를 통해 제안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동성 관리의 주체가 되는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가능한 분산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확장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 중에 있다. IETF에서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방법으로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방식을 표준화 중에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부분 분산형 방식과 완전 분산형 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roxy Mobile IPv6 (PMIPv6) 기반의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Neighbor Discovery Protocol (NDP)를 확장, 적용하는 완전 분산형 이동성 관리 방법 (FuDMM)을 제안하였으며, 기존 방식들과의 정성적 비교를 통해 FuDMM에 대한 성능 측면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 PDF

CMOS VLSI의 효율적인 IDDQ 테스트 생성을 위한 패턴 생성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Pattern Generator for Efficient IDDQ Test Generation in CMOS VLSI)

  • 배성환;김관웅;전병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4호
    • /
    • pp.292-301
    • /
    • 2001
  • IDDQ 테스트는 CMOS VLSI 회로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종류의 물리적 결함을 효율적으로 검출 할 수 있는 테스트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CMOS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합선고장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IDDQ 테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 생성기를 개발하였다. 고려한 합선고장 모델은 회로의 레이아웃 정보에 의존하지 않으며, 내부노드 혹은 외부노드에 한정시킨 합선고장이 아닌 테스트 대상회로의 모든 노드에서 발생 가능한 단락이다. 구현된 테스트 패턴 생성기는 O(n2)의 복잡도를 갖는 합선고장과 전압 테스트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IDDQ 테스트를 위해서 새롭게 제안한 이웃 조사 알고리즘과 고장 collaps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빠른 고장 시뮬레이션 시간과 높은 고장 검출율을 유지하면서 적은 수의 테스트 패턴 생성이 가능하다. ISCAS 벤치마크 회로의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다른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802.11p WAVE에서 비콘메시지를 이용한 A-GBSR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A-GBSR Protocol Using Beacon Message in 802.11p WAVE)

  • 정선미;김현주;김창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554-1560
    • /
    • 2015
  • 802.11p WAVE는 차량 간 Ad-hoc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무선통신이다. 이 통신의 프로토콜 중 하나인 GBSR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단절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서 패킷의 전송시간과 전송속도를 고려하지 않아 실제 도로위의 교통사고나 응급환자의 수송 및 범죄와 같은 정보의 전달이 필요한 긴급 상황에 전송 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BSR 프로토콜의 전송속도를 고려하여 개선된 비콘메시지와 이웃노드 리스트 관리를 통해 속도가 빠른 이동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A-GBSR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