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 Insertio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16초

초음파를 이용한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결과 비교 -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Ultrasound-guided Caudal Epidural Block -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vs Spinal Stenosis -)

  • 김영태;조규정;안치훈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2014
  • 목적: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효과적으로 외래환자의 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 의해 시술되어도 25%의 실패율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유효성을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통과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여 본원 외래에 내원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를 복와위 자세로 눕힌 후 방사형 탐지자(round probe)를 이용하여 22게이지 바늘이 천-미추막을 통과한 것을 확인 후 약물을 투여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은 31명이었으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은 24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시행 전, 시행 후, 시행 2주 후, 시행 4주 후 전화 인터뷰와 외래 방문 시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55예 중 53예에서 바늘이 성공적으로 삽입되어 9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는 추간판 탈출증군에서 $42.3{\pm}10.8$세로 척추관 협착증군의 $62.8{\pm}15.1$세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각통증척도는 추간판 탈출증 군에서 시행 전 6.8, 시행 후 3.1, 시행 2주 후 1.8, 시행 4주 후 1.77로 나타났으며, 척추관 협착증 군에서 시행 전6.9, 시행 후 3.6, 시행 2주 후 4.3, 시행 4주 후 4.9로 나타났다. 시행 전에 비해 시행 후 시각통증척도는 양 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p<0.001), 나이를 보정한 후의 결과, 시간에 따라 양 군간 시각통증척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 비해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중풍환자(中風患者)의 불면증(不眠症)에 피내침(皮內針)의 유효성(有效性) 및 적응증(適應證) 평가(評價) (The Effect of Intradermal Acupuncture on The Patients suffering from Insomnia after Stroke)

  • 이상호;김은주;김이동;윤상필;이차로;홍진우;정동원;문상관;조기호;김영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8-148
    • /
    • 2004
  • Objective : Insomnia is the disorder of initiation or maintenance in sleeping that results in daytime sleepiness and dysfunction, and it arises from multiple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 number of stroke patients suffer from insomnia are classified as sleep disorder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In addition, insomnia may have profound deleterious effects on the natural course of stroke. We ar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tradermal acupucture on stroke combined with insomnia. Methods : We recruited hospitalized patients with insomnia after stroke. Then, the subjects were allocated into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by randomization.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intradermal acupuncture therapy at He-7(神門), EH-6(內關) correctly. However in control group, intradermal acupuncture were just attached to He-7(神門), EH-6(內關) without insertion. Treatment over time at first day and second day a various indexes were repeatedly checked such as sleep latency, total sleep time, sleep quality, condition on awakening, ability of concentration, morning sleepiness, Insomnia Severity Index, and Athens Insomnia Scale. In the second analysis, we divided the treatment group into a response and a non-response group by their response to intradermal acupuncture. With the acupuncture treatment, accompanied symptoms were checked Results : Among thirty two subjects, two of them were dropped out: One complained the pain from needle insertion, and the other underwent the change of his herbal medication. At baseline investigation with the residual 30 subjects,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 were assessed to have an equal comparability. In the treatment group, sleep latency, total sleeping time, a number of awakenings, sleep quality and ability of concentration showed improvemen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non-response Group showed symptoms such as nausea and halitosis, belching and acid regurgitation, abundant expectoration, while Responder Group showed palpitation, oppressed feelings in chest and sleep disorder.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clinical study suggests that the intradermal acupuncture at He-7(神門), EH-6(內關) is one of the effective treatments for the insomnia after stroke.

  • PDF

5% EMLA cream과 20% Benzocaine gel의 도포마취 효능 비교 (Comparative efficacy of 5% EMLA cream and 20% Benzocaine gel during topical anesthesia)

  • 이대우;백병주;김재곤;양연미;소유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도포마취제로서 5% EMLA cream과 20% Benzocaine gel의 구강 내 주사침 자입 및 마취제 주입시 전/구치부 전정부와 구개부에서의 작용시간과 동통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두 가지 도포마취제는 양측성 무작위 단일 맹검법 분할 디자인으로 평가되었다. Phase I은 전/구치부 전정부와 구개부에 도포마취제를 도포한 후 각각의 도포마취제의 작용시간을 평가하였다. Phase II는 Phase I에서 측정된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도포마취제를 부위별로 적용하여 주사침 자입 및 마취제 주입시 동통 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100-mm modified visual analog scale(VAS)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동통 수치를 기록하였고, 맥박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사용하여 주사침 자입 및 마취제 주입 전후의 맥박수를 관찰하여 객관적인 동통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다. Phase I 실험결과 두 가지 도포마취제는 전치부가 구치부보다, 구개부가 전정부보다 더 긴 작용시간을 보였다. 전치부 구개부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EMLA cream이 Benzocaine gel보다 더 빠른 작용시간을 보였다. Phase II 실험결과 마취제주입시 부위별 그룹에 따른 VAS Score를 보면 전치부와 구치부 구개부에서 EMLA cream이 Benzocaine보다 동통 감소 효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EMLA cream은 Benzocaine보다 전정부와 구개부 모두에서 빠른 작용시간과 더 좋은 유지력을 나타냈다. 또한 EMLA cream은 Benzocaine보다 주사침 자입시 전치부 구개부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마취제 주입시 전치부와 구치부 구개부에서 Benzocain 에 비해 더 좋은 동통 감소 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