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 for Entertainment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리테일 엔터테인먼트 요소 구별: 소비자 반응에 의한 탐색적 분석 (Identifying Retail Entertainment Elements: A Preliminary Analysis by Consumer Responses)

  • 박경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193-212
    • /
    • 2004
  • 본 연구는 다양한 리테일 엔터테인먼트 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조사하고 이러한 소비자 반응이 소비자 특성에 따라 다른지를 분석함으로써 활용도 높은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구별하여 소매업체가 표적집단에 적합한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선정,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리테일 엔터테인먼트 인텍스는 엔터테인먼트시설, 식 음료시설, 쇼핑품목, 생활서비스, 점포환경, 기본마케팅요소 등을 포함하는 49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각 요소에 대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즐거움정도와 이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즐거움인식과 이용의도에서 중요한 요소들은 특정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이나 식 음료시설보다는 기본적인 마케팅과 점포환경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반응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교적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있어 표적집단의 특성에 따라 활용할 엔터테인먼트요소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테일 엔터테인먼트가 마케팅 믹스로 통합되어 개념화될 것을 제안한다.

  • PDF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지배 전략 : 흡수역량과 경계관리 활동을 중심으로 (Kakao Entertainment's Contents Dominant Strategy : Focusing on Absorptive Capacity and Boundary Spanning)

  • 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43
    • /
    • 2021
  •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영상 및 음악 콘텐츠를 맡고 있는 카카오M과 웹툰, 웹소설을 담당하고 있는 카카오페이지가 합병을 통해 탄생된 대형 콘텐츠 기업이다. 참고로, 카카오M은 15개가 넘는 콘텐츠 및 매니지먼트 기획사와 4개의 음반 레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카카오페이지 역시 8,500개가 넘는 콘텐츠 IP를 축적했다. 본 연구는 두 기업의 합병을 통해 탄생된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사례연구를 토대로 흡수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M&A 활동과 경계관리 활동의 폭을 규정할 수 있는 콘텐츠 가치사슬에 관한 관계를 세밀히 분석하였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사례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제안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카오의 인수합병 활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흡수역량을 축적하는 핵심 요인이며 동시에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여러 자산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와 함께 콘텐츠 비즈니스의 경쟁 강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카카오는 지속적으로 산업 경계선을 넘나들며 경계관리 활동을 토대로 창의적인 기회를 포착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수합병과 가치사슬을 통해 확보한 흡수역량과 경계관리 활동의 활성화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배 전략에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부채금융 가능성 탐색 - SM엔터와 YG엔터 사례를 중심으로 (Possibility of Debt Financing by Korean Entertainment Companies : Case of SM Entertainment and YG Entertainment)

  • 김대원;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27-236
    • /
    • 2014
  • 본 논문은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부채금융 활용 가능성을 분석했다.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 선두 기업인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회사채와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가능성을 탐색했다. 사례연구를 위해 자본시장의 부채금융 전문가, 엔터테인먼트 기업과 투자 운용사의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회사채 발행은 그 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지만 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안정적 현금흐름 확보, 매출처 다각화, 회계와 법률적 관리 측면의 투명성 제고 그리고 기업 경영능력 검증 등의 사전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한편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싸이의 '강남 스타일' 음원은 ABS의 기초자산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The Role of Narrative Transportation in Web Series as Branded Entertainment

  • SULESTARINI, Yusarifah;WULANDARI, Nuri;NASUTION, Reza 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439-447
    • /
    • 2020
  • The dynamics of communications powered by the Internet, specifically from the increased use of social media, has led marketers to find creative channels to engage with the customers. One of the recent channels, "branded entertainment", is becoming familiar as an advertising strategy in which the content presented is a marketing tool for the advertising of certain brand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ase of a branded-entertainment channel and the mechanism of the advertising instrument that leads to purchase inten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evidence of the role of narrative transportation and the fantasy proneness leading towards purchase of the brand advertised. To arrive at the conclusion, the study using web series sponsored by an artificial sweetener brand and employs a quantitative survey to question the audience. The findings contribut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respond to branded entertainment via video-sharing platforms. It is indicated that the stories presented in the web series can stimulate the audience to fantasize. Thus, the advertising message conveyed through narrative persuasion can form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brand, which leads to intention to purchase. Practical elements are identifi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서바이벌 음악예능프로그램의 참여 수용자를 위한 구성 연구: MBC'복면가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tion for the Participating Audience of the Survival Music Entertainment Program: Focusing on Dramatic Device of MBC 'The King of Mask Singer')

  • 홍관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21-729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dramatic devices that the production team made for the studio progress in the survival music entertainment program of open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audience participated through MBC 'The King of Mask Singer'. The reason for the need for dramatic equipment is that the studio Audience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crossed the situations of flow, selection, and enjoy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oduction team of 'The King of Mask Singer' was found to have a device of time margin, lighting and background image, and role of MC in order to change the progress of the studio and that the participating audience naturally change their roles.

자율섭취기능을 갖는 바퀴구동형 생체모방로봇 개발 (Development of a Biomimetic Wheeled Robot with Autonomous Eating Functionality)

  • 조익진;이연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73-579
    • /
    • 2006
  • Most of the recently developed robots are human friendly robots which imitate an animal or human such as entertainment robot, biomimetic robot and humanoid robot. Interest in these robots is increased because the social trend is focused on health, welfare, and graying. By these social backgrounds, robots become more human friendly and suitable or home or personal environment. The more biomimetic robots resemble living creature, the more human feels familiarity. Human feels close friendship not only when feeding a pet, but also when watching a pet having the food. Most of entertainment robots and pet robots use internal-type batteries and have a self-recharging function. Entertainment robots and pet robots with internal-type batteries are not able to operate during charging the battery. So far there have been a few robots that do not depend on an internal battery. However, they need a bulky energy conversion unit and a slug or foods as an energy source, which is not suitable for home or personal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biomimetic entertainment robot with autonomous eating functionality, called EPRO-1(Eating Pet RObot version 1). The EPRO-1 is able to eat a food (a small battery), by itself and evacuate. We describe the design concept of the autonomous eating mechanism of the EPRO-1, characteristics of sub-parts of the manufactured mechanism and its control system.

스마트기기를 통한 동영상 시청 환경에서 기기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 Use Devices in Watching Video through Smart Devices)

  • 송재민;김동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6-57
    • /
    • 2020
  • 스마트기기의 대중적인 보급은 사람들의 사회활동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사람들은 동영상 시청 등 여가 생활에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기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하여 동영상 시청 환경 요인(예. 화면 크기 및 동영상 길이)과 개인적 성향 요인(예. 성별 및 엔터테인먼트 욕구)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른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66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기기 화면이 커질수록 이용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그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동영상의 길이 또한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엔터테인먼트 욕구는 이용 태도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영상 시청 환경 요인과 개인적 성향 요인을 고려하여 제품 개발과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합한 최적화된 고객 마케팅 및 경영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 of a Bio-mimetic Entertainment Robot with Autonomous Feeding Functionality

  • Cho, Ik-Jin;Choi, Byoung-Jun;Jeong, Kil-Woong;Lee, Yun-J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1525-1529
    • /
    • 2004
  • Most of the recently developed robots are human friendly robots which imitate an animal or human such as entertainment robot, bio-mimetic robot and humanoid robot. Interest in these robots are increasing since the social trend is focused on health, welfare, and graying. By these social backgrounds, robots become more human friendly and suitable for home or personal environment. The more bio-mimetic robots resemble living creature, the more human feels familiarity. People feel close friendship not only when they feed a pet, but also when they watch a pet having the food. Most of entertainment robots and pet robots use internal-type batteries and have a self-recharging function. Entertainment robots and pet robots with internal-type batteries are not able to operate during charging the battery. So far there have been a few robots that do not depend on a battery. However, they need a bulky energy conversion unit and a slug or foods as an energy source, which is not suitable for home or personal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bio-mimetic entertainment robot with autonomous feeding functionality, called ELIRO-1(Eating LIzard RObot version 1). The ELIRO-1 is able to find a food (a small battery), feed by itself and evacuate. We describe the design concept of the autonomous feeding mechanism of the ELIRO-1, characteristics of sub-parts of the manufactured mechanism and the control system.

  • PDF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글로벌 예능 프로그램 포맷 특성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for Vitalizing the Exportation of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Format)

  • 이유진;유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60-169
    • /
    • 2016
  • 본 연구는 포맷 수출된 한국 예능 프로그램과 글로벌하게 교역되는 해외 예능 프로그램 포맷의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예능 프로그램 포맷의 특성과 수출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포맷 수출 활성화를 위한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개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통계분석 결과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유형, 출연진, 소재에서 한국과 글로벌 예능 포맷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포맷 유형에 있어 해외 프로그램의 경우 퀴즈 게임 포맷 유형이 가장 많은 데 비해 우리나라 예능 프로그램은 리얼리티 포맷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출연진의 경우도 우리나라는 연예인(방송인)의 비중이 높은 데 비해, 글로벌 포맷의 경우 일반인의 출연비중이 높았다. 소재 역시 글로벌 포맷은 퍼즐/수수께끼가 많았고 우리나라는 음악/댄스 및 가족/육아, 시댁/친정, 아이들이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예능 프로그램 포맷이 해외의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 비해 문화적 특성이 강하여 포맷 수출이 불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프로그램은 문화적 상품으로 문화적 할인이 작용한다. 포맷 교역의 경우 완성된 프로그램 보다는 문화적 할인의 영향이 적으나, 여전히 지역화가 얼마나 용이한가는 수출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룰과 형식이 주요 요소인 퀴즈 게임 유형이 리얼리티 유형보다 지역화에 용이하고 출연진 역시 유명인 보다는 일반인의 비중이 높은 포맷이 지역화에 유리하다.

포스트 모템 디버깅과 프로세스 덤프 (Post Mortem Debugging And Process Dump)

  • 박주항;김영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1-140
    • /
    • 2011
  •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디버깅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개발 과정에서 디버깅을 통해 버그를 대부분 잡을 수 있지만 제품이 출시된 이후에도 프로그램 버그를 잡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포스트 모템 디버깅에 대해 살펴보고 프로세스 덤프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프로그램이 다운되었는데 프로세스 덤프가 생성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원인을 분석해 보도록 한다. 아울러 검증된 예외 핸들러라 하더라도 프로세스 덤프를 남기지 못하는 상황을 이해하고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EHModule(Exception Handler Module)를 구현한다. 구현한 EHModule의 핵심 루틴을 설명하고 해당 모듈의 특징 및 효용성에 대해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