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ck muscle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7초

오장변증중(五臟辨證中) 간실증(肝實證)의 오사(五邪)에 의한 연구 (A Study on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in The Analysis of Five Visceral Symptoms By The Five Pathogenic Factors(五邪))

  • 김재홍;김태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6-209
    • /
    • 1994
  • 1. The Jung-Sa(正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eleven symptoms, there are blue face, blue thin fingernail, anger, fancy of larg body, dizziness, eye flame, Bell's palsy, hard swelling pain at braest, side pain going on the belly from the side, side pain and movement at the left side. 2. The Mi-Sa(微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four symptoms, there are meat in eye, edema in cheek, lack of appetite and diarrhea. 3. The Juk-Sa(賊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only one symptom, this is nosebleeding. 4. The Hu-Sa(虛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three symptoms, there are scrotum constraction, strain in belly and constipation. 5. The Sil-Sa(實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twenty eight symptoms, there are red eye, raised eyes(兩眼上?), spitting blood, sternocostal turgid pain, turgidity in belly, drooping testis, vomiting water acid, sickening, belching, confusion, impatience, frequent forgetfulness, headache, giddness, eye pain, deaf, ringing in the ear, feeling inverse, drying mouth, stuffiness sensation in the chest, chest pain, stuffiness sensation in the belly, bellyache, quadriplegia, spasm of extremities, tremor, alternate spells of fever and chills, high fever and strain in muscle. 6. Those symptoms, Red corner of the eye, red face, swelling on the forehead, stiff-neck and back strong, opisthotonos, constracture of the limbs, vomiting yellow bitter water, speech impediment, epilepsy, depression, strong tongue, different thing in throat, fullness and distention of the gastric region, feeling sick and tenesmus, have no connected with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7.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is connected with the ganjabyoung(肝自病) and Hwa(火) which the pathology is, than because Mock(木) is excessive and Mock-Saeng-Hwa(木生火), the ganjabyoung(肝自病) and Sil-Sa(實邪) are many. 8. There are the sixteen symptoms with the exception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because supposed that the scholars in medicine included the union syndroms(合病), the combine syndroms(兼病) and the analysis of symptoms(辨證) in The Analysis of Five Visceral Symptoms. 9. During consideration of the symptoms at the above statements, where are many causes by Gan-Pung(肝風), there is difficult of distinction between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and C.V.A(Cerebral Vascular Attack). Because than NaeKyung(內經) distinguished between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and C.V.A., the future medical specialists connected with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and C.V.A.. 10. An appearance of Sang-Hwa(相火) that the liver possessed is divided into an appearance of Hwa(火), there will be making a study att the more necessary. 11. The cuases of each syndroms are consist of the origins of syndroms, its pathology and the positions where the syndroms appeared, I consider that is the various ways how judge the syndroms except the Five Pathogenic Factors(五邪). 12. If more than study will be achieved in all, the new definition will be standed about the Excessive and Deficient Five Visceral Syndroms(五臟虛實證), I consider this will be the foundation data that study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important data that is a judgement standard of clininc.

  • PDF

이하부에 발생한 침습성 섬유종증이 하악체에 침범한 증례 보고 (A CASE OF AGGRESSIVE FIBROMATOSIS INVADED MANDIBULAR BODY ON THE PAROTID REGION)

  • 김영조;이동근;엄인웅;민승기;정창주;김은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86-195
    • /
    • 1994
  • Fibromatosis is benign fibroblastic proliferative lesion with abundant collagenous neo-formation located principally in the abdominal wall and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Masson & Soule, 1966). Wilkins and Waldron, in 1975, suggested that the title aggressive fibromatosis was a more appropriate term, reflecting the invasive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Synonyms listed were extra-abdominal desmoid, juvenile fibromatosis, aggressive infantile fibromatosis and congenital fibrosarcoma. A total of 12% of all fibromatosis arise in head and neck. Fibromatosis of the oral cavity is uncommon and is even more rare when in involve the mandibule. It is a locally aggressive fibrous tissue tumor, generally does not metastasize, but may cause considerable morbility and even death due to local infiltration. The degree of microscopic cellularity is variable, not only from tumor to tumor but also from area to area in the same tumor. Some tumors present with proliferation of mature fibroblasts and a dominating collagenous component : others may show a lack of the tumor in both types. The common histologic denominator appears to be cellular interlacing bundles of elongated fibroblasts, showing little or no mitotic activity and no pleomorphism. Mitosis are not a consistent index of malignancy when found in younger age groups. Fibromatosis still posses difficult problems of diagnosis and treatment. It is frequently recurrent and infliltrates neighbouring tissues. These lesion infliltrate widely and replace muscle, fat, and even bone with fibrous tissue of varying cellularity. Lesion representing fibromatosis in the oral cavity must be carefully evaulated by both surgeon and pathologists to ensure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When these lesions involve bone, surgeon must be aware of the lesion's potential to perforate the cortex and expand while remaining hidden from the surgeon's view. Careful and precise clinical correlation with histologic appearance is essential to preclude misdiagnosis of fibrosarcoma yet provide surgical treatment plan that provides adequate local excision and long-term follow up. As regards cause, little is known. It is attributed to trauma or alteration in the sex hormone(Carlos, et al, 1986). Clinially, the lesion is reported to be not painful in most cases, but capable of rapid growth. The treatment is essentially surgical excision with wide margin of adjacent uninvolved tissue. Radiotherapy, hormone treatment or chemotherapy are of no use (WIkins et al, 1975 ; Majumudar and Winiarkl, 1978). We report a case of aggressive fibromatosis of 15-year-old with a lesion in the soft tissue of the parotid area that invaded the underlying bone of the mandibular body.

  • PDF

포장술을 시행한 뇌동맥류의 치료 성적 (Treatment Results of Intracranial Aneurysms by Wrapping and Coating)

  • 권택현;정흥섭;박윤관;조태형;임동준;박정율;정용구;이훈갑;이기찬;서중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7호
    • /
    • pp.891-895
    • /
    • 2001
  • Objective : Although surgical clipping of intracranial aneurysm is the definite method of treatment, there remains a small number of patients in whom surgical clipping is not technically possible. In such difficult cases, surgeon has to consider other therapeutic alternatives. In this report, we analyze our aneurysmal cases treated by wrapping and coating method and evaluate their surgical outcome and follow-up results. Method : Among the total of 877 patients operated from 1990 to 1999 for intracranial aneurysms at our hospital, 40 cases(4.6%) were treated by wrapping and coating method. They included 24 cases of single ruptured aneurysms and 16 with unruptured ones in multiple aneurysms. Wrapping with temporalis muscle and/or muslin gauze and coating with bioadhesive agent such as fibrin glue were performed. Result : Wrapping and coating method was performed mostly to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35%), and mostly because of the broad-based neck of an aneurysm(43%). At the time of discharge, 30 out of 40 patients(80%) showed favourable outcome and three cases died. The patients were monitored for average of 37 months(3-75 months). Among 24 cases with single ruptured aneurysm, 4 cases(17%) had early rebleeding within 6 months from the initial hemorrhage, and such rebleeding occurred within the first postoperative month in 3 cases. However, there was no rebleeding after the 6 months. Among 16 patients whose aneurysms were unruptured ones, none of them showed bleeding episode. Conclusion : It seems likely that the wrapping and coating method would be some help to prevent the rebleeding of an intracranial aneurysm.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results regarding the efficacy of such method,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a multi-center study for longer follow-up periods and various wrapping and coating materials.

  • PDF

Transfer Energy Capacitive and Resistive (TECAR) Therapy와 한방치료를 병행한 경부 근 긴장성 사경 환자 증례 보고 1예 (Clinical Study on 1 Case of Cervical Dystonia Treated by Korean Medicine and Transfer Energy Capacitive and Resistive (TECAR) Therapy)

  • 이원준;윤영석;김종호;이근재;김미혜;류호선;한수빈;박병학;손재민;이남우;한정훈;서혜진;김지훈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09-115
    • /
    • 2019
  • Cervical dystonia (CD)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sustained or intermittent, involuntary muscle contractions which cause twisting, repetitive movements and abnormal postures. In this case report, a CD patients was treated with transfer energy capacitive and resistive (TECAR) therapy and conventional Korean medicine, which consists of acupuncture, Chuna manual medicine, pharmacopuncture and herbal medicine. For outcome measures, this study evaluated Cobb's angle, EuroQol five dimension scale (EQ-5D), numerical rating scale (NRS), neck disabillity index (NDI)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As a result, improvements were found in Cobb's angle ($18.65^{\circ}$ to $15.90^{\circ}$), EQ-5D score (0.808 to 0.862), NRS (5 to 3), NDI (16 to 8) and angle of cervical lateral bending ($15^{\circ}$ to $25^{\circ}$).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mbined therapy of conven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TECAR therapy can be effective for CD patients.

경추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약침 치료 3례 증례보고 (Case Report on Three Patients with Cervical Myofascial Pain Syndrome Showing Improvement with Ultrasound-Guided Pharmacopuncture: Proposal of the 'SLS Triangle' Treatment Protocol)

  • 추홍민;박성준;남태광;김광호;권준휘;홍현준;송주환;권상혁;김재효;정혜인;김경한;권오빈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1권3호
    • /
    • pp.101-109
    • /
    • 2024
  • Objectives : Cervical myofascial pain syndrome (C-MPS), a key aspect of Visual Display Terminals (VDT) Syndrome, leads to acute and chronic pain due to muscle shortening, potentially causing headaches and movement disorder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Pharmacoacupuncture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lenius Capitis (SC), Levator Scapulae (LS), and Serratus Posterior Superior(SPS) muscles under ultrasound guidance, known as the "SLS triangle" in treating C-MPS. Methods : Three patients (aged 30 to 37) with acute C-MPS presented at two Korean medicine clinics with severe neck pain and restricted cervical rotation. The evaluation of symptoms before treatment,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nd one day after treatment was conducted using the cervical rotation Range of motion (ROM) and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for cervical pain. Treatments included Acupuncture, Cupping therapy, Chuna manipulation, Physical Therapy, and Pharmacopuncture (Jaha-geo extract, 2cc at the SLS triangle). Results : All thre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ost-treatment. Immediately after treatment, Patient 1's NRS improved from 7 to 2, Patient 2's NRS improved from 4 to 1, and Patient 3's NRS improved from 6 to 2. Directly after the proced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adverse reactions except for one patient experiencing temporary dizziness. When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by phone 24 hours later, no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ultrasound-guided pharmacopuncture can significantly reduce pain and improve cervical rot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myofascial pain syndrome. The findings suggest this non-invasive treatment is both safe and effective, warranting further research through larger-scale clinical trials to validate its efficacy and establish standardized protocols.

전방 경유 디스크 절제술 및 유합술과 후방 추간공 절제술에서의 경추 추간공의 형태학적 변화 비교 (Comparison of the Morphometric Changes in the Cervical Forame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versus Posterior Foraminotomy)

  • 정성수;선우성;정종철;허기성;김현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12-518
    • /
    • 2021
  • 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증에서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과 추간공 절제술 후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및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한 186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10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및 술후 5일째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A군-51명)과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B군-51명) 사이의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A군에서 추간공 수직 직경의 변화는 평균 1.7 mm, B군에서는 평균 1.2 mm로 증가하였으며 A군에서 0.5 mm 높게 나타났다(p=0.042). 추간공 횡단 직경의 변화는 A군에서 평균 1.2 mm, B군에서는 1.8 mm로 B군에서 0.6 mm 넓게 나타났다(p=0.021).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모두 양 군에서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A군에서 더 높은 호전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각각 p=0.356, p=0.607). 결론: 미세현미경과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공 절제술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에 필적하는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수술 후 경부의 통증 및 불편감을 줄이면서 인접분절의 퇴행변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판단된다.

마우스 피하 스파르가눔증에 있어서 감염 경과에 따른 조직병리학적 병변 및 혈청 항체가의 변화 양상 (The changes of histopathology and serum anti-sparganum IgG in experimental sparganosis of mice)

  • 홍성태;김계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4호
    • /
    • pp.261-270
    • /
    • 1989
  • 스파르가눔증(sparganosis)은 Spirometra의 plerocercoid 유충이 인체에 감염되었을 때 유발되는 질병으로 국 내에서 드물지 않게 관찰되는 조직내 기생 윤충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마우스에 실험적으로 피하 스파르가눔중을 만들고 경시적으로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의 변화와 효소면역법에 의한 혈청 항체가를 관찰하여 이 질병의 병소 형성 과정을 관찰하였다. 뱀에서 얻은 충체를 5마리씩 마우스에 경우 감염시키고, 1,24 및 10주와 6개월 후에 도살하여, 충체의 분포와 수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피하 감염부위를 조직표본으로 만들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와 동시에 효소면역 법을 이용하여 혈청 내 항스파르가눔 IgG 항체가를 측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충체 회수울은 감염 후 1주와 2주에 각각 80% 이었으나 조금씩 증가하여 6개월에는 100%이고, 전체 평균 88.3%가 회수되었다. 충체의 대부분은 목파 몸통의 피하조직에서 검출되었고 피하조직에서 골격근에까지 침범 한 것도 일부 관찰되었다. 감염 기간이 경과할수록 충체가 성장하여 고 무게가 처음에 평균 7.3 mg에서 6개월 후에는 47.1 mg으로 증가하였다. 감염기간과 충체의 분포와는 차이가 없었다. 2. 감염 후 1주와 2주에 충체 주위에 염증세포가 국한되어 소수 관찰되었으나, 충체가 지라간 부위로 추측되 는 곳에 많은 세포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감염 4주 이후에는 충체가 있는 조직 내의 공간 주위로 파괴된 조직세 포와 중성구, 호산구, 림프구등의 염증세포가 많이 침윤되어 있고, 일부에서 삼출액도 관찰되었다. 감염 후 4주 와 10주에는 충체와 이에 인접한 염중세포층의 주위를 조직구(histiocytes)와 섬유다세포가 충을 이루어 둘러싸고 있었다. 감염 후 6개월에 관찰한 바, 대부분의 충체 주위에서 염증세포가 줄고 섬유소에 의한 충낭(worm capsule)이 얇게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때에도 충체 주위에 농양을 만들거나 심한 염증소견을 보인 부분도 있었다. 모든 감염 군에서 충체는 형태학적으로 온전하고 칼슘 과립을 갖고 있었다. 3. 혈칭 내 IgG 항체가는 평균 흡광도가 감염 후 1주에 0,108, 2주에 0.141이었으나 4주에 0.456, 10주에 0.955, 6개원에 1.060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파르가눔 감염 추 4주가 경과하면 염증반응이 강하게 나타나고, 조직구와 섬유세 포가 관찰되기 시작하며, 혈청 내 IgC 항체가도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충체가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 약 10주가 경과하면 충체 주위에 섬유소가 증식하여 충낭을 형성하고 이 기간 이후에는 항체가의 증가도 완만 하였다.

  • PDF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과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and N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 서민철;최재원;주은정;이규영;방수영;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106-117
    • /
    • 2017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은 수면 시 호흡을 하려고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도의 부분적/완전 폐색이 반복되는 수면 관련 호흡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렘수면에서 근긴장도의 저하가 나타나게 되므로 렘수면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악화가 예상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 비렘수면에서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가 렘수면에서의 AHI보다 높은 경우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런 현상의 분명한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았기에 렘/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특징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560명의 성인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렘 수면시의 AHI (REM-AHI), 비렘수면시의 AHI (NREM-AHI)의 비율에 따라 세군으로 분류하였다.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REM sleep dependent OSA, REM-OSA)는 REM-AHI/NREMAHI > 2,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NREM sleep dependent OSA, NREM-OSA)는 NREM-AHI/REM-AHI > 2, 수면 단계 비의존성 수면무호흡증(Sleep stage independent OSA, IND-OSA)로 분류하였다. 수면다원검사 이외에도 주관적인 수면의 질, 낮시간 졸림, 정서와 연관된 설문지를 함께 시행하였다.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세 군 사이에서 연령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REM-OSA는 대체로 경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많았고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가장 저하되어 있다고 느꼈으며 기분 상태 평가 척도인 K-POMS의 점수는 가장 높았다. IND-OSA는 BMI, 목둘레(neck circumference, NC), 복부 둘레(abdominal circumfefence)가 REM-OSA에 비해 높았고 주간 졸림의 호소는 세군 중 가장 컸고, 무호흡 관련 변인의 값이 가장 높아 중증도가 심한 군이었다. 공변량을 통제하고 시행한 공분산 분석의 결과에서 NREM-OSA는 앙와위에서의 AHI가 가장 높았고 수면 중 측와위의 비율이 가장 컸다. 또한 수면 효율이 가장 떨어졌고 렘수면 잠복기가 가장 길었으며 입면 후 각성 시간의 비율이 가장 컸다. 결 론 : REM-OSA는 여성이 많고 부정적인 정서를 가장 많이 호소하는 군으로, 경도의 수면무호흡증을 가장 많이 포함하였고 IND-OSA는 중증의 수면무호흡증을 반영하였다. NREM-OSA는 자세 변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은 지니고 있었으며 수면 효율이 가장 떨어졌다. 세 군의 수면무호흡증이 일련의 중중도 차이만이 아닌 또 다른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선천성 근육성 사경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s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최경은;이희철;윤소영;천정미;신손문;한병희;이용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73-1278
    • /
    • 2009
  • 목 적:선천성 근육성 사경은 흉쇄유돌근의 단축으로 경부가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안면의 비대칭적인 발달을 야기하며 목에 종괴가 만져지는 경우가 흔하다. 대부분 생후 수개월 이내에 소실되나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선천성 근육성 사경 발생에 관여하는 산과적 위험요인을 살펴보고 임상 양상 및 치료 경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7년 2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관동대학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사경으로 내원한 6개월 이하 영아들 중 본원에서 출생한 98명을 대상으로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신경학적 검사와 경추 방사선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종괴군과 자세군으로 분류하고 산전 병력과 출생력, 산과적 위험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재활의학과와 협진을 통해 가정 및 외래에서 물리치료를 받았고, 보호자와 전화 통화 및 외래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 과:진찰 소견 상 36명(36.7%)은 흉쇄유돌근의 종괴나 긴장이 촉진되었으며, 62명(63.3%)은 종괴 없이 목이 한쪽으로 기울었다. 81명의 환아에서 경부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종괴군은 모두 초음파에서 근육성 사경을 확인하였고, 자세군 62명 중 48명이 초음파를 시행하여 1명에서 근육성 사경이 확인되었다. 종괴군의 사경 발견시기는 평균 1.4개월, 자세군은 2.7개월로, 종괴군이 자세군에 비해 어린 나이에 발견되었다(P<0.001). 종괴군은 두혈종과 산류가 자세군보다 흔했고, 자세군은 사두증이 종괴군보다 흔하게 관찰되었다. 안과 검진이나 경추 방사선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재활의학과에서 물리치료를 시행한 43명 중 평균 재활 치료 기간은 종괴군 4.6개월, 자세군 2.6개월로, 자세군이 종괴군보다 유의하게 치료 기간이 짧았다(P=0.005). 총 88명의 환아 중 87명이 완전히 회복하였고, 불완전 회복을 보인 1명은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결 론:선천성 근육성 사경은 대부분 예후가 좋으나 수술을 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요한다. 6개월 이하의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를 대상으로 산과적 위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출생 손상 및 복잡 분만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통해 대부분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과위생사의 직업병에 의한 건강장애요인 인식도 조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into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Health Impairment Factors by Occupational Diseases)

  • 윤미숙;송귀숙;고미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03
  •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건강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치과위생사의 직업병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문헌과 자료를 조사하고, 전국 치과병, 의원에 종사하는 구성원 160명을 대상으로 2003년 6월부터 10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들의 직업병 인식수분을 살펴 본 결과 '특정 부위 사용으로 인한 근육, 목, 어깨 결림'과 '업무 특성상 인한 스트레스'가 90.6%로 인식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장기간 세밀한 업무로 인한 시력저하'가 65%, '직업특성상 장기간 서서하는 업무로 인한 디스크 증세'가 62.5% 순으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들의 직업병에 대한 지각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14점 만점 중 평균이 7.28로, 직업병에 대한 지각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사용하는 재료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사용하는 재료가 인체에 유해하다고 인식하는 치과위생사가 74.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치과위생사의 직업병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직업병이 있다고 인식하는 치과위생사가 91.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치과위생사의 건강복지를 위해 각 직장별 작업장 환경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치과위생사가 41.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직장 차원의 정기적 건강진단 실시 34.4%, 재료학적 유해성에 대한 보건교육 실시 13.1%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