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ver Pos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SNS Effect of the negative event on the Firm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 SNS media appearance

  • Kim, Sang Yong;Lee, Da E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21-33
    • /
    • 2014
  • When the negative event is published, the company tends to go through the negative impact on the firm performance. Especially, with the SNS, the negative event is instantly spread on indefinite region so the impact seems bigger than the period before the SNS media appearance. It seems that everyone considers the SNS media impact on the firm performance quite big. However, there has been no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comparison on the firm performance between pre and post SNS media occurrence periods. This study tries to empirically compare the impact of the negative event on the firm performance between pre and post SNS media appearance. Our study starts fromthe basic but not verified question; Does really the negative event have more negative impact in the post-SNS-occurrence period than in the pre-SNS-occurrence perio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negative publicity on firm performance in two eras, pre and post SNS media appearance, we used CAR (Cumulative Abnormal Resturns) model. By using this model, we could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umulative abnormal returns in marke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vents. For event samples, we focused on food manufacturers and collected the negative events from 1991 to 2003 for pre-SNS occurrence period, and from 2010 to 2013 for post-SNS occurrence period. Based on the listed food companies at KOSPI, we researched Naver News Library (newslibrary.naver.com) and Naver News (news.naver.com) for all the individual negative events published for both periods. Firm returns data were collected from TS 2000 (KOCO Info) and market portfolio data were collected from KRX Exchange. Through our empirical analysis, our finding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type of events differently influences on the firm performance. With the SNS, the health-related events have influence on the firm performance 'after the event day' whereas the company behavior trust events have influence 'before the event day'. Ou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management. When a negative event directly related to or threatening customers or their life such as health, it is crucial to fix up the situation right after the event occurs. On the other hand, when a negative event is not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such as company behavior trust, it is important for marketers to strengthen the firms' trust reputation and control the bad WOM before the event.

  • PDF

IT 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among IT Company Office Workers)

  • 배경운;유승현;신다비;하윤철;김홍민;박병찬;김효상;박신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4
    • /
    • 2024
  • Objectives: Interventions promoting physical exercise and healthy habits in workplace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of IT company office workers with or at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total of 444 IT company office workers with or at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participated in a 3-month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Body composition data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cardiopulmonary data using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from 53 individuals (mean age: 34.8 ± 7.1 years, sex : 21% female, height : 170.4 ± 6.8 cm, weight : 75.2±12.2 kg, body mass index : 25.8±3.3 kg/m2)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were analyzed. The 12 weeks intervention encompassed: (1) health counseling (2) supervised exercise(endurance-based, aerobic exercise, or circuit training once a week for 50 minutes at heart rate reserve(HRR) of 77-95%) (3) self-directed exercise and biweekly health screening check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body mass index, respectively. Moreover, VO2peak, AT VO2 and AT Time significantly improved, respectively. Resting blood pressure(SBP/DBP) showed positive changes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rate of changes in cardiopulmonary outcomes of participants,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positiv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parameters following individualized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Conclusions: Individualized workplace exercise program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can lead to improvements i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에 대한 대중감성 연구: 소셜미디어(SN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Research on public sentiment of the post-corona new normal: Through social media (SNS) big data analysis)

  • 안명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209-2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에 관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포스트코로나 뉴노멀'에 대한 대중 인식을 감성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 (textom)의 감성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데이터 수집기간은 2020년 10월 5일부터 2021년 10월 5일까지 1년이고, 수집 채널은 다음(daum)과 네이버(naver)의 블로그, 카페, 트위터 및 페이스북으로 설정하였다. 이 채널에서 수집된 총 3,770개의수집텍스트를 편집, 정제한 원문데이터가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에 대해 호감과 흥미 감성이 가장 높다. 즉 일상 회복과 기술 성장 및 새로워진 미래에 대한 기대 등 낙관적 감성이 77.62%로 주도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슬픔과 거부감 같은 부정 감성은 전체의 22.38%이나, 감성의 강도는 23.91%로 비율보다 높아 이 부정 감성이 강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대중의 긍정 및 부정감성의 세부 요인분석의 기여도가 있다.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 연구 (A Study of E-Book Production Lessons Using SNS Typ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대희;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9-38
    • /
    • 2016
  • 본 연구는 전자책 제작 도구의 하나인 SNS형식의 '네이버 포스트'를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는 수업활동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한 공립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중, 1개 반 25명은 실험집단으로 사회과 교과에 대하여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활동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다른 1개 반 25명은 비교집단으로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활동 수업은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학습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성남시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s for Seongnam Public Library Programs in the Post-COVID-19 Era)

  • 송민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7-18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된 성남시 도서관 강좌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시점의 프로그램 개설 현황을 분석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남시에서 업로드한 파일의 중복 및 오류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정리한 1,317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①프로그램 주제 및 형태 구분, ②프로그램 대상 이용자 분포, ③프로그램 개설 형태(온라인/오프라인), ④프로그램 개설 시기 및 운영 일수, ⑤이용자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온라인 강좌가 개설된 바 없으나, 2020년 8월 이후부터 온라인 강좌가 본격적으로 개설되었다. 또한 2019년은 영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활동 강좌가 많았으나 2020년은 성인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활동 강좌가 증가했다. 온라인 강좌 형태는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시간 강의, 유튜브 영상 시청 및 라이브 방송, 네이버 밴드 및 카페 활용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Analysis for Daily Food Delivery & Consumption Trends in the Post-Covid-19 Era through Big Data

  • Jeong, Chan-u;Moon, Yoo-Jin;Hwang, You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31-238
    • /
    • 2021
  • 이 논문은 Covid-19 이후 기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주문하는 음식 배달과 소비의 경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날씨를 제외한 네 개의 요소들이 배달의민족 매출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KBS, MBC와 SBS 언론매체의 빅데이터 분석에서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가 거의 60%에 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Naver 검색결과에서도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심각하게 의미있는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를 발견하였다. 그 이외에, 소비의 흐름에 있어서 모바일을 통한 배달이 주류가 될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경기 침체기에 다른 산업 분야에 대하여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업의 입장에서 발빠른 대응으로 경기 침체 속의 호황을 맞이할 수 있는 분석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소 이슈 탐색 (A Study on Social Issues for Hydrogen Industry Using News Big Data)

  • 최일영;김혜경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21-129
    • /
    • 2022
  • With the advent of the post-2020 climate regime, the hydrogen industry is growing rapidly around the world. In order to build the hydrogen econom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social issues related to hydrogen and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m.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hydrogen news from NAV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hydrogen news in 2020 increased by 4.5 times compared to 2016, and as of 2018, the hydrogen issue has shifted from an environmental aspect to an economic aspect. In addition, although the initial government-led hydrogen industry is expanding to the mobility field such as privately-led fuel cell electric vehicles and hydrogen fuel, terms show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such as explosions are constantly being exposed. Thu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xpand the hydrogen ecosystem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but also to promote hydrogen safety.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을 위한 한국어 및 다국어 언어모델 연구 (Korean and Multilingual Language Models Study for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

  • 손수현;박찬준;이정섭;심미단;이찬희;박기남;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77-89
    • /
    • 2022
  • 대용량의 코퍼스로 학습한 사전학습 언어모델이 다양한 자연어처리 태스크에서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 하지만 자원이 부족한 언어 환경에서 사전학습 언어모델 학습을 위한 대용량의 코퍼스를 구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 방법론을 사용하여 비교적 자원이 부족한 한국어에서 해당 방법론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XPT 방법론은 자원이 풍부한 영어의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파라미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하며 두 언어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기 위해 적응계층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관계추출 태스크에서 적은 양의 목표 언어 데이터셋만으로도 원시언어의 사전학습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다. 더불어, 국내외 학계와 기업에서 공개한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 및 한국어 multilingual 사전학습 모델에 대한 조사를 통해 각 모델의 특징을 분석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코로나19 발생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hanges in Perception of Metaverse through Big Data - Comparing Before and After COVID-19 -)

  • 강유림;김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93-60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of change in perception of metaverse before and after COVID-19 through big data analysis. This research method used Textom to collect all data, including metaverse for two years before COVID-19 (2018.1.1~2019.11.30) and after COVID-19 outbreak (2020.1.11~2021.12.31), and the collection channels were selected by Naver and Google. The collected data were text mining, and word frequency, TF-IDF, word cloud, network analysis, and emo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hotels, weddings, and glades were commonly extracted as social issues related to metaverse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keywords such as robots and launches were derived, so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hotels and weddings was high. Second, the association of the pre-COVID-19 metaverse keywords was platform-oriented, content-oriented, economic-oriented, and online promotion-oriented, and post-COVID-19 clusters were event-oriented, ontact sales-oriented, stock-oriented, and new businesses. Third, positive keywords such as likes, interest, and joy before COVID-19 were high, and positive keywords such as likes, joy, and interest after COVID-19.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etaverse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platform business model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ourism, travel, festivals, and education using smart technology and metaverse.

코로나19 언택트 여행을 위한 차박 캠핑 웹사이트 구축 및 비즈니스 모델 제안 (Building a Big Data-based Car Camping Website and Proposing a Business Models for the Corona19 Untact Trip)

  • 김민정;김수현;오지혜;엄지윤;강주영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9-196
    • /
    • 2021
  •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문화의 확산으로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박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차박캠핑에 용이한 SUV의 경우 승용 세단 판매량을 넘어섰고, 레저용 차량(RV)의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하였다. 이러한 폭발적인 차박 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차박 관련 연구는 저조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박 이용자 중심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네이버 대표 차박 카페를 조사한 결과, 여러 장소의 차박지가 하나로 정리되어있는 글이나 지도, 웹사이트는 찾기 어려웠다. 또한, 기존의 캠핑 웹사이트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캠핑장소에 대한 정보만을 게시하고 있어 차박지의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없었다. 이에 더하여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차박지내 쓰레기 무단 투기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촉구하는 의견이 다수였다. 또한, 이용자들은 차박지 근처 편의시설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였다. 따라서 차박지의 기본정보와 차박지 근처 편의시설 정보를 제공하는 차박 캠핑 웹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클린캠핑 인증 기능을 제공하여 차박지 쓰레기 무단투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주요 웹사이트 기능인 클린캠핑 인증을 발전시켜 비즈니스 모델을 고안하였다. 비즈니스 모델은 차박 이용자들이 클린캠핑 인증 절차를 거쳐 보상을 받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클린캠핑 인증에 대한 보상은 국내 자동차 회사, 한국관광공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의 제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