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invader speci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수종식물의 분비물질이 종자 발아와 균류 생장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n Seed Germination and Fungus Growth from the Secreting Substances of Some Plants)

  • 이호준;김용옥;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3호
    • /
    • pp.181-189
    • /
    • 1997
  • Phenolic compounds from 7 species of naturalized invader species and Korean wild plant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leven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benzoic acid were identified. The extract of naturalized plants was significantly more inhibitory to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both naturalized and Korean wild plants.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each extract were 43.5 mg/l in Ailanthus altissima as the maximum amount and 25.5 mg/l in Phytolacca americana as the minimum. Phytotoxic substances of ethanol extracts was investigated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23 selected fungus species. The antifungal activity of Phytolacca americana showed the greatest clear zone of 23 mm in Aspergillus awamori and its activity had an effect against 6 fungus species. Ailanthus altissima formed the greatest clear zone of 26 mm in Erwinia carotovora sub. sp. carotovora and had an effect agsinst 2 fungus species.

  • PDF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수용 추출액이 Zoysiagrass의 발아와 유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Naturalized and Korean Wild Pla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oysiagrass)

  • 김용옥;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7-248
    • /
    • 1998
  • 자생종과 귀화종의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종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 종의 토양 pH는 3.95~6.48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pH가 낮았다. 귀화식물 추출액 50% 농도 이상부터는 잔디의 발아율이 60% 미만으로 급격하게 억제되었으며 망초추출액이 가장 현저한 발아억제를 보인 반면, 자생식물인 차풀의 30%와 50% 추출액농도에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에 의한 잔디의 유근생장 억제는 각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차풀의 경우는 15% 이상의 추출액 농도에서 유근생장이 60% 이상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HPLC에 의한 차풀추출액의 성분 분석 결과는 254nm에서 protocatechuic acid, $ ho$-hydroquinone,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가 분석되었고 284nm에서는 vanillic acid, hydroquinone, benzoic acid, cinnamic acid가 분석되었다. Phenolic compound 각 농도로 잔디의 발아와 유근생장을 조사한 결과 ferulic acid와 vanillic acid는 잔디의 발아율을 증가시켰고 $\rho$-coumaric acid는 유근생장을 억제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