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tidal fla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Rural landscape and biocultural diversity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 Kim, Jae-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249-256
    • /
    • 2015
  • Islands are often habitats to unique specie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rom the mainland and other islands. Another characteristic of islands is their limited natural resources, which has led island residents to heavily rely on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TEK) and use resources sustainably. The so-called "Maeul landscape" shows the interrelationship of biological species and people's use of natural resources. Shinan-gun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that forms an archipelago with huge tidal flat areas. Since long ago, people's use of these tidal flats shows a high degree of biocultural diversity. Maeul landscapes also show humans' adapt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For instance, strong winds blowing mainly from the northwest have led people in Shinan-gun to create "Ushil," a windbreak forest with stone blocks to block wind from their villages and agricultural fields. At present, the transfer of TEK to future generations is at stake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that cause island populations to shrink and age rapidly. Islands are often regarded as good destinations for tourism, but attention should also be given to sustainable development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sland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making efforts to curb the threats o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on small islands. Their activities are aimed at seeking solutions that stress the central role of biocultural diversity in establishing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on islands. Joint efforts oflocal people and government authorities to protect and conserve the Maeul landscape should be encouraged.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잔골재를 갯벌로 대체한 모르타르의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ortar by replacing the fine aggregate in mud flat with cement mortar)

  • 강윤영;이슬비;양성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7-88
    • /
    • 2016
  • In the current construction market usage cement and aggregate is increasing continuously. This is progressing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cement production. Further, by using a large amount of aggregate, they tend to have even reduced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hrough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energy saving has been positioned as a global trend. Therefore, in this study, instead of fine aggregate fix the cement, by the use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tidal flats, to try to reduce the amount of cement and fine aggregate. Accordingly, according to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mud flat be analyzed for properties the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flow, chloride test, workability of the mortar.

  • PDF

국내 갯벌머드 해양치유자원의 특성 및 기준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of Domestic Tidal Flat Mud Marine Healing Resources)

  • 박선영;강정원;정용기;조연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6-393
    • /
    • 2023
  • 최근 들어서 국내의 해양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한 해양치유자원의 효능·효과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해양치유자원으로서 잘 알려진 머드 물질에 대한 효능성분 분석을 통해 활용·관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머드물질 시료는 국내 갯벌에서 채취되었으며, 모래질, 실트질 및 점토질 함량은 각각 평균 7.87%, 74.95% 및 17.17%로 머드(실트+점토)의 평균 함량이 90% 이상이었다. 효능성분은 SiO2(68.4%)성분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Al2O3(13.3%)>Fe2O3(4.0%)>K2O(2.9%)>Na2O(2.3%)>MgO(1.6%)>CaO(1.0%)>TiO2(0.7%) 순으로 평균함량이 높았다. 효능성분 분석을 바탕으로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기능 성분)을 Si, Al, Fe, K, Na, Mg, Ca를 선정하였으며, 또한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정하는 성분(지표 성분)은 효능을 가진 성분 중 함량이 높은 K, Mg, Ca로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국내 갯벌머드자원이 해양치유자원으로서 활용·관리되기 위해서는 원재료의 머드함량이 70.0% 이상 그리고 지표 성분인 K2O+MgO+CaO의 합이 5.0% 이상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쏙의 생물학 - 최근 서해안 바지락 양식장에 이상 증식한 쏙의 제거 대책을 중심으로 - (Biology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de Haan, 1841),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est Management for Shrimp Control in Manila Clam B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 홍재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23-349
    • /
    • 2013
  •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Upogebiidae: Decapoda: Crustacea) is a common species on muddy and sandy mud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y reside in Y-shaped burrows that can extend up to more than 2 meters below the sediment surface. They feed on suspended detritus carried into their burrow by the beating of their pleopods and captured by their hairy first two pairs of thoracic legs. Mud shrimp burrows provide a habitat for a variety of small organisms such as crabs, shrimps, polychaetes, and mollusks. Ovigerous females are observed from December to May. Females deposit eggs only once per breeding season. They start hatching in March and the pelagic larvae of first zoea appear in March and April, followed by benthic settlement in May. Growth over the first year is rapid, and females deposit their first eggs in the third breeding season, 31 months after their settlement. Adult shrimps live for 4~5 years. Depth of the burrow increases with body length. The deep burrows provide refuge from predators and physical stress, allowing the shrimps to survive for a long time. The mud shrimps supply oxygen-rich water to their deep burrows, and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metabolism of the tidal flat benthic community. However, recently this type of mud shrimp has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Korean clam industry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extensive burrowing shrimp populations suddenly invaded the tidal flats from 2010 where the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are raised. As a consequence, clam production has decreased by about 10% over the past three years in some Korean clam bed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iology of this mud shrimp in order to seek solutions to control the burrowing of these shrimps.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Characteristics,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81-189
    • /
    • 2001
  • 본 연구는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의 기간 동안 총 11회에 걸쳐 금강 하구지역에서 조류군집의 보호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조류군집의 도래 및 서식현황과 서식지 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강하구지역에서 물새의 서식 환경으로 수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농경지, 산림, 건물지역, 갈대밭, 갯벌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104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조류의 종수는 4월에 4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2월에 51,002개체로 가장 많았다. 수면성 오리류는 하구의 갯벌지역과 하천의 하중도 및 얕은 물이 있는 지 역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갈매기류와 도요·물떼새류는 하구지역에서, 고니류와 기러기류는 상류의 하중도와 십자들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지역별 서식환경이 지니는 특성에 따라 연중 다양한 조류가 금강 하구지역을 서식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하구지역에서 조류 군집의안정적인 유지와 보호·관리를 위해서는 갯벌, 농경지, 하중도와 하변에 분포하는 갈대밭 등 자연적인 서식환경의 다양성이 유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적외선 여기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조간대 퇴적층의 연대추정 (Infrared Stimulated Luminescence (IRSL) Dating of 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최만식;한정희;최정헌;정창식;홍덕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1호
    • /
    • pp.1-7
    • /
    • 2002
  • 장석을 적외선으로 조사하여 측정된 루미네센스를 이용하여 서해안 지역에 최근 퇴적된 갯벌 퇴적층의 연대를 산출하였다. 연대를 결정하기 전 조사된 표층시료의 시험에서 시료채취 장소의 환경은 루미네센스 연대 측정법을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된 연대는 퇴적층에 따라 비교적 순차적으로 나타났으며, 각 층에서 산출된 연대의 중심연대를 기준으로 볼 때 시료 채취장소의 퇴적율은 100년 동안 약 50cm정도를 보였다. 또한, 사용된 시료의 열적전환에 의한 회귀현상에 대한 연구가 기술되었다. 광 여기 루미네센스 연대 측정법은 앞으로 갯벌의 퇴적환경을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쏙 차단 상자에서 양성한 바지락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Manila clams (Tapes philippinarum) grown in boxes to block mud shrimp (Upogebia major))

  • 이건호;장수정;조삼광;송재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4호
    • /
    • pp.310-319
    • /
    • 2019
  • Although mud shrimp (Upogebia Major) provides benefits on the tidal flat ecosystem, it is causing the mass mortality of Manila clam (Tapes philippinarum) and large economic loss to the aquaculture farmer due to spreading in the entire coastal clam farm area of the West Sea of Korea. In this study, a mud shrimp blocking box for cultivating clam was tested to prevent the mud shrimp from invading the habitat of the clam.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locking box,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clams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shell length, total weight, condition index, the presence of mud shrimp in the box, and the soil decay in the box were exa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clams were raised in the box or in natural state, whether the box is covered with a net or not and the gap size of the box.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ll length, total weight, and condition index were found between the clam grown in the box and the natural state (P>0.05) without any evidence of invading of mud shrimp to the box. In addition, the soil inside the box was in good condition, not decayed. Therefore, using the mud shrimp blocking box, mud shrimp can be prevented from propagating to the habitat of the clam, thereby contributing to the normal production of the clam and thus to restoring the clam farming.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 분포에 대한 토양 염도의 영향 (Soil Salinity Influencing Plant Stand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 김은규;천소을;주영규;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0-288
    • /
    • 2009
  • 간척지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 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서부 해안 경기만의 신간척지와 간척연대가 다른 간척지 세 곳, 그리고 이들의 인근 비간척 간석지에서 식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 염도의 지표로 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염도에 따라 식생 분포가 확연이 달랐다. 토양 염도에 따라 각 식생의 최적 서식지가 존재하며, 이는 저염도 지점에는 중성 식물이, 고염도 지점에는 염생식물이 분포함을 의미하고 있다. 서식 식물 군집에 따른 토양 염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토양 염도는 식생 위조지>선구 염생식물지> 혼합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 및 통성 염생식물 혼합지> 혼합 통성염색식물지> 통성염생식물 및 중성식물 혼합지>혼합 중성식물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토양 염도의 공간적 토양 구배에 따라 식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짐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종의 분포에 따라 토양 염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토양 염도와 식물종의 분포양상 관계는 여러 간척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물 군락 밀집도가 간척 이후 식생이 어떤 방향으로 천이되는지의 지표를 제시하여주고 있다.

해안형 국립공원의 보전체계에 대한 한.일 비교 - 태안해안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on System of a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 of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aean-Haean National Park -)

  • Jo, Tae-Dong;Okano, Takahir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1-155
    • /
    • 2003
  • The resources conservation system is comprehended, making Taean-haean National Park a research material by applying the fact of landowning, designating an LOP and Korea and Japan's Natural Park Act.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Most of land areas of the National Park are privately owned; Only a few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Reservation, a core reserved area on LOP, and a sandy beach, a sand dune, a sand spit, a tidal flat, a wetland, etc are distribu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rea so they were exposed to development; As seen in most of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s, 13 commercial beaches are established. The annual rush to the beaches appears in July and August; Sand dune areas that have to be managed in terms of conservation, are turned into beaches. Moreover,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are randomly developed. So they fail to function originally; The current Natural Park Act has no systematic devices for conserv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seashore or offshore.

지상부 제거 및 육지와의 격리거리에 따른 갈대의 생육 특성 (Growth Properties of Phragmites communis along Distance from Land and Cutting Aboveground Part)

  • 민병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5-158
    • /
    • 2005
  • 육지로 격리된 거리에 따른 갈대의 생육과 지상부의 예취가 익년 갈대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경기도 화성시 주곡면 호곡리에서 갈대 자연군락을 대상으로 초장과 건중량을 조사하였다. 육지와 접한 지역은, 갈대의 평균밀도는 122.67개체/$m^2$, 평균초장은 100.36 cm, 개체당 평균 건중량은 4.241 g, 단위면적당 건중량은 $537.574g/m^2$이었다. 그리고 해양방향에서 육지방향으로 이행함에 따라 개체의 초장 및 건중량, 단위 면적 당 건중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육지와 격리된 지역은 평균밀도는 102.30개/$m^2$, 평균초장은 43.894 cm, 개체당 평균 건중량은 0.779 g, 단위면적당 건중량은 $73.495g/m^2$이었다. 또한 해양방향에서 육지방향으로 이행함에 따른 갈대의 초장과 건중량의 변화는 없었다. 예취한 지역에서 익년의 갈대 생장은 예취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초장과 개체당 건중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와 단위 면적당 건중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