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impedim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경기도 평택시 보호수의 생육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Analysis of Growth Condition and Some Suggestions for Its Maintenance of Legally Protected Trees Grown in Pyungtack City, Kunggi Province, Korea)

  • 이종범;두철언;이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54
    • /
    • 2012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growth condition of each object by protected tree's ground for 45 places registered to Pyeongtaek protected tree list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conduct exchange analysis for impediment extent rate in crown area and tree type to the result and suggest the measures to manage artificial impediment which is an effect on protected tree condition. In this study, the tree whose area of impediment for crown area is less than 21% is tree condition of grade 1~2, less than 21~50% is grade 2~3 and more than 50% is grade 3~5. The more impediment is, the more inconvenience causes on growth and development. So, it verified that the area rate must maintain less than 21% for the root system management of protected tree. For the standard of managing artificial impediment which is an effect on the tree condition of protected trees, the below matters intend to be suggested. The first, the impediment in crown area should be less than 21%. But, if there is not artificial impediment out of crown area, the rate of impediment area is considered to increase somewhat. The second, growth space of protected tree should be maintained by crown area at least and impediment should be established out of the crown area. The third, during the national project and land development, surroundings of protected tree must be applied as park, resting place, etc. and the establishment area of impediment (artificial impediment and natural impediment) in crown area must be limited. The forth, publicity for regional people (especially, land owner) i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inheritance and the value of dependence on local government and village which are the subject of management must be announced widely through the internet media, etc, so its importance must be recognized. The fifth, the matters related to protected tree management must be able to limit artificial damage which is for surroundings of protected tree through the mutual connection among the local governments;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water and sewage, agriculture and forest and others. Also, following studies on the effects of kinds, thickness, etc. of impediment around the protected tree on trees should be continued.

김포시 보호수의 생육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Growth Condi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Kimpo)

  • 두철언;이종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4
    • /
    • 2012
  • 본 연구는 보호수 입지지반별로 각 개체의 생육실태를 분석하여 수세종합판단을 하였고 이 결과와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비율을 교차분석하여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김포시 보호수 대장에 등재된 68개소를 대상으로 생육실태분석은 자연성, 수목활력도, 수세종합판단을 실시하였으며, 수관면적은 가지가 뻗고 있는 동서남북 방향을 중심으로 실측하여 면적을 산출하였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인공지장물인 포장(아스콘, 콘크리트, 블록 등), 건물, 옹벽과 자연지장물인 토사(복토), 석축, 자갈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연성 분석에 있어 보호수가 위치한 입지지반은 인공과 인공+준 자연지반이 전체의 72.05%로 나타났으며, 수관면적은 심우경과 신세균(1992)이 보호수 생육에 필요한 수관면적을 제시한 것에 비해 대부분 부족한 것이 많았으며,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김포시 보호수 주변이 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높아지고, 수형변형과 수세쇠약으로 이어지고 있어 보호수의 생육 공간 확보와 지장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수관면적에 지장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20% 이하인 것이 수세판단 1-2등급, 21-50% 이하는 2-3등급, 50% 이상은 3-5등급으로 나타났다. 지장물이 많이 차지할수록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어, 보호수의 근계관리에 있어서 그 면적비율이 20% 이하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함을 입증하였다.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20% 이하로 제한하되 수관면적 밖이 인공지장물이 아닌 경우에는 지장물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다소 상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보호수 생육 공간 확보를 수관면적만큼 유지 확보하고, 지장물은 수관면적 밖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보호수 이식에 있어 생육 공간 확보 시 입지지반 여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넷째, 택지개발 시 보호수 주변을 공원으로 활용하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의 설치 면적은 제한하여야 한다. 다섯째,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제시된 노거수, 보호수 주변의 생육환경 개선을 위해, 토지소유자의 세제해택과 보호수 주변 토지매입 등이 필요하며,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자체의 예산 확보와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보호수 주변의 지장물 종류별, 두께 등이 수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후속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제물품매매협약(CISG) 제79조(면책)와 관련한 몇 가지 쟁점 (Several Issues regarding Article 79 (Exemption) of the U.N.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 김선국
    • 무역상무연구
    • /
    • 제67권
    • /
    • pp.1-21
    • /
    • 2015
  • U. N.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hereinafter the 'CISG' or the 'Convention') has been in force more than 37 years. The CISG responds to the need for uniform sales law. First of all, the biggest barrier against the uniformity in sales law is so-called "homeward trend". Professor Honnold, who served as secretary of UNCITRAL during the time in which the CISG was developed, pointed out the danger of "homeward trend" like this in his Article. "One threat to international uniformity in interpretation is a natural tendency to read the international text through the lenses of domestic law." CISG Article 79 is the principal provision governing the extent to which a party is exempt from liability for a failure to perform any of his obligations due to an impediment beyond his control. So-called 'Manfred Forberich' decision regarding the article 79 represents the most extreme example of what is likely the most dangerous error that tribunals applying the CISG can make. CISG Article 79 only governs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and there is a controversy whether a disturbance which does not fully exclude performance, but it considerably more difficult or onerous(hardship, change of circumstances, economic impossibility) can be considered as an impediment. Unlike PICC and PECL, the CISG governs contract of sale. Therefore, events such as a sudden increase in the price of raw materials or a dramatic devaluation of currency, will not allow the seller to avoid his liability for non-delivery of the goods or to require renegotiation of the terms of the contract of sale. We should bear in mind that the CISG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in the context of the CISG itself.

  • PDF

음악정보 검색에서 이용자 자연어 질의의 정확성 연구 (Natural Language Queries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 이진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9-164
    • /
    • 2008
  • 실제 이용자들의 필요성을 충족하는 음악정보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실생활의 음악 정보질의에 대한 부족한 이해가 장애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실생활 질의의 경험적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이 어떻게 음악 정보를 찾는지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미래의 음악정보 검색 시스템의 디자인, 특히 잠재적인 접근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실생활의 음악정보 질의 내에서 이용자들이 제공한 정보의 정확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용자의 정보 중 상당 부분이 부정확한 정보임을 보여주며, 이런 부정확성과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질의가 성공적임을 알려준다. 또한 어용론의 이론으로써 부정확한 질의의 예기치 않은 성공에 대한 부분적 설명을 하였다.

연수화 전처리를 적용한 한외여과에서 입자상 물질 및 자연유기물 막오염 (Particle and NOM Fouling in Ultrafiltration with Softening Pretreatment)

  • 권지향;데스몬드 롤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4-541
    • /
    • 2003
  • Membrane processes are now frequently considered for applic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The biggest impediment for applying membrane processes is fouling that comes from mass flux (such as particle and organic matter) to the membrane surface and its pores due to convection flow through the membrane. Natural organic matter (NOM) has been reported as the most detrimental foulant. Some research also indicated that particles were often the dominant cause of fouling. Therefore, both NOM and particle fouling need to be examined to better understand fouling in ultrafiltration. Two waters from natural sources, Lake Austin water and Missouri River water, were selected. Both waters are relatively hard waters but has significantly different particle concentrations, which will elucidate effects of particles on membrane fouling. Precipitative softening is traditionally designed to remove hardness ions in hard waters but it can also remove particles and organic matter. Therefore, the integrated water treatment with softening and ultrafiltration is proposed as a promising option for hard waters. The three levels of softening were used to represent different degrees of pretreatment to ultrafiltration in terms of organic matter (i.e., NOM fouling) and precipitates (i.e., particle fouling by further precipitation). Results showed that natural particles in Missouri River water was detrimental foulants of ultrafiltration. As the levels of softening were increased, NOM and particle removal was increased, and thus fouling was decreased. Direct images of the surface of the membrane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llowed observation of the different properties of particles caught in fibril networks of natural organic matter.

수지처리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의 흡습성에 관한 연구 - BET, GAB식에 의한 해석 - (A Study on the Water-Vapor Sorption of Resin Treated Viscose Rayon - Characterization by the GAB and BET Equations -)

  • 이미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19
    • /
    • 1990
  • The water-vapor sorption isotherms of viscose rayon and of modified viscose rayon were studied to elucidate the change of sorptivity by the DMDHEU resin finish. To determine the sorption isotherms, moisture regain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at various humidities. The sorption isotherms were determined by the BET and GAB multilayer adsorption theories. The adsorption isotherm of the starting rayon was Brunauer Type II while with increasing resin content those of the DMDHEU-treated rayon became progressively more like Type IV. The DMDHEU-treated samples appeared to be hydrophilic due to the hydrophilicity of DMDHEU although moisture regains at higher humidities markedly decreased because of an impediment in swelling by crosslinkings. The $W_{m}$ value and surface area of crosslinked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resin content. VR-R-6 which was the most heavily crosslinked viscose rayon had the highest $W_{m}$ and surface area values among all the samples. Relative sorption hysteresis was decreased as humidity increased for all samples. The untreated viscose rayon appeared to have a higher value than the DMDHEU-treated rayon.

  • PDF

SV40의 T항원으로 불사화한 지방줄기세포주로부터 생산한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From an Immortalized Adipose-derived Stem Cell Line by SV40 T Antigen)

  • 이예진;이소영;정민경;박성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0-178
    • /
    • 2024
  • 지방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서 세포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세포 증식 속도가 느리고 세포의 수명이 짧아 임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에서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속도를 향상시키고 세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SV40의 T항원 유전자를 사람의 ADSC에 도입하여 불사화시킨 ADSC 세포주를 제작하였으며 ADSC-T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DSC-T 세포의 분화능력을 검증하고, ADSC-T 세포를 배양하여 획득한 무혈청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ADSC-T 세포주는 지방세포와 골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줄기세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분화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SC-T의 배양액은 염증을 유발하는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NF-κB의 표적 유전자인 COX-2와 iNOS의 발현도 억제하였다. 또한 ADSC-T 배양액은 ERK, JNK, p38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세포 내 염증 유발 신호 전달 회로인 MAPKs 회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인 TGF-β, TNF-α, IL-6, IL-13의 발현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강한 항염증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로, 아토피 모델 쥐인 Nc/Nga 마우스를 DNCB로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뒤 ADSC-T 배양액을 도포한 결과 강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불사화된 ADSC-T 세포주는 지방줄기세포의 장점과 효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지방줄기세포의 세포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상 적용이 가능한 배양액의 생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nvironmental Damages in the Atlantic Forest Biome

  • Brodt, Michele Santa Catarina;Bergmann, Melissa;Broman, Eli Natali;Sanfelice, Gabriela;Ferreira, Juliana Duarte;Lunardi, Larissa;Huller, Alexandre;Carli, Lenice D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01-107
    • /
    • 2018
  • We identified the main impacts, drivers, and restoration projects for Atlantic Forest in Northwest of the Rio Grande do Sul State, Brazil. The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quantity, distribution, and causes of the environmental crimes in 2000-2014.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degraded and restored areas, we performed a t-test; ANOVA for the municipalities with more quantity of crimes,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s of degraded areas and quantity of seedlings planted,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environmental damages categories and population of the municipalities. The main environmental damages found were deforestation outside permanent preservation area (20%) and those related to Permanent Preservation Area (37%). Environmental crimes in these areas fall into two categories: native and exotic vegetation removal (17%), and impediment to natural regeneration (20%). The average size of the degraded areas was $5,359{\pm}526m^2$, while for restored areas was $3,337{\pm}255m^2$. The sizes of the degraded fragments were similar among the five municipalities with the higher number of environmental crimes (ANOVA: p>0.05, F=1.24; df=241). The number of seedlings plante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izes of the degraded fragments (p<0.001, $R^2=0.53$). Segregation between the less and the most populous municipalities was found with the PCA analysis along PC1 (51.7%), while PC2 represented 19.2% of the total variation. The most populous municipalit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environmental crimes, and the majority of degraded areas were recovered by planting native seedlings. Atlantic Forest fragments need to be recognized and preserved as an ecosystem with a unique ecological function by the popul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

검은 황금인가 악마의 저주인가? 아제르바이쟌의 석유와 연줄망 (Black Gold or the Devil's Curse? Oil and Networks in Azerbaijan)

  • 이채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40-656
    • /
    • 2005
  • 주로 수입원유에 의존하는 한국경제의 만성적 불황은 최근 급등하고 있는 수입 원유가에 기인하는 바가 상당히 크다. 이러한 한국의 현실을 감안할 때 풍부한 유전과 가스전을 보유하고 있는 카스피해 연안의 아제르바이쟌은 일부 한국인들로부터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이행경제체제 국가들, 특히 아제르바이쟌을 포함한 카스피해 지역에서 석유 붐을 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당수 국가들이 천연자원은 풍부하지만, 이러한 자원의 혜택이 외국자본과 결탁한 국가의 엘리트에 의해 유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아제르바이쟌은 내부적 연줄망과 외부적 연줄망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국의 자본은 아제르바이쟌의 알리예프 대통령과 관련된 이러한 사적인 연줄망을 더욱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아제르바이쟌의 경우, 풍부한 부존자원으로 인한 국가수입이 일반국민들의 생황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부존자원으로 인한 증대되는 수입은 개혁의 유인을 감소시키면서, 에너지 분야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해 여타 경제 부문에 대한 투자를 밀어냄으로써 이행경제체제의 발전에 장애가 되는 소위 '네덜란드병'을 발생시킬 가능성까지 야기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