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merald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천연베릴을 이용한 온도구배 환류법에 의한 합성 Emerald 단결정 육성 (Single Crystal Growth of Synthetic Emerald by Reflux Method of Temperature Gradient used Natural Beryl)

  • 최의석;김무경;이종민;안영필;서청교;안찬준
    • 한국결정성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성장학회 1996년도 The 9th KACG Technical Annual Meeting and the 3rd Korea-Japan EMGS (Electronic Materials Growth Symposium)
    • /
    • pp.519-521
    • /
    • 1996
  • Emerald (3BeO.Al2O3.6SiO2 : Cr3+) single crystals were crystals were grown by reflux method of temperature gradient in the flux solution of Li2O-MoO3-V2O5 system. The composition of flux materials were 3 mole ratio of MoO3-V2O5/Li2O, subtituted 0.2 mole% of K2O, Na2O, Nb2O5 etc to Li2O content, solved 10-15% of beryl to flux quantity and doped 1% of Cr2O3 to emerald amount. Those of mixing were melted at 110$0^{\circ}C$ in Pt containers of the 3 zone furnace of melt-growth-return to circulate continniously, specially it has been grown large emerald single crystal when thermal fluctuation was treated for 2hrs of once time a day at 1050-95$0^{\circ}C$ in growth zone, substitutional solid solution effect of Cr+3 ion for Al+3 to the growth of emerald single crystal was good. Emerald single crystals were c(0001) hexagonal crystal face of preferencial growth direction and m(1010) post side. When it had been durated for 5 months emerald single crystals of the firet size of 0.6mm thickness of seed crystal were grown 32$\times$65mm(c x m) of maximum size and 6.2mm thickness.

  • PDF

열처리에 따른 합성과 천연 에메랄드의 분광특성분석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and natural emerald by heat treatment)

  • 황혜경;안용길;서진교;박종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6
    • /
    • 2010
  • 합성과 천연 에메랄드의 열처리에 따른 분광특성 변화를 가시광선과 적외선 분광분석으로 관찰하였다. X-선 형광분석 결과 flux 합성 에메랄드에서는 Mo과 Co이 검출 되었고, hydrothermal 합성 에메랄드에서는 Cl 성분이 나타났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 결과는 콜롬비아산 에메랄드 시료에서 열처리 후에 전체적인 흡수 세기가 증가 한 것을 확인 하였다. 적외선 분광 분석 결과, hydrothermal 합성 에메랄드에서 Cl 성분에 관련된 피크가 $3000-2600cm^{-1}$에서 나타났고, 천연 에메랄드에서는 $CO_2$에 기인하는 $2358cm^{-1}$피크가 열처리후에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열처리 후에 기체 성분이 변화된 것과 일치 하였다.

미국 JC Raulston 식물원에 식재된 한국자생 조경수목 (Korean Native Landscape Woody Plants planted at JC Raulston Arboretum in USA)

  • 서병기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37-142
    • /
    • 1999
  • 미국 J.C. Raulston 식물원에는 한국자생 조경수목 36과 110종 3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이중 때죽나무 'Emerald Pagoda'는 1985년 미국 국립식물원 식물탐사팀과 J.C. Raulston이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미국내에서 감상가치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J.C. Raulston은 이 때죽나무를 'Sohuksan'이라고 명명하였다가 'Emerald Pagoda'로 개칭하였는데 미국으로 수화물에 보관하여 도입하였다. 또한 아왜나무를 진도에서 채집하였는데, 이것은 지금도 'Chindo'라는 품종으로 불리고 있으며 미국내 동남부 지방의 조경에 적응성이 높고 감상가치가 높아 대량번식 및 보급 중에 있다.

  • PDF

양록단청 대체안료 개발 연구 (Studies on the substitution pigment of Dan-Chung)

  • 김사덕;김순관;홍정기;강대일;이명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0호
    • /
    • pp.121-137
    • /
    • 1999
  • Among pigment used at work of Dan-Chung, Emerald Green is specific illuminating fluorescent light of green.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other organic or inorganic pigment. All of the internal high class pigment has rare light. But Emerald Green is superior to fresh color and stability out of industrial chemical products. It forms over 50% of quantity and importance of a pattern painting. Emerald Green prohibited to produce because of its toxicpollutants, so required to changing pigment development. It is characterized to excellent color, convenient work, economical, against-sunlight, against-air pollutant and durability. The result of a test is follows; 1. We are investigated into producing internal natural Emerald Green, import external pigment and industrial synthesis method etc. but unable to buy because of its toxic pollutant. 2. We are made six samples by yellowish and green is hpigment mixing. We tested on against sunlight and air pollutant. The best mixing ratio is follows. Titanium Dioxide R760 : 18g- Chalk, White Wash : 10g- Permanent Yellow : 7g- Cyanine Green : 8g- Chrome Yellow : 3g- Resin(Vehicle) : Acryl Emulsion(Styrene + 2-Ethyl HexylAcrylate + Methyl Meth Acrylate) 8%

  • PDF

천연베릴을 이용한 온도구배 환류법에 의한 합성 Emerald 단결정 육성 (Single crystal growth of syntheric emerald by reflux method of temperatute gradient using natural beryl)

  • 최의석;김무경;안영필;서청교;안찬준;이종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2-538
    • /
    • 1998
  • 한국산 천연베릴을 잉요하여 온도구배융제환류법에 의해 에메랄드($3BeO{\cdot}Al_2O_3{\cdot}6SiO_2:Cr^{3+}$) 단결정이 성장되었다. 리튬-몰리브데늄-바나디움 산화물계 융제는 $(MoO_3+V_2O_5)/Li_2O$, 와 $V_2O_5-Li_2O$를 서로 다르게 용융한 2종류의 융제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융제의 최적 조성은 산화몰리브데늄.바나디움에 대한 산화리튬의 몰비($(MoO_3+V_2O_5)/Li_2O$)가 3몰이었고 융제첨가제는 Li2O량에 대하여 $K_2O$ 또는 $Na_2O$를 0.2mole% 이내로 치환하였다. 베릴원료의 용융 농도는 융제량에 대하여 3~10% 함량이었고, $Cr_2O_3$ 발색제는 베릴량에 대하여 1%이었다. 융액은 용융, 성장, 회수 블록으로 나뉘어진 3지대 온도구배 결정성장로에서, $1100^{\circ}C$$1000^{\circ}C$ 사이의 안정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하였다. 에메랄드 단결정은 성장지대에서 950~$1000^{\circ}C$ 구간에서 1일 1회 2시간동안 열진동 처리하였을 때 미소핵의 생성이 억제된 대형 단결정을 성장시킬 수 있었다. 육각주상 에메랄드 단결정의 우선성장방향은 c(0001) 바닥면이었고, m(1010) 기둥면에 수직이었다.

  • PDF

질소 시비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품질과 병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Turfgrass Quality and Disease Suppression on a Creeping Bentgrass Green by Various Nitrogen Sources)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5-130
    • /
    • 2010
  • 달라스팟과 브라운패치는 골프코스관리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병이기도 하며 코스관리 예산에 있어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병들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다양한 질소 비료에 의해 잔디에서 발생되는 병이 억제 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본 실험은 여러종류의 질소 비료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발생되는 달라스팟과 브라운패치 병에 대한 억제 효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이 되었다. 총 7가지의 질소 비료와 $Emerald^{TM}$ and $ProStar^{TM}$의 2가지 잔디병 약제가 약제 조합을 위해 실험에 사용이 되었다. 질소의 잔디질에 있어서 종류가 다른 질소 시비간의 차이는 본 실험의 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잔디병약제 조합과 잔디병약제 조합 그리고 요소비료의 혼합에서는 유의차를 보였다. 달라스팟과 브라운패치 병의 억제 효과에 있어서는 종류가 다른 질소 시비들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질소질 비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스팟과 브라운 패치의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기간중 다소 유의차가 나타난 기간이 있었지만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골프코스와 같은 잔디지역에서는 병방제를 위해서 약제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었다.

일원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the Ilweoloakdo)

  • 한민수;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6호
    • /
    • pp.165-188
    • /
    • 2005
  • From the ancient to these days, there have been used many kinds of pigment which have two types that are inorganic pigment and organic pigment. At the ancient times, natural pigment had been used but the artificially mixed pigment has been used in modern times. By the way, searching for studies has been studied recently, it would be said the ancient pigments such as Danchung, Wall painting and Mural painting are the mainthema. However, studies about the pigments used in modern pictured relics have rarely can be found. Therefore, this analysis of Ilweolokdo would be important at the point of the pigments used in pictures of royal family in modern times and the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igments that base or all pigments of picture was detected components of Ca, Fe and As, this results meaning that picture was used filler and basic paint. Secondly,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pigments shows that the main components in their composition are ;White - Lead Cyanamide($2PbCO_3$.$Pb(OH)_2$) or Titanium Oxide($TiO_2$)Blue - Ultramarine($2(Na_2O$.$Al_2O_3$ .$2Si_O2$).$Na_2S_2$)Green - Emerald green($C_2H_3A_s3Cu_2O_8$)Gold - Gold(Au), Red-Red Lead($Pb_3O_4$) or Cinnabar(HgS)Black - Carbon(C)Thirdly,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crystalline structure for the blue and green pigment peeling off in picture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blue pigment is Ultramarine($2(Na_2O$.$Al_2O_3$ .$2Si_O2$).$Na_2S_2$) and green pigment is Emerald green($C_2H_3A_s3Cu_2O_8$). Especially, microcrystalline structure of the green pigment was the shape like a cross section of wood. Consequently, we knew through the analysis of qualitative and microcrystallinestructures seen on the cross section of analyzed pigments layer that the all pigments used in the Ilweoloakdo is possible to use synthetic pigments in modern.

  • PDF

잔골재로 폐유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with fine Waste Glass)

  • 박승범;조청휘;김정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84-191
    • /
    • 2001
  • 최근 급속한 산업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폐유리의 발생량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으며 이중 대부분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최종처분 되고 있어 심각한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폐유리중 대표적인 갈색, 녹색, 무색 폐유리 및 이들을 혼합한 폐유리를 파쇄하여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슬럼프 및 다짐계수는 폐유리 잔골재의 입형이 모가나고 각이져 있고 상대적으로 유리입도가 잔골재보다 크기때문에 감소하였으며, 공기량은 폐유리 잔골재가 0.6mm이상의 입자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는 폐유리 잔골재의 혼입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정 혼입률은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는 적정한 혼화제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파키스탄 북부 Gilgit-Baltistan 지역에서 산출된 아쿠아머린의 특성 연구 (G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Aquamarine from the Gilgit-Baltistan of Northern Areas, Pakistan)

  • 김성재;신동욱;손수학;장윤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60
    • /
    • 2015
  • 파키스탄 북부 Gilgit-Baltistan에서 산출된 천연 아쿠아머린의 다른 산지와 구별되는 내포물과 분광학적 특성을 표준 보석 감정 장비와 XRF, ICP-AES, XRD, FT-IR, Raman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보석 광물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페그마타이트 환경에서 생성되는 Mn과 결합한 탄탈라이트 결정내포물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고 분광학적 방법에 있어서는 채널 속 $H_2O$ 타입이 파키스탄과 함께 아쿠아머린 산지로 유명한 베트남, 브라질, 중국, 마다가스카르 지역의 $H_2O$ 타입-II에 비해서 타입-I에 더 근접했으며 알칼리 이온과 관련이 있는 타입-II도 다소 관찰되었다. 또한 $Na_2O$ 함량을 성분 분석한 결과 0.137 wt%로써 이 결과는 Schmetzer와 Kiefert (1990)의 에머럴드 연구에서 제안한 FT-IR 특정 피크들의 상대적 강도에 의한 알칼리 이온의 함량에 따른 분류표를 기준했을 때 $Na_2O$ 함량이 0.06-0.4 wt%이었으므로 이 $Na_2O$ 함량은 그 분류표에 없는 함량으로 그룹 II와 그룹 III 사이에 해당되므로 채널 속 Na는 주로 $H_2O-Na-H_2O$의 배열 형태를 가진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송대 목제보살입상의 분석과 보존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Wooden Standing Bodhisattva in Song Dynasty)

  • 박수진;정다운;이용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6권
    • /
    • pp.138-153
    • /
    • 2015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제보살입상(본8239)은 조선총독부 박물관에서 중앙아시아유물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구입한 것으로 전형적인 중국 송대(宋代)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채색이 되어있다. 2014년 전시를 위하여 상태점검을 실시한 결과 채색안료의 변색과 박락, 목재의 갈라짐 등 손상이 심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엑스선투과조사와 엑스선형광분석, 수종분석을 실시하여 제작기법과 재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보살입상은 여러 조각의 목재를 접합하여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채색에 사용된 안료로 백색은 호분(CaCO3)이나 석고(CaSO4·2H2O), 녹색은 양록(Cu(C2H3O2)2·3Cu(AsO2)2), 적색은 연단(Pb3O4), 청색은 울트라마린 블루(3Na2O·3Al2O3·6SiO2·2Na2S)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각 안료는 모두 후대에 다시 채색하면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분석결과 제작과정에서 사용된 목재는 버드나무과의 사시나무류(Salicaceae Populus spp.)로 확인되었다. 목제보살입상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복원 및 강화처리를 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되어 효과적인 전시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