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deciduous forest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초

천연활엽수림내 잣나무(Pinus koraiensis) 수하식재 성적 평가 (The Evaluation for the Performance of Pinus koraiensis Underplanting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강성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75-82
    • /
    • 2005
  • 이 시험 연구는 울폐된 천연활엽수림 내에 수하식재한 2-2 잣나무 묘목의 생육 성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식재 후 7년 동안의 생존률과 생장율에 대하여 상층 임관의 효과가 평가되었다. 7년생 잣나무 치수의 활착율은 약 80%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수고는 0.9m, 최소치는 0.3m, 최고치는 2.1m로 측정되었고, 평균 근원경은 1.7cm, 최소치는 l.4cm, 최고치는 3.5cm로 조사되었다. 개벌 후, 인공 조림한 잣나무의 생육 상황과 비교해 볼 때, 이 시험에서 수하식재된 잣나무 치수의 생육 상황은 공한지 인공 조림목에 비해서 매우 열등하여, 수고는 약 30%, 직경은 약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내음성이 있는 잣나무 치수라 할지라도 정상 생육하기에 상층의 울폐도가 너무 높다고 판단된다. 잣나무의 정상적인 생장과 발달을 위해서는 천연림 보육 작업에 준하는 벌채를 통하여 우량 활엽수를 잔존시키면서 50% 이상의 상층 임관을 열어 주어 광선 조건을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천연활엽수림 보육 시업을 위한 개선벌 대상목 선정 기준 적용 (The Proposition of Improvement Cutting Criteria for Tending Operation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강성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40-50
    • /
    • 2004
  • 이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적절한 보육 벌채 시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임목의 형질을 평가하고, 형질에 따라 불량한 임목들을 제거하는 벌채 시업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임목형질 평가 방법을 이용한 천연활엽수림의 개선별 시업 적용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 임분의 평균 ha당 본수는 717 본이었으며, 평균직경은 21.1cm, 평균수고는 13.6m로 파악되었다. 상층에는 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쪽동백나무, 느릅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의 임목 형질별로 등급을 부여하고, 등급별로 보육 별채를 할 경우마다 단위면적당 임목수, 직경, 수고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형질 등급을 높여서 벌채할수록 임목 본수는 감소하나 임목 형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Comparison of Plot Sizes for Forest Inventory in Natural Deciduous Forest In Korea

  • Yim, Jong-Su;Shin, Man Y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95-600
    • /
    • 2006
  • The plot design influences the budgets and the precision of forest inventory res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estimating forest variables such as tree density, basal area, volume, and species richness based on various plot sizes using fixed-area plot sampling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Pyeong-Chang County, Gang-won Province, Korea. In this study, 108 reference plots were established with a fixed plot size and shape of 0.09 ha ($30m{\times}30m$).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plot size for the interest of variables, each sample plot was established using different shapes (square, circle, and rectangle) and was divided into different plot sizes from 100 to $900m^2$. The mean relative difference (MRD) for the sum of the basal area and volume, and tree density per hectare decreased as plot size increased. But the MRD for three variables were only below 13% at the plot size of $500m^2$. Species richness for each reference stand observed ranging from 2 to 15 species, demonstrated highly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lot size. The minimum plot size for the estimation of tree density, the sum of the BA and volume was determined to be about $400m^2$, whereas the estimation of species richness required a minimum plot size of $500m^2$.

Ecological Attributes of Species Composition by Topographical Position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Kim, Ji-Hong;Lee, Hye-Seon;Hwang, Gwang-M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17-22
    • /
    • 2011
  • Based upon the vegetation data of woody plants by plot sampling method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eombong,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importance value, rank abundance curve, and species abundance curve, and comparatively evaluate seven different species diversity indices for Shannon-Wiener index, Simpson index, McIntosh index, Log series, Margalef index, Berger-Parker index, and species richness, according to topographic positions. The minimal area which meant only few more species were increased was 3.48 ha in total. The dominant species of valley were Carpinus cordata,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mongolica, Acer mono, and Abies holophylla, and the dominant species of mid-slope were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Carpinus cordata, Tilia amurensis, and Fraxinus rhynchophylla. Moreover, the dominant species of ridge were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Tilia amurensis, Fraxinus rhynchophylla, and Acer mono. According to rank abundance curve and species abundance curve, species evenness was also low. All of Log series, species richness, Margalef, and Shannon-Wiener index discriminated that valley had the highest diversity, and ridge had the lowest diversity; but, Simpson index, McIntosh index, and Berger-Parker index represented that mid-slope had the highest diversity, and ridge had the lowest diversity. Uniquely, in Berger-Parker index, mid-slope was the higher value than total.

임분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Carpinus cordata) 유목의 양분 이용 특성 (Nutrient Use Strategy of Carpinus cordata Sap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Forest Stand Conditions)

  • 권보람;허남준;신호용;김현석;박필선;이명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8-196
    • /
    • 2014
  • 경기도 광릉의 국립수목원 내의 토양과 빛 환경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자원의 획득과 이용 및 분배를 이해하기 위하여, 잎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 변화와 재전류, 엽록소와 LMA를 조사하였다. 엽면적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낙엽활엽수림은 유입되는 광량이 많았고, 전반적인 토양 양분의 수준이 양호하였으나, 유효인산의 농도는 전나무림의 1/3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경우, 잎의 인 농도가 전나무림의 까치박달 보다 연중 낮았고, 재전류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 내 질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낙엽활엽수림에서 높았으나, 계절별 잎의 질소농도와 질소의 재전류율은 임분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빛의 유입이 적은 전나무림에서는 까치박달의 LMA와 엽면적당 질소 분배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엽록소 a/b율은 낮고, 총 엽록소 함량은 높여 질소에 대한 엽록소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분 조건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이 주어진 토양과 빛 환경에 순응하여 양분의 동태와 분배의 전략적 차이를 달리하여 생육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산림재해지 복구를 위한 주요 수종의 입지 및 재해 저항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ite Condition and Disturbance Resistance of Tree Species for Damaged Forested Land in South Korea)

  • 강영호;이천용;배영태;김찬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15
    • /
    • 2011
  • We recently witnessed increasingly more natural disturbances on forested land. On the other hand, only limited number of nursery grown tree species are available for restoration projects. At the same time, so little on the disturbance resistance of species has been studied that a selection of right species for right site condition becomes very difficult. This study is a compilation of the site specificities and disturbance resistance of each species native to South Korea. Each species was surveyed for 11 items related to site specificities, and 12 items related to disturbance resistance including the resistance to snow damag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1 tree species from 44 families : 21 evergreen conifer species, 2 deciduous conifer species, 18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118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and 2 monocotyledon species. This study suggests that native species in South Korea show resistance to all types of natural disturbances except drought.

광릉(光陵) 활엽수(闊葉樹) 천연노령림(天然老齡林)과 침엽수(針葉樹) 인공유령림(人工幼齡林) 그리고 양주(楊洲) 사방지(砂防地) 혼효유령림(混淆幼齡林)의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량(樹幹流下量) 그리고 차단손실량(遮斷損失量)에 관하여(I) - 실험적(實驗的) 측정결과(測定結果)를 중심(中心)으로 - (Throughfall, Stemflow and Interception Loss of the Natural Old-growth Deciduous and Planted Young Coniferous in Gwangneung and the Rehabilitated Young Mixed Forest in Yangju, Gyeonggido(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the Results of Measurement -)

  • 김경하;전재홍;유재윤;정용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88-495
    • /
    • 2005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운용하는 경기도 광릉시험림 내 활엽수 천연노령림과 침엽수 인공유령림 그리고 양주 사방지 혼효유령림의 수관통과우량, 수간유하량, 그리고 차단손실량을 조사하여 앞으로 임상변화가 임내우 및 차단손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전산모델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유역인 활엽수 천연노령림은 활엽수 천연림을 대표할 수 있으며, 잣나무와 전나무림으로 구성된 침엽수 인공유령림은 1976년 조림지로서 침엽수 인공림을 대표할 수 있다. 또한 양주 사방지 혼효유령림은 1974년 사방공사를 실시한 후 현재까지 보전되어 온 임분으로 사방림을 대표할 수 있다. 조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겨울에는 측정을 중지하였다. 임외장우량은 전도형 자기우설량계로 측정하였으며, 임내우량은 임분 내에 $10m{\times}10m$의 표준구를 설정하고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을 전도형 측정기와 CR10X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30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약 2년간 자료를 종합한 결과, 임외강우량에서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을 뺀 차단손실량은 잣나무림이 임외강우량(1,629.5 mm)의 37.2%인 606.6 mm로 가장 많았으며, 혼효림이 임외강우량(1,363.5 mm)의 22.6%인 308.6 mm로 가장 적었다. 수간유하량은 혼효림이 임외강우량의 10.7%로 가장 많았으며, 잣나무림이 2.4%로 가장 적었다. 임외강우량과 수관통과우량 간의 관계는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났다. 직선회귀식의 기울기인 평균 수관통과율은 수관울폐도에 따라 66%에서 77%까지 분포하였다. 임외강우량과 수간유하량은 수관통과우량에 비해 편차가 크긴 하지만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임외강우량이 수간유하량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잣나무림이 2%로 가장 낮았고 혼효림이 12%로 가장 높았다. 수간저류능은 활엽수림이 0.21 mm로 가장 높은 반면에 잣나무림이 0.003 mm로 가장 낮았다. 대체로 수간유하량은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분구조에서 활엽수림이 수피가 매끄럽고 가지의 각도가 가파르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차단손실량은 임외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경우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 비해 차단손실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이 계절적으로 낙엽에 의해 엽면적지수가 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임분구조에 따라 임내우인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 그리고 차단손실량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차단손실량을 산정하기 위한 전산모델은 임분구조에 따른 차단손실량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임상별 특성과 엽면적지수 등을 매개변수로 한 모델이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세가지 조림작업종(造林作業種)에 따른 천연갱신(天然更新) 양상(樣相) (The Pattern of Natural Regeneration by Three Different Silvicultural Systems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김광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69-178
    • /
    • 1999
  • 이 연구는 세가지 조림작업종(이단림작업, 산벌림작업, 택벌림작업)이 적용된 후 세 번의 생장기간이 경과한 천연활엽수림에서 11가지 주요 유용 활엽수종의 천연갱신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연구 대상 산림의 상층은 신갈나무의 우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많은 수의 갱신 치수가 발생된 고로쇠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상층으로의 약진이 기대되어 미래에는 신갈나무와 더불어 이들 두가지 수종의 상층 구성 비율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갱신 벌채 후 발생한 치수량을 조사한 결과, 이단림에서는 3,145본/ha(상층목의 10배), 산벌림에서는 6,885본/ha(상층목의 9배), 택벌림에서는 2,275본/ha(상층목의 4배)의 치수 발생을 나타냈으며, 수종간 차이가 많았고, 전반적으로 맹아묘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60~80%의 상층 울폐도와 60~70%의 하층 피복률에서 실생묘 발생률이 높았고, $25^{\circ}$ 이하의 경사도와 남서쪽에서 북서쪽에 이르는 사면에서 실생묘 발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수종간 차이가 많았다. 그루터기 직경과 높이가 맹아 발생에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Stand Structure and Regeneration Pattern of Kalopanax septemlobus at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Mt. Jeombong, Korea

  • Kang, Ho-Sang;Lee, Don-K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17-22
    • /
    • 2006
  • Since the demands not only for value-added timber but the environmental functions of forests had been increased, native tree species has been, and is rapidly being replaced by foreign tree speci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However, the studies o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native tree species were not conducted enough. Regenera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growing among other hardwoods in natural forests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its low seed viability and germination rate. The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mature trees of K. septemlobus and their regeneration pattern at the 1.12 ha study plot in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f Mt. Jeombong. The density and mean DBH of K. septemlobus was 97 trees per ha and 32 cm,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 septemlobus showed a random pattern (aggregation index is 0.935) in the 1.12 ha study plot. The age of 90 trees among 99 sample trees of K. septemlobus ranged from 90 to 110 years and represented a single cohort, thus suggesting that K. septemlobus in advance regeneration h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disturbances such as canopy opening.

Monitoring soil respiration using an automatic operating chamber in a Gwangneung temperate deciduous forest

  • Lee, Jae-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411-423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soil $CO_2$ efflux using the continuous measurement method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n automatic continuous measurement system in a Korea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Soil respiration rate (Rs) was assessed through continuous measurements during the 2004-2005 full growing seasons using an automatic opening/closing chamber system in sections of a Gwangneung temperate deciduous forest, Korea. The study site was an old-growth natural mixed deciduous forest approximately 80 years old. For each full growth season, the annual Rs, which had a gap that was filled with data using an exponential function derived from soil temperature (Ts) at 5-cm depth, and Rs values collected in each season were 2,738.1 g $CO_2$ $m^{-2}y^{-1}$ in 2004 and 3,355.1 g $CO_2$ $m^{-2}y^{-1}$ in 2005. However, the diurnal variation in Rs showed stronger correlations with Ts (r = 0.91, P < 0.001 in 2004, r = 0.87, P < 0.001 in 2005) and air temperature (Ta) (r = 0.84, P < 0.001 in 2004, r = 0.79, P < 0.001 in 2005) than with deep Ts during the spring season. However, the temperature functions derived from the Ts at various depths of 0, -2, -5, -10, and -20 cm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in the spring season, whereas it increased in the summer. Rs showed a weak correlation with precipitation (r = 0.25, P < 0.01) and soil water content (r = 0.28, P < 0.05). Additionally, the diurnal change in Rs revealed a higher correlation with Ta than that of Ts. The $Q_{10}$ values from spring to winter were calculated from each season's dataset and were 3.2, 1.5, 7.4, and 2.7 in 2004 and 6.0, 3.1, 3.0, and 2.6 in 2005; thus, showing high fluctuation within each season. The applicability of an automatic continuous system was demonstrated for collecting a high resolution soil $CO_2$ efflux dataset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